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4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2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1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관계자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80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3)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가운데 인물이 김의창 충남도지사(제12대)이다. 등록번호200031179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2)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8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7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1)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6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에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성화봉송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1966년 10월 6일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는 공산성 쌍수정에 마련된 성화대에 점화되었는데, 당일 3시 30분 성화봉에 재점화된 성화는 10여명의 대학생에 의해 이어달리기로 봉송되어 오후 7시경 부여 삼충사 앞 성화대에 안치되었다. 등록번호200031175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성화봉송을 담당한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4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이다. 행사장에 당시 숨낳은 인파가 몰렸음을 알 수 있다. 맨 앞에 교복을 입은 여학생들은 공주여고 또는 공주여중 학생들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31173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인파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사람들의 모습이다. 해당장소는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이다. 1966년은 공주가 백제문화제에 처음 참여한 해이므로, 공주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웠음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31172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산성 쌍수정에서 고흥박사에 대한 추모제를 지냈는데, 그 앞 쌍수광장에서 행사 관계자와 관중들이 지켜보고 있다. 등록번호200031171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군악대가 악기를 연주하고 있으며, 그 뒤로는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있는 공주여중 또는 공주여고 학생들의 모습이 보인다. 당시 쌍수광장에는 수많은 인파들로 북젹었는데, 1966년은 공주가 백제문화제에 처음 참여한 해이기 때문이다. 등록번호200031170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 중 하나이다. 등록번호200031169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8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7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6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5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관계자들의 모습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가운데 인물이 김의창 충남도지사(제12대)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내빈의 모습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
![]() |
1966년에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성화봉송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1966년 10월 6일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는 공산성 쌍수정에 마련된 성화대에 점화되었는데, 당일 3시 30분 성화봉에 재점화된 성화는 10여명의 대학생에 의해…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성화봉송을 담당한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
![]() |
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이다. 행사장에 당시 숨낳은 인파가 몰렸음을 알 수 있다. 맨 앞에 교복을 입은 여학생들은 공주여고 또는 공주여중 학생들로 보인다. |
![]() |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인파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사람들의 모습이다. 해당장소는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이다. 1966년은 공주가 백제문화제에 처음 참여한 해이므로, 공주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웠음을 엿볼 수 있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산성 쌍수정에서 고흥박사에 대한 추모제를 지냈는데, 그 앞 쌍수광장에서 행사 관계자와 관중들이 지켜보고 있다. |
![]() |
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군악대가 악기를 연주하고 있으며, 그 뒤로는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있는 공주여중 또는 공주여고 학생들의 모습이 보인다. 당시 쌍수광장에는…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 중 하나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
![]() |
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
![]() |
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
200031184 제12회 백제문화제 - 고흥박사 추모제 (6) |
|
200031183 제12회 백제문화제 - 고흥박사 추모제 (5) |
|
200031182 제12회 백제문화제 - 고흥박사 추모제 (4) |
|
200031181 제12회 백제문화제 - 고흥박사 추모제 (3) |
|
200031180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
|
200031179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3) |
|
200031178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2) |
|
200031177 제12회 백제문화제 - 내빈 축사 (4) |
|
200031176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1) |
|
200031175 제12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준비 |
|
200031174 제12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
|
200031173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0) |
|
200031172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인파 |
|
200031171 제12회 백제문화제 - 고흥박사 추모제 (2) |
|
200031170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9) |
|
200031169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8) |
|
200031168 제12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
|
200031167 제12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
|
200031166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7) |
|
200031165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6)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4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2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1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을 취재하러 온 방송사 관계자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80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3)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가운데 인물이 김의창 충남도지사(제12대)이다.
등록번호200031179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2)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8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7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 (1)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6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에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성화봉송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1966년 10월 6일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는 공산성 쌍수정에 마련된 성화대에 점화되었는데, 당일 3시 30분 성화봉에 재점화된 성화는 10여명의 대학생에 의해 이어달리기로 봉송되어 오후 7시경 부여 삼충사 앞 성화대에 안치되었다.
등록번호200031175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성화봉송을 담당한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74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이다. 행사장에 당시 숨낳은 인파가 몰렸음을 알 수 있다. 맨 앞에 교복을 입은 여학생들은 공주여고 또는 공주여중 학생들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31173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2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인파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을 구경하기 위해 몰린 사람들의 모습이다. 해당장소는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이다. 1966년은 공주가 백제문화제에 처음 참여한 해이므로, 공주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웠음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31172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산성 쌍수정에서 고흥박사에 대한 추모제를 지냈는데, 그 앞 쌍수광장에서 행사 관계자와 관중들이 지켜보고 있다.
등록번호200031171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군악대가 악기를 연주하고 있으며, 그 뒤로는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있는 공주여중 또는 공주여고 학생들의 모습이 보인다. 당시 쌍수광장에는 수많은 인파들로 북젹었는데, 1966년은 공주가 백제문화제에 처음 참여한 해이기 때문이다.
등록번호200031170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현장 모습 중 하나이다.
등록번호200031169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8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때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를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하기 위해 봉송하고 있는 백제병사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7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6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10월 6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165
생산일자1966.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