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갑사의 본전인 대웅전의 모습이다.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마곡사의 말사이다.
갑사의 본전인 대웅전의 모습이다.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마곡사의 말사이다.
갑사의 본전인 대웅전의 모습이다.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마곡사의 말사이다.
갑사의 우측으로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대적전 사찰건물이다. 대적광전이라고도 불리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삼신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갑사의 우측으로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대적전 사찰건물이다. 대적광전이라고도 불리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삼신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마곡사에 있는 건물로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와 그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창고 건물이다.
마곡사에 있는 건물로 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와 그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창고 건물이다.
1897년에 설립된 공주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동성당이다. 어느 한겨울의 중동성당 설경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은 국고개에 위치하고 있다.
1897년에 설립된 공주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동성당이다. 국고개에 위치하고 있다.
1897년에 설립된 공주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동성당이다. 국고개에 위치하고 있다.
1897년에 설립된 공주 최초의 천주교 성당인 중동성당이다. 국고개에 위치하고 있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숭선군의 묘이다. 숭선군은 인조의 다섯째 아들로 왕자시절 공주에 왔던 인연으로 공주에 묘소가 있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숭선군의 묘이다. 숭선군은 인조의 다섯째 아들로 왕자시절 공주에 왔던 인연으로 공주에 묘소가 있다.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백제시대의 무덤이다. 시목동 고분이라고도 한다.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에 있는 김옥균의 무덤 전경이다.
계룡면 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영규대사의 묘이다.
계룡면 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영규대사의 묘이다.
절재 김종서의 묘소 앞에 놓인 신도비의 모습이다.
절재 김종서 묘소 전경이다.
동학사의 초혼각지 전경이다. 초혼각은 조선전기 김시습이 이곳에 제단을 마련하고 단종을 위해 절의를 지킨 사육신의 초혼제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그후 1904년 숙모전으로 사액되어 오늘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