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7.07.10,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13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회의에서는 제12차 이사회 회의록 채택을 진행했으며, 문화원 운영 상황에 대한 보고와 명예이사장 천흥락씨 공덕비 건립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무령왕 탄생 기념비 건립 계획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적은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기념비 비문의 문제
2. 기념비의 부속문 초안
3. 기념비의 외양
4. 탄생기념 조형물
5. 역사개요 및 한일 참여자 명단석
6. 정리
7. 결론
남궁화가 1957년에 대전, 서울, 보령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기증자의 아버지인 서정수의 목면국민학교 졸업장이다. 졸업자의 성명과 출생년도가 기입되어 있다. 졸업자는 공주군 우성면에서 거주하며 생활권이 인접한 청양군 목면리의 학교를 다녔다. 목면공립국민학교는 청양군 목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목면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1961년 공주 계룡면 농지계에서 발행한 가영수증으로, 농지대금 상환금 일금 구천칠백이십팔원을 영수하였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는 방식으로 글자를 썼으며, 영수 받는 자의 성명과 주소가 좌측 상단에 기재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제반문'에 관한 것이다. 본 자료는 불교의식집을 필사한 것으로 우리나라 사찰에서 행해진 일상의 의식문을 모아 둔 것이다.
파평 윤씨 시조부터 38세까지 적힌 세계도이다.
백제문화제의 연구목적 , 제 46회 개최현황과 조사결과 분석, 백제문화제 활성화 방안 , 48회 백제문화제 기본계획안을 수록함
2008년 충현서원 주자영정의 국보지정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과정에서 복사한 충현서원지의 일부이다.
2013년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신년을 맞이하여 발행한 교육수첩이다. 내부에는 각종 교육청의 전화번호와 고관의 연락처가 수록되어 있다.
1989년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공주문화원 주최 간담회의 참여자 명단이다.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1930년대 초반의 봄, 오늘날 공주 3.1 중앙공원에서 촬영한 사진을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에서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하여 발행한 자료이다. 공주 원도심에서 꽃놀이 명소로 꼽히는 앵산공원과 멀리 봉황산 아래 도청을 비롯한 시가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9년 6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소화 15년 3월 25일에 계룡공립심상소학교에서 발행한 민병영 님의 상장이다. 2학년과 민병영이라는 이름이 한자로, 기재되어 있으며, 품행이 올바르고, 학업에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상과 상품을 수여하여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수업료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수증에 의하면 청구한 수업료는 12월과 1월분으로, 일금 오만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1988년 1월 31일 발행한 한국지적소유권학회 소식 제12호다. 학회활동일지가 적혀있다.
1956년 기증자의 여동생이 월산국민학교 재학 중 수여받은 근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