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재판기록 열람등사 청구서 양식
일본국 사가현 가라쓰시 소재의 가카라시마에 무령왕 탄생기념비를 설치하는 공사의 계획안이다.
공주사범대학 백제문화연구소 연혁 및 주요업적
1980학년도 제56회 정안초등학교 졸업식에서 배포한 학사보고 안내서이다.
수부(受附)와 등기 목적, 원인일, 권리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다. 등기제에 의하면 소유자 이전 신청을 위해 서류를 작성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등기제를 신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등기제 대신 등기신청을 마친 문서라는 뜻으로 '등기필'로 바뀌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이삼평 연구회에 관한 정관 서류이다. 식순 및 회칙 등에 관한 안건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공주대학교에서 학교 홍보를 위해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무용학과의 전통공연 모습을 담고있다.
1981.02.26,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45차 정기총회 속기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1980년도 사업실적에 대한 심의와 감사보고를 진행했고, 동년도 세입세출 결산안을 의결했다. 나아가 1981년도 사업계획서와 세입세출 예산안도 심의…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삼세불도-약사회상에 관한 조사카드이다.
서류1 : 회의안내(상징물 제작 심사)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2007년 10월에 진행될 공주로터리리클럽 30주년 행사를 위해 일본 누마즈클럽 측과 3차례에 걸쳐 통화한 내용에 대해 요약정리한 것이다. 첫번째 메모는 문서등록번호 500011675 자료와 관련된 메모로, 2차 연락을 취하기로…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1961년 남궁화의 나이 40세가 되던 해에 공주, 대전, 안동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앞부분에는 그 해의 월간동정표와 신문에서 스크랩한 당대의 월별 물가내역 등이 있다. 그 뒤로 우편 송수신내역이 있고, 그 뒤로 당해년도의 월별특기사항, 독서기록 등 부록내용이…
제 26회 백제문화제 행사를 총평, 행사별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서 양식
공주백제문화제에 관한 인사말, 위원회 부원 목록, 식순, 구체적인 행사일정과 함께 공주군민의 노래 및 협찬사를 수록함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15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