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제23회 백제문화제 사진이다. 전통탈놀이가 시작되며 관람객들과 함께 어우러져 분위기를 돋우고 있다.
1990년 발행된 공주여고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일제강점기 학생들이 금강에서 수영교육을 진행하는 장면이다.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0200&parkNavGb=epil_photo&menuNo=7020086
반죽동의 가게 변천②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이곳이 목욕탕이었다고 한다. '이응배'라는 분의 소유였다고. 현재의 주인집에서 이집을 인수한 건 1968년. 무궁화목욕탕이란 이름이 인수하기 전에도 사용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한다. 그 당시 목욕탕을 운영했던 분도…
38회 콜로키움에서 강연자인 공주대학교 사학과 이남석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2008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거리에 만개한 벚꽃 (5)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군 농촌지도소 주관의 여름철 벼농사에 대한 농민교육으로 기간은 198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2020년 08월에 진행될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리모델링 공사를 앞두고 행정실에서 기록한 2층 210호 강의실의 모습이다. 에어컨에 부착된 기증표시를 통해 210호가 경제통상학부에서 사용하던 공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106)
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정안초등학교로 남아있다.
마곡국민학교에서 자매부락인 가교2리 춤다리마을에 꽃동산을 조성하고 있는 모습이다.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꽃동산을 조성하는 국민학교 봉사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봉황산에서 찍은 공주 시가지의 풍경이다. 중동성당과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기숙사 시가지의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앵산공원에 백제박물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40년 이후의 시가지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진속 중앙 부분에 제공자 집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공주시 상왕동의 성암 이철영을 기리는 숭의사 내 사우의 모습이다.
반포면 학봉리에 위치한 음식점 한가위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13년 백제문화학교 야외수업 답사프로그램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2004 고마나루 전통축제 옥외홍보물 소형 홍보패널 (1)
공주새마을운동 – 콩신품종 종자증식 시범포(1)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