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5101건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2)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2)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306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1)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305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7)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7)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으로, 정석모 충남도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4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정석모 충남도지사)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정석모 충남도지사)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들의 모습이다. 흰색 두루마기를 입고 악수를 하고 있는 인물이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 재임 1973.10.20~1973.12.10)이다.

등록번호|200031303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6)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6)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2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5)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5)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이 보인다. 백제문화제 당시 쌍수정에서는 백제4왕(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에 대한 추모제가 진행되었다.

등록번호|200031301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4)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4)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0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3)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3)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31299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2)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2)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내빈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298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1)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당시 내빈으로 참석한 정석모(재임 1973.1.20~1973.12.10)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297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등록번호|200031296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등록번호|200031295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로, 가운데 있는 육각정은 '근향정'이다. 근향정은 원래 교통통제를 목적으로 충남도청(대전) 앞에 위치하였으나, 후에 공주로 옮겨와 처음에는 중동사거리에 위치했다가, 이후 춘수정(금성동의 노인정) 앞으로, 그리고 다시…

등록번호|200031294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성화는 지금의 무령로를 따라 중동사거리를 향해 가고 있다. 좌측에 위치한 초록색 간판의 제일가축병원(산성동 120-2)은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한편 거리에 걸린 현수막 '잘말리고 정선하면 전량합격 높은 등급'이라는 문구를 통해…

등록번호|200031293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2)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2)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사람들 뒤로 보이는 건물은 지금의 동양당안경원(산성동 120-5)이 있는 건물이다.

등록번호|200031292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1)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1)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 위해 홰를 옮기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등록번호|200031291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2)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2)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처음엔 계룡산(제12회~제17회)이었다가 제18회 백제문화제부터는 봉황산(제18회~제42회)이었고, 제43회부터 현재까지는…

등록번호|200031290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1)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1)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처음엔 계룡산(제12회~제17회)이었다가 제18회 백제문화제부터는 봉황산(제18회~제42회)이었고, 제43회부터 현재까지는…

등록번호|200031289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준비행렬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준비행렬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주문화원 앞(지금의 우체국길)을 지나고 있는 성화채화 준비행렬의 모습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때의 채화장소는 봉황산이었다. 한편 거리에 걸린 플랜카드를 통해 당시 공주우체국에서 우표전시회를 진행할 예정 또는 진행중이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31288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17회 백제문화제 - 음악과 무용의 밤 (2)

제목| 제17회 백제문화제 - 음악과 무용의 밤 (2)

범위와내용|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7일) 열린 '음악과 무용의 밤' 행사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287

생산일자|1971.10.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5101건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2)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2)

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1)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1)

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7)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7)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으로, 정석모 충남도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정석모 충남도지사)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정석모 충남도지사)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들의 모습이다. 흰색 두루마기를 입고 악수를 하고 있는 인물이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 재임…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6)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6)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5)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5)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이 보인다. 백제문화제 당시 쌍수정에서는 백제4왕(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에…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4)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4)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3)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3)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보인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2)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2)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내빈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1)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1)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당시 내빈으로 참석한 정석모(재임 1973.1.20~1973.12.10)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

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로, 가운데 있는 육각정은 '근향정'이다. 근향정은 원래 교통통제를 목적으로 충남도청(대전) 앞에…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성화는 지금의 무령로를 따라 중동사거리를 향해 가고 있다. 좌측에 위치한 초록색 간판의 제일가축병원(산성동 120-2)은…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2)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2)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사람들 뒤로 보이는 건물은 지금의 동양당안경원(산성동 120-5)이…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1)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1)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 위해 홰를 옮기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2)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2)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1)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1)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준비행렬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준비행렬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주문화원 앞(지금의 우체국길)을 지나고 있는 성화채화 준비행렬의 모습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때의 채화장소는 봉황산이었다. 한편 거리에 걸린 플랜카드를 통해 당시 공주우체국에서 우표전시회를 진행할…
제17회 백제문화제 - 음악과 무용의 밤 (2)

제17회 백제문화제 - 음악과 무용의 밤 (2)

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7일) 열린 '음악과 무용의 밤' 행사모습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5101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5101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5101건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2)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306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점화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성화점화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305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7)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으로, 정석모 충남도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4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정석모 충남도지사)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 참석한 내빈들의 모습이다. 흰색 두루마기를 입고 악수를 하고 있는 인물이 정석모 충남도지사(제15대, 재임 1973.10.20~1973.12.10)이다.

등록번호|200031303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6)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2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5)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이 보인다. 백제문화제 당시 쌍수정에서는 백제4왕(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에 대한 추모제가 진행되었다.

등록번호|200031301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4)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300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3)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린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모습이다. 내빈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뒤로 쌍수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31299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2)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내빈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298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내빈 축사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당시 내빈으로 참석한 정석모(재임 1973.1.20~1973.12.10)의 축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31297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서막식 (1)

범위와내용|1977년 10월 20일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진행된 제23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한 장면이다.

등록번호|200031296

생산일자|1977.10.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5)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등록번호|200031295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4)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로, 가운데 있는 육각정은 '근향정'이다. 근향정은 원래 교통통제를 목적으로 충남도청(대전) 앞에 위치하였으나, 후에 공주로 옮겨와 처음에는 중동사거리에 위치했다가, 이후 춘수정(금성동의 노인정) 앞으로, 그리고 다시…

등록번호|200031294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3)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채화된 성화(백제혼불)을 점화하기 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성화는 지금의 무령로를 따라 중동사거리를 향해 가고 있다. 좌측에 위치한 초록색 간판의 제일가축병원(산성동 120-2)은 현재도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한편 거리에 걸린 현수막 '잘말리고 정선하면 전량합격 높은 등급'이라는 문구를 통해…

등록번호|200031293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2)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위해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성화봉송을 진행하는 사람들 뒤로 보이는 건물은 지금의 동양당안경원(산성동 120-5)이 있는 건물이다.

등록번호|200031292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봉송 (1)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채화한 성화(백제혼불)를 점화하기 위해 홰를 옮기는 모습이다. 사진 속 장소는 중동사거리이다.

등록번호|200031291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2)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처음엔 계룡산(제12회~제17회)이었다가 제18회 백제문화제부터는 봉황산(제18회~제42회)이었고, 제43회부터 현재까지는…

등록번호|200031290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1)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처음엔 계룡산(제12회~제17회)이었다가 제18회 백제문화제부터는 봉황산(제18회~제42회)이었고, 제43회부터 현재까지는…

등록번호|200031289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23회 백제문화제 - 성화채화 준비행렬

범위와내용|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공주문화원 앞(지금의 우체국길)을 지나고 있는 성화채화 준비행렬의 모습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때의 채화장소는 봉황산이었다. 한편 거리에 걸린 플랜카드를 통해 당시 공주우체국에서 우표전시회를 진행할 예정 또는 진행중이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31288

생산일자|1977.10.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제17회 백제문화제 - 음악과 무용의 밤 (2)

범위와내용|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7일) 열린 '음악과 무용의 밤' 행사모습이다.

등록번호|200031287

생산일자|1971.10.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