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전체 2167건 공산성
1968년 제14회 백제문화제에 참여한 공주여자고등학교 재학생의 모습이다. 본 자료는 백제문화제 기간 중 공산성 쌍수정과 추정왕궁지에서 열린 문주왕 추모제에 참여한 공주여고 재학생의 모습이다.
1969학년도 공주여자고등학교 3-1 학생 중 일부가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위치한 금강 돌출암반 위에 올라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해당 암반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비정할 수 없으나, 강 건너 편에 국립공주병원(現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의 모습을 통해 공북루…
1969학년도 공주여자고등학교 3-2 학생 중 일부가 공산성 동쪽 끝자락에서 금강 상류 쪽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우측에 옥녀봉이 민둥산 같은 모습을 띄고 있다. 나아가 넓은 모래사장이 드러난 금강의 모습도 함께 볼 수 있다.
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진남루 위에 앉아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1969학년도 공주여자고등학교 3-1 학생 중 일부가 공산성 성안마을 남쪽 사면에서 성안마을과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재학생 뒷편으로 보이는 공북루와 공산성 성벽의 모습이 오늘날 축성된 것과 다른 점으로 볼 때 공산성에 대한 정비가 이뤄지기 이전의…
1968년 공산성 잠종냉장고 윗쪽 사면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자료 중앙부에 공북루 지붕의 모습을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금강교 주변에 펼쳐진 금강의 모래사장 모습도 볼 수 있으며, 전막 부근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1968년 공산성 진남루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 부근에는 견고하게 축성된 성벽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자료가 촬영될 당시에는 자연스럽게 축조된 성벽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쌍수정과 임류각지 방면으로 향하는 성벽길도 토성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1968년 공산성 성안마을의 모습이다. 정확한 촬영위치를 비정할 수 없으나, 성안마을 남쪽 둔덕에서 마을의 일부를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1968년 공산성 성벽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얕은 수심으로 인해 드러난 금강의 모래사장과 멀리 전막의 모습을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에서 물놀이를 하던 중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들의 뒷편으로 복구공사를 완료한 금강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금강교는 1950년 한국전쟁 때 미군의 폭격으로 소실되었다가 1952~1956년까지 복구공사를 진행했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공주고등학교 재학생의 졸업사진이다. 본 사진은 재학생 중 일부가 졸업사진 촬영을 위해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찾았는데, 그곳에서 중동성당의 첨탑을 배경으로 자세를 취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첨탑 뒤로는 공산성…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공주고등학교와 시가지 전경모습이다.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소실된 공주제일감리교회가 복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민천교와 멀리 공산성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운동장에서 재학생이 체육활동에 열중하는 모습도 엿 볼…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공주시가지와 산성공원을 바라본 모습이고,…
2020.06.29, 공주학아카이브 현재기록화 작업의 일환으로 공산성 명국삼장비 부근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이다. 금강과 쌍신공원, 신관동 일원, 취리산, 전막 부근을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