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5097건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있는 갑사 사적비이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귀부이다. 인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신도비를 만들기 위해 만들었으나 비신을 만들지 못하여 현재까지 귀부만 남아 있는 것이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귀부이다. 인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신도비를 만들기 위해 만들었으나 비신을 만들지 못하여 현재까지 귀부만 남아 있는 것이다.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범종의 모습이다.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범종의 모습이다.
공주 향교 대성전의 모습이다.
공주 향교 원경이다.
신원사 대웅전의 전경이다. 신원사는 계룡면 양화리에 있는 마곡사의 말사로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신원사 대웅전의 전경이다. 신원사는 계룡면 양화리에 있는 마곡사의 말사로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공주시 중동 공주박물관에 있는 분청 귀장식 항아리이다. 서울 성동구 거여동에 있었던 덕천군 이후생의 묘를 공주시 의당면 대산리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분청사기이다. 총 2점이 발견되었다.
공주시 중동 공주박물관에 있는 분청 귀장식 항아리이다. 서울 성동구 거여동에 있었던 덕천군 이후생의 묘를 공주시 의당면 대산리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분청사기이다. 총 3점이 발견되었다.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연평부원군 이귀의 신도비이다.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충청감영 선화당의 복원모습이다.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충청감영의 정문인 포정사를 복원해 놓은 모습이다.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의 모습이다. 이곳은 구룡사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발견되어 구룡사지로 추정된다.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의 모습이다. 이곳은 구룡사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발견되어 구룡사지로 추정된다.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의 모습이다. 이곳은 구룡사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발견되어 구룡사지로 추정된다.
공주시 계룡면 갑사 경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강당 건물이다. 강당은 승려들이 법문을 강론하던 건물로, 강당 중앙에는 '계룡갑사'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공주 소학동에 있는 효자 향덕의 정려이다. 향덕은 통일신라 경덕왕대에 효자로서 포상을 받아, 우리나라 역사에서 최초로 나라에서 인정한 효자로 알려져 있다.
조선후기 산림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초려 이유태의 유고이다. 가훈과 초려시필, 초려선생필 등 4책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