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분류
-
-
- 지리,환경 1378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등록번호50000784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제목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범위와내용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등록번호600000620 생산일자1989.08.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제목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범위와내용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오두재 부근의 항공촬영사진이다. 본 사진은 청양군 쪽의 자성천이 금강과 합수되는 곳의 모습이다.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600000619 생산일자1989.08.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백제포럼이 주최하고 공주학연구원이 주관하여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고마나루실에서 진행된 행사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등록번호600000605 생산일자2016.02.04 형태박물류>현수막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제목 충남의 영산 계룡산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첫걸음: 계룡산 세계문화유산으로의 가능성 범위와내용금강뉴스가 주관하고 공주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계룡산문화연구소, 계룡산세계유산등재추진협의회 등의 후원으로 진행한 회의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등록번호600000577 생산일자2016.07.19 형태박물류>현수막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
범위와내용명치 44년(1911) 공주-대전 간 도로 공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부분과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담은 작은 지도가 담겨있다. 등록번호600000545 생산일자1913.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1913년 공주시가도 범위와내용대정 2년(1913)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가도이다. 해당지도에는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부분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등록번호600000544 생산일자1913.03.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범위와내용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등록번호600000543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제목 충청남도행정도 범위와내용1962년 발행된 충청남도 전반에 대한 행정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40 생산일자1962.07.2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제목 충청남도행정도(봉투) 범위와내용1962년 발행된 충청남도행정도의 겉을 감싸는 봉투이다. 표면에는 지도를 제작한 업체의 이름과 전화번호, 지도의 값이 적혀있다 등록번호600000539 생산일자1962.07.2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8 생산일자1936.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7 생산일자1936.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6 생산일자1922.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5 생산일자1918.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4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3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2 생산일자1940.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1 생산일자1917.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0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
![]() |
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오두재 부근의 항공촬영사진이다. 본 사진은 청양군 쪽의 자성천이 금강과 합수되는 곳의 모습이다.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
백제포럼이 주최하고 공주학연구원이 주관하여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고마나루실에서 진행된 행사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 |
충남의 영산 계룡산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첫걸음: 계룡산 세계문화유산으로의 가능성 금강뉴스가 주관하고 공주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계룡산문화연구소, 계룡산세계유산등재추진협의회 등의 후원으로 진행한 회의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
|
![]() |
명치 44년(1911) 공주-대전 간 도로 공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부분과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담은 작은 지도가 담겨있다. |
![]() |
대정 2년(1913)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가도이다. 해당지도에는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부분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
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 |
1962년 발행된 충청남도 전반에 대한 행정지도이다. | |
1962년 발행된 충청남도행정도의 겉을 감싸는 봉투이다. 표면에는 지도를 제작한 업체의 이름과 전화번호, 지도의 값이 적혀있다 | |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 |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 |
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 |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 |
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 |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 |
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 |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 |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
500007845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
|
500007844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
|
600000620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
|
600000619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
|
600000605 콘텐츠로서의 계룡산, 현황과 과제 현수막 |
|
600000577 충남의 영산 계룡산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첫걸음: 계룡산 세계문화유산으로의 가능성 |
|
600000545 공주-대전 간 도로공사표 및 공주시가도 |
|
600000544 1913년 공주시가도 |
|
600000543 1:200,000 공주지도(1918) |
|
600000540 충청남도행정도 |
|
600000539 충청남도행정도(봉투) |
|
600000538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7 1:15,000 공주지도(1915) |
|
600000536 1:15,000 공주지도(1914) |
|
600000535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4 1:15,000 공주지도(1917) |
|
600000533 1:15,000 공주지도(1915) |
|
600000532 1:15,000 공주지도(1914) |
|
600000531 1:15,000 공주지도(1916) |
|
600000530 1:15,000 공주지도(1915)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등록번호50000784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범위와내용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등록번호600000620
생산일자1989.08.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범위와내용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오두재 부근의 항공촬영사진이다. 본 사진은 청양군 쪽의 자성천이 금강과 합수되는 곳의 모습이다.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600000619
생산일자1989.08.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백제포럼이 주최하고 공주학연구원이 주관하여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고마나루실에서 진행된 행사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등록번호600000605
생산일자2016.02.04
형태박물류>현수막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충남의 영산 계룡산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첫걸음: 계룡산 세계문화유산으로의 가능성
범위와내용금강뉴스가 주관하고 공주시, 공주향토문화연구회, 계룡산문화연구소, 계룡산세계유산등재추진협의회 등의 후원으로 진행한 회의를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등록번호600000577
생산일자2016.07.19
형태박물류>현수막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명치 44년(1911) 공주-대전 간 도로 공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부분과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담은 작은 지도가 담겨있다.
등록번호600000545
생산일자1913.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1913년 공주시가도
범위와내용대정 2년(1913)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가도이다. 해당지도에는 1910년대 당시 공주시가부분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등록번호600000544
생산일자1913.03.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등록번호600000543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충청남도행정도(봉투)
범위와내용1962년 발행된 충청남도행정도의 겉을 감싸는 봉투이다. 표면에는 지도를 제작한 업체의 이름과 전화번호, 지도의 값이 적혀있다
등록번호600000539
생산일자1962.07.2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8
생산일자1936.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7
생산일자1936.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6
생산일자1922.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5
생산일자1918.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4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3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2
생산일자1940.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1
생산일자1917.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0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