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분류
-
-
- 지리,환경 1378
-
![]() |
제목 효지산 전경 범위와내용보성오씨와 관련된 공주시 효지산 일대의 전경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888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산>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2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선교사 가옥 부근에서 내려다 본 북쪽 공주 시가지의 모습이다. 공주지방법원과 앵산공원을 중심으로 하얀 벚꽃이 피었으며, 특히 공산성으로 가는 옛 길을 따라 벚꽃터널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현 공주역사영상관의 전신으로 1923년 건립된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중엽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2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대한제국시기인 1909년 공주 시가지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적인 관공서가 들어서기 전의 모습으로 시가지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충청감영의 옛 건물로 포정사나 선화당, 객사, 향옥 등 조선시대 지방치소로서의 모습이 남아있다. 또한 공산성에서 중동으로 이어지는 대로가 일찍부터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엽서 속 모습은… 등록번호500008246 생산일자1909.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등록번호500008209 생산일자1926.10.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등록번호5000082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에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장소를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32) 폐지될 때까지 중요한 군사기능을 했다. 한편 멀리 공산성의 쌍수정을 비롯하여 진남루 부근 옛… 등록번호500008204 생산일자19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2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818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공주간 연락선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철도선로안내라는 책자에 수록된 사진에 기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8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연락선의 모습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부강 부근의 고려산과 금강에 떠있는 선박의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1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을 배경으로 제작한 그림엽서이다. 해당 엽서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중 일부이다. 등록번호5000081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에 걸려있는 일장기의 모습이 서슬퍼런 시대를 말해주며, 관아대로에 위치한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거리의 활기찬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200048880 효지산 전경 |
|
500008248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
500008247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
|
500008246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
|
500008209 일제강점기 유성천에서 바라본 계룡산 풍경 엽서 |
|
500008208 일제강점기 부강의 금강변 풍경 엽서 |
|
500008204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
|
500008200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통의 풍경 |
|
500008188 1910년대 전반경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 엽서 |
|
50000818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500008183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
500008182 일제강점기 부강-공주 간 연락선 엽서 |
|
500008181 일제강점기 부강연락선 엽서 |
|
500008180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
|
500008178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 엽서 |
|
500008177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6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5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4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 엽서 |
|
500008173 일제강점기 공주 도청 앞 욱정통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2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선교사 가옥 부근에서 내려다 본 북쪽 공주 시가지의 모습이다. 공주지방법원과 앵산공원을 중심으로 하얀 벚꽃이 피었으며, 특히 공산성으로 가는 옛 길을 따라 벚꽃터널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현 공주역사영상관의 전신으로 1923년 건립된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중엽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2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대한제국시기인 1909년 공주 시가지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적인 관공서가 들어서기 전의 모습으로 시가지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충청감영의 옛 건물로 포정사나 선화당, 객사, 향옥 등 조선시대 지방치소로서의 모습이 남아있다. 또한 공산성에서 중동으로 이어지는 대로가 일찍부터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엽서 속 모습은…
등록번호500008246
생산일자1909.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등록번호500008209
생산일자1926.10.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등록번호5000082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에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장소를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32) 폐지될 때까지 중요한 군사기능을 했다. 한편 멀리 공산성의 쌍수정을 비롯하여 진남루 부근 옛…
등록번호500008204
생산일자19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20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818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공주간 연락선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철도선로안내라는 책자에 수록된 사진에 기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8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연락선의 모습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부강 부근의 고려산과 금강에 떠있는 선박의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1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을 배경으로 제작한 그림엽서이다. 해당 엽서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중 일부이다.
등록번호5000081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에 걸려있는 일장기의 모습이 서슬퍼런 시대를 말해주며, 관아대로에 위치한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거리의 활기찬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