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4년 기증자가 공주영명중학교를 졸업하면서 수여받은 졸업장이다.
『오우치 문화 마을 만들기 추진 계획』에서 발췌한 오우치(大内)의 연표이다. 서기, 연도별로 정리되어있고 옆에 별도로 오우치가의 족보가 있다.
충청남도새마을회 자문위원 위촉식, 부녀정기총회 개최, 지역정기총회 개최, 제3차 새마을운동활성화 민관협력 실무 워크샵, 사랑의 쌀나누어주기 출정식, 서산시 새마을활성화 다짐대회,2월 주요사업 추진 계획
기증자가 1960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에서 공산성 쌍수정에 대한 글을 발췌한 것이다. 좌측 상단에는 해당 글에 대한 기증자의 메모가 적혀있다.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1989년 공주시 교육청에서 주최한 제5회 학교 간 경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김영란 학생이 여국5부(200m)부에서 3위를 기록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을 받았다.
이문호가 1학년 재학 중에 제1학급 제3학기의 부급장으로서 받은 임명장이다. 학교명은 '新上德巖公立國民學校'로 기대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1989년 공주시 교육청에서 주최하는 미래과학 글짓기 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6학년 신용섭 학생이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공주문화원에서 고장의 원로를 모시고 고사 및 자문의 시간을 갖고자 배포한 초청장이다. 지역 원로 명단과 일제강점기 공주의 주요사건 연표가 간략히 작성되어 있다.
대전시에서 주최하는 제 22회 백제문화제에 대한 대전시민헌장, 국민교육헌장, 취지문, 인사의 말씀, 격려사, 백제문화제 대전시 행사 집행위원회, 세부 시행 계획, 초롱등 점화장소 위치도, 행사목록이 수록됨
2013년 9월 27일부터 30일까지 공주에서 진행한 백제문화제 가라츠무령왕실행위원회팀 방문 일정 자료다. 일시, 장소, 일정, 참가자명단, 일본노래가사가 적혀있다.
대전시에서 주최하는 제 22회 백제문화제에 대한 행사정리서의 표지
전문은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행사 계획을 통보하는 공문이며 후문은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위원회명단과 행사총괄목록, 진행일정표를 수록함, 결제 칸 부재
1990년 12월 10일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표한 1990년 구룡사지 시굴조사 중간보고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조사명
2. 위치
3. 조사자
4. 조사기간
5. 조사목적
6. 조사지역 환경
7. 조사의 경과
8. 조사내용
9. 출토유물
10. 맺음말
세례증서(2) - 성인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1986년 공주문화원에서 제2차 특별문화강좌를 개최하면서 발송한 초청장이다.
1976학년도 정안초등학교 내 제반사항을 알려주는 학교요람 안내서이다.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 출판전 일부 교정본이다. 기증자가 펜으로 교정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