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8 생산일자1930.11.1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6 생산일자1926.05.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등록번호100016043 생산일자1992.00.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민간신앙,민속>지명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 |
제목 정화회 도장 1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6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1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0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30 생산일자1978.11.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29 생산일자1977.1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정화회 도장 3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8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
![]() |
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
![]() |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
![]()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
![]() |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
![]()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
![]()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
![]()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
![]()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
![]()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
![]()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
![]()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
![]()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
![]() |
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
![]() |
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100015778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
|
100015696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
|
100016043 공주지명고(公州地名考)(1) |
|
50000875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120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600000926 정화회 도장 1 |
|
200048686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
|
500010571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
|
500010570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
|
500010569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
|
500010568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
|
500010567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
|
100019730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
|
100019729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
|
600000928 정화회 도장 3 |
|
500008176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
|
500008141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
|
500010505; 500010505;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0811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제목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8
생산일자1930.11.1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6
생산일자1926.05.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제목 정화회 도장 1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6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1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0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30
생산일자1978.11.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29
생산일자1977.1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정화회 도장 3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8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