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365건 동학사
공주의 문화유산과 축제, 공공시설 등을 소개하는 안내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공주시 연혁 = 5 / 공주 둘러보기 = 7 / 사찰 = 31 / 문화, 성지, 휴식 = 53 / 도지정 문화재·도지정 기념물 = 69 / 축제·대회 = 79 / 공공시설 = 93 /…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숙모전의 모습이다. 숙모전은 단종과 충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숙모전의 모습이다. 숙모전은 단종과 충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숙모전의 모습이다. 숙모전은 단종과 충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동학사에 고려말에 절의를 지킨 정몽주, 이색, 길재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동학사 대웅전 앞에 있는 고려시대 4층 석탑의 모습이다.
동학사 대웅전 앞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탑의 모습이다.
계룡산 동학사에 있는 삼성각이다. 삼성각은 칠성, 산신, 독성 등 삼성의 탱화를 모신 곳이다.
계룡산 동학사에 있는 삼성각이다. 삼성각은 칠성, 산신, 독성 등 삼성의 탱화를 모신 곳이다.
동학사의 초혼각지 전경이다. 초혼각은 조선전기 김시습이 이곳에 제단을 마련하고 단종을 위해 절의를 지킨 사육신의 초혼제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그후 1904년 숙모전으로 사액되어 오늘에 이른다.
1940년대 윤명재씨가 제작한 개인 앨범에 게재된 동학사 전경 사진이다.
1979년 촬영한 사진으로, 동학사 진입로의 자연보호헌장 비석 앞에 앉아 있는 공주 청년들의 모습이다.
1964년도 공주 금벽국민학교 제15회 졸업기념 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졸업반 학생들은 교사의 인솔로 동학사로 수학여행을 떠났는데, 수학여행에서 묵게 된 '계룡여관'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사진 가장 좌측의 여인이 여관 주인으로 추정된다.
1960년도 제26회 공주여자중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학생들의 동학사 소풍 사진으로 추정되며, 하산길에 동학사 홍살문을 지나고 있는 모습이다.
1975.12.31에 건축된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728-10번지의 동학시지서의 모습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지어졌으나, 한옥의 형태를 차용한 지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67년 5월 공주직업소년학교 춘계 동학사 소풍에서 동학사 대웅전 앞에서 촬영한 이관용 교장의 기념사진이다. 오늘날 동학사 대웅전 현판과 다른 모습을 보이나, 주련 등은 오늘날에도 확인할 수 있는 모습이다.
공주문화원 내외관계자 일행이 계룡산 동학사를 방문한 모습이다.
공주문화원 내외관계자 일행이 계룡산 동학사를 방문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