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부여군수가 제 25회 백제문화선양위원회 회의개최를 알리는 공문
1932년 충청남도도지사의 명의로 반포공립보통학교 제5학년 임월수 학생에게 수여한 표창장이다. 해당 학생은 충청남도지방비로 아동장학금사업규정에 의해 상품을 수여하고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1986학년도 정안초등학교 내 제반사항을 알려주는 학교요람 안내서이다.
1951년 공주군 우성면 주민의 사망신고서이다. 사망자의 성명, 본적 및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이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쿠마모토노리히로(熊本典宏)에게 보내는 편지의 초안문이다. 안희경에게 원고를 보냈고, 공주시내에 산재해 있는 웅진시대의 유물과 금후의 교류문제에 대해서 몇 가지 의견을 서술하였다고 밝혔다. 아울러 스케쥴에 맞도록 해 보겠다는 다짐이 담겨 있다.
기증자가 복룡국민학교에 교사로 재직할 당시 문교부장관에게 받은 표창장이다. 새마을교육 활동에 헌신적으로 노력하여 학생과 주민의 새마을정심 함양에 기여한 공을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1997.3.30.일자 공주사랑시민모임 3차 답사인 답사자료이다. 주요 수록내용으로 1.어원의 해석 2.곰사당(웅진당,웅진용당) 3.웅진도독부 4.복원한 충청감영,포정사 및 공산아문 동헌으로 구성되어 있다.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금강교 남단에는 학생으로 추정되는 인파가 빼곡하게 서있다. 더불어 오늘날 공산정 위치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한국식의 정자가 조성되어있다. 공산정이 1960년대 후반에 세워지는 점을…
누군가가 보내온 쪽지형 서신으로 윤여헌 교수를 '윤형'이라고 부르고 있다. 공주문화 5, 6호를 보내주어 고맙고, 윤여헌 교수가 집필한 칼럼의 충청도관찰사 사진도 확인하였다고 전하였다. 그러면서 관찰사와 관련된 역사자료를 요청하고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1954년 생산된 잠견공동판매전표로 발행된 영수증이다. 계산서 상단에는 발행날짜와 영수받는 사람의 주소, 성명을 적는 칸이 있고 그 아래로 잠견의 등급, 수량, 단가, 대금을 상세히 기재할 수 있도록 구획해놓았다.
1968년 공주군농업협동조합에 일정금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공주시 5도2촌 사업 중 생산한 마을조사기초자료집의 하나이다. 본 자료는 반포면 온천1리에 대한 마을 기초 현황 조사 설문지로 공주대학교 사학과 학생이 마을조사를 진행한 것을 담고있다.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장으로 재직중이던 시절, 장팔현 박사가 무령왕의 일대기를 그린 '소설 무령왕' 집필과 출간에 대하여 직접 작성한 격려사이다.
일본 도쿄의 미야모토 요시타(宮本嘉太)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낸 서신이다. 미야모토 요시타(宮本嘉太)는 일제강점기 공주면 본정에서 자동차 운수업을 하면서 충청남도평의회 의원을 지내던 미야모토 젠키치(宮本善吉, 1887~?)의 친척이다. 미야모토 젠키치는 1921년…
일제강점기 범람한 제민천 하류에서 바라본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범람지 위쪽으로 공주 갑부 김갑순이 건립한 사설시장과 봉황산 아래 공주지방법원을 비록하여 시가지의 모습이 잘 보인다. 무엇보다 금강이 범람하여 강물이 산성정의 시장 근처까지 차올라 배가 드나드는 모습을 볼…
1973년 9월 21일부터 1972년 12월 27일까지의 기록이다. 기증자의 개인적인 일화가 다수 차지하고 있다. 기증자는 신풍면 산정구에서 살면서 교동의 직물공장과 유구의 직물공장에서 근무하였고, 결혼을 하면서 사곡면으로 오게 되었다. 일기는 혼인을 한 시점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