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철학사 강의록이다. 고대철학부터 19세기 이후 철학에 걸친 전체적 철학사를 기술하고 있다.
기증자가 공주의 충효열 유적에 대해 조사하기 전 모아둔 기초조사자료집이다.
1986.04.26,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된 제14대 이사장 취임식 회의록이다. 당시 제13대 이사장인 이병오 공주군수가 직위 경질되면서 공석이된 이사장 자리를 새로운 공주군수 박찬무씨가 피선되면서 본 자료의 내용과 같은 취임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2003년 공주사범대학부설중등교원연수원에서 진행한 연수교재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2. 국민주권
3. 기본권
4. 권력분립주의
무령왕 어떤 인물인가(공주대학교 정재윤)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에서 주최하고 한국특수교육협회에서 주관한 제29회 전국 특수교육분과 현장연구 발표대회에서 3등급을 받아 이를 표창하는 내용이다. 기증자는 공주의 특수학교인 정명학교의 교사로 재직하였다.
유구 신영리 여드니 마을조사 중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이다. 메모에는 가평이씨와 용인이씨에 관한 간략한 가계도가 작성되어 있으며 마을과 관련된 지명이 나열되어있다.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1991학년도 제2학기 출석수업통보 및 강의시간표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구원투수조 인터뷰(이예선)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광보전에 걸려있는 '마곡사심검당중건시주방명록'에 관한 것이다. 마곡사 심검당의 중건 당시 시수자의 명단이다.
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의 금강 상류를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철거되었으며,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가에서 작업에 열중하는 아낙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서울우유에서 만든 2002년 책상달력이다. 매달 로터리 클럽 활동이 빠지지 않고 기록되고 있으며, 청소년 관련 행사 및 제2건국추진위원회 일정도 간혹 보인다.
1985년 공주문화원에서 내고장 문화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청양출신 최창규 선생을 초청한 강좌 개최를 알리는 공문을 공주지역 각 사회단체에 발송한 것이다.
1960년 정안국민학교 제4학년 강득희 학생의 평소 품행이 단정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의 상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