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51679건
2018년 4월 28일 열린 유불무가 함께하는 2018 계룡산산신제의 제 21회 계룡산 무가식 산신제 진행 모습이다.
1954년 대한국경원호협회 공주군계룡면분회에서 발행한 전기분 군경원호회비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으로, 일금 팔십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상단에 '영수증'과 함께 군(軍)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2019년 9월 공주고등학교 뒷편 옛 공주수원지 배수탑 부근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공주 시가지 부근을 현재기록한 것이다.
목차
1. 연혁
2. 토지 및 기후
3. 인구
4. 새마을운동
5. 농업
6. 축산 및 임업
7. 광공업 및 상업
8. 전기,수도 및 건설업
9. 운수 및 통신
10. 보건 및 사회보장
11. 교육 및 문화
12. 재정
13. 공공행정
2008년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창립 20주년 기념 세미나 계획서이다. 일시 2008.11.18., 장소 공주대 백제교육문화회관 세미나실이다. 문서의 내용은 1.사업의개요와 의의, 2.사업주관단체(공주향토문화연구회) 소개, 3.세미나계획(개최일시,장소,발표및진행계획),…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웅담조 작품소개표
1973년 연초 공주 관내 대학과 고등학교 입학시험 기간을 맞아 외지에서 내방한 수험생을 도와주기 위한 봉사활동에 공주시민이 적극 참여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이다.
목차
1. 향토 민속축제의 활성화 방안(임동권)
2. 국내외 지역 민속축제의 국제화 추세와 계룡산 국제 민속예술제의 발전방향(정강환)
3. 계룡산의 문화사적 성격(조재훈)
4. 계룡산의 종교와 민속(이필영)
5. 계룡산 산신제 축제화 방안(조흥윤)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중동사거리를 지나고 있는 가장행렬단의 모습이다.
월가국민학교 교내에 마련된 향토관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여러 사진 및 자료들을 볼 수 있도록 전시해 놓았다.
1974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교직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직장새마을운동에 참여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첫째날 승무작법 (50)
1982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가을운동회에 참여한 할머니가 경기에 임하고 있다.
1960년 공주사대 재학생이 현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로 교생실습을 나온 모습이다. 본 자료는 부고의 조회에 참여한 모습이다.
2010년 56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0년 충청남도 문화재도록에 기재된 대통사 절터에서 출토된 석조의 모습이다. 반죽동 석조는 중동 석조의 보물 등록과 함께 1963년 1월에 보물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본 책이 편찬될 당시에는 국보로 표기된 것이 특징이며, 현재는 국립공주박물관 앞 뜰로 옮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