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470건 금강교
영명고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영명고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73년 봄, 공산성 공산정 인근에 올라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뒷편으로 보이는 전막과 금강, 금강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72년 금강철교 다리 교각의 모습이다.
1972년 신관동 방향으로 바라본 금강교 교각의 모습이다. 교각 좌우로 신관동 전막의 모습도 보인다.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연구총서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변화모습과 도시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연구총서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변화모습과 도시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윤영태 선생의 자녀분과 친구들이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1917년 생이신 윤영태 선생이 공주고보 재학시절로 보이는 1930년대 어느날 친구와 함께 공산성 성안마을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해당 사진을 통해 당시 성안마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성안마을 뒷편에 금강교가 존재하는 것을 통해 1932년 이후에…
1966년 공주고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4반 학생들로, 공산성 공북루 앞 성안마을에서 찍은 사진이다. 학생들 뒤로 멀리 금강과 금강교도 보인다. 공북루와 안쪽으로는 성안마을의 민가들도 보인다.
1966년 금강교 입구에 나란히 서있는 공주고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4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철교에 걸린 '올해는 일하는해', '증산수출건설' , '오빠는 반공 누나는 방첩'이라는 플랜카드들이 1960년 당시 사회적 상황을 보여준다.
1966년 공주고 졸업앨범 속의 3학년 3반 학생들이 금강교 부근 둔치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1966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반 학생들의 사진이다. 금강과 금강교를 배경으로 공산성에서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1966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3학년 1반 학생들이 금강철교 옆 둔치에서 금강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다.
196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2반의 공산성 봄소풍 기념 사진이다. 공북루 옆 부근에서 자연스럽게 포즈를 잡고 촬영하였다. 공북루 안쪽으로 자리한 성안마을 일부 가옥의 지붕이 보인다. 금강교의 트러스트도 눈에 띈다.
196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속의 3학년 1반 학생들이다. 금강교 옆 언덕배기 부분에 앉아 촬영하였다.
1963년 공주고 졸업앨범에 실린 공산성 봄소풍을 기념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을 찍은 곳은 공산성 쌍수정 아래편 언덕으로 멀리 금강과 금강교도 보인다.
1963년 공주고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반 학생들이 여름에 공산성을 찾았다. 공북루 옆부근에서 촬영하였으며, 공북루와 성안마을 일부 건물의 지붕들이 보이며, 멀리 금강과 그강교의 모습과 어우러져보인다.
1961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간지 자료로, 금강과 금강교 전경이 담겨져 있으며, 원 소장자가 그에 대한 감회를 시로 읊어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