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분류
-
-
- 지리,환경 1367
-
100016050 택리지(擇里志)를 통해 본 충청도 |
|
100011960 공주지역의 비저항탐사 및 해석 |
|
500008183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
500008177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5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
|
50000875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120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08176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
|
500010505; 500010505;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0811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
500008117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
50000818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500007858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
|
50000814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124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
|
500010507; 500010507; 50001050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
500010499; 500010499; 500010499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
500007859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
|
500010506; 500010506; 500010506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범위와내용ABSTRACT Ⅰ. 序論 Ⅱ. 地質 1. 地質槪要 2. 地質構造 Ⅲ. 電氣比抵抗探査 1. 原理 2. 探査 3. 解析 Ⅳ. 結論 參考文獻
등록번호100011960
생산일자1979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지리,환경>지형,지질,기후>지질
범위와내용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형상을 보인다. 이 엽서 속 공주모습은 1912년 미북감리회 Fleming H.Reve가 지은…
등록번호500007859
생산일자1913.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