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옹정 12년(1734, 영조10) 9월, 새로 급제한 이언세를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임명하는 이조 차정첩
전 공주교대 총장 및 김영배, 안승주 교수와 함께 무령왕릉 발굴에 참여했던 박용진 님이 작성한 초고이다. 백제의 공주 천도 1500주년을 맞이하여 그 의미와 공주백제의 문화에 대한 글을 작성하였다. 머리말 이후 1. 공주백제시대의 역사 1) 공주백제의 시대개관 2)…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메모로, 옛 충청감사가 공주를 방문하여 지은 한시의 원문을 기재해 둔 것이다. 이안눌의 선화당, 송상기 시, 홍수주의 관풍루, 홍중하의 시가 있다.
'일한 우호의 역사' 개요 원고이다. 윤여헌 교수의 여러 메모가 적혀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심검당 편액에 관한 것이다. 심검당 편액은 송하 조윤형의 글씨로 현판 좌측 하단에 송하라는 관지가 존재한다.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도지사 지시사항, 행사계획과 관병 연구과제, 행사별 세부계획안을 종목별로 수록함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집행위원명단, 행사비 수입부 및 행사비 지출부, 행사장소와 개요 및 행사일정을 수록함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1969년 공주북중학교에서 주최한 제1회 군내 국민학교 대항 학술 및 체육대회에서 씨름부문 우승을 거둔 귀산국민학교 A팀에게 수여한 상장이다.
제 45회 백제문화제의 추진계획안 및 예산안 , 제 46회 백제문화제의 발전방향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명단 수록
1969년 삼일절을 맞이하여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한 국기계양운동과 관련한 국기계양법 계도 안내문이다.
기증자가 1960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에서 공산성 쌍수정에 대한 글을 발췌한 것이다. 좌측 상단에는 해당 글에 대한 기증자의 메모가 적혀있다.
1972년 11월 12일에 공주고등학교 동창회에서 작성한 지난 50년간 공주고등학교의 모습을 담은 문서이다. 공주고등학교 동창회장 인사말,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과학관, 기숙사, 악대, 김종필 동문의 모교 방문, 도서관, 역대 교장, 동창회 조직 현황, 학교 연혁,…
백제문화선양위원회위원장의 주재로 제 42회 백제문화제의 행사기간 결정 , 행사종목 선정 , 역사문화행렬 종목선정 , 팔도풍물시장 운영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회의요약 , 부여군백제문화선양위원회 명단 수록
2006년 5월 17일 오후 2시 스카이라운지에서 진행한 무령왕 기념비 좌담회에 관한 문서이다. 무령왕 기념비의 제작 경과 보고, 무령왕 기념비 디자인 개요, 무령왕 기념비 좌담회 안내가 적혀있다.
연구실적심사요령(교내)
홍보글이다. 일본고성동호회에서 7월 견학회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일본고성동호회 30주년 기념 해외견학회 예고가 강조되어 있다. 별도로, 헤이세이 6(1994)년도 성곽연구실 시민 세미나를 연다는 소식도 있다.
1990학년도 우성초등학교 현황이 담긴 문서이다.
계룡국민학교 제33회 졸업생 유국종님의 졸업장이다. 본교 6개년 과정을 졸업하여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단기4288년 3월 31일자로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