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5460
-
-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5460
-
![]() |
범위와내용1960년에 촬영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공산성 방향에서 원거리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26032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동학사 나들이를 간 가족 모두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90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 내외, 조카가 함께 찍은 가족사진 등록번호200025989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의 식구들과 기증자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8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조카와 기증자 등록번호200025987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 다리에 걸터앉은 조카와 기증자 등록번호200025986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 내외, 조카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5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동학사 다리 앞 계곡에서 결혼한 언니 내외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4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제목 원통전의 겨울 범위와내용원통전의 설경. 보수 후의 모습이다. 지붕도 단장하고 ‘원통전’편판, 창문 등도 모두 새롭게 보수했다. 계단 옆 2개의 등이 사라진 것이 못내 아쉽다. 등록번호200025752 생산일자2006.12.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영은사와 주민 범위와내용초가을 아침, 공산성 운동하는 길에 영은사 앞을 지나면서 예를 올리는 모습에서 깊은 불심을 읽을 수 있다. 등록번호200025751 생산일자199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영은사 원통전 (4) 범위와내용영은사 대웅전 처마와 원통전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25750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영은사 원통전 (3)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영은사 원통전 (2)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8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영은사 원통전 (1)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7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공산성 성황당 범위와내용진남루 앞 성황당. 정리된 모습이며, 돌로 쌓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인지 나무를 벤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성동에서 진남루로 오르는 길 옆에는 점을 보는 무속인의 집이 있었다. 지금은 성황당도 헐리고 무속집도 없어졌다. 등록번호200025746 생산일자199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성황당과 무속인 범위와내용공산성 진남루 앞에 언제부터인지 돌로 쌓은 성황당이 있었다. 한 무속인이 정성을 들이는 장면. 등록번호200025745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공산성 마을 주변에서 고구마를 경작하고 이를 수확하는 주민. 고구마 경작이 불법이라며 얼굴을 찍지 말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등록번호200025744 생산일자2009.08.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산성마을의 한 부부가 장작을 패는 모습이다. 잘려진 나무를 도끼로 내려치는 남편에게 급하게 뭐라고 지시하는 아내의 표정과 달리 남편은 여유로운 표정이다. 등록번호200025743 생산일자200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산성마을 (2) 범위와내용마을 일부는 헐렸는데 아직 이주하지 못한 주민과 아이들의 모습이 그림자로 길게 남았다. 등록번호200025742 생산일자2001.07.0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산성마을 (1) 범위와내용마을 일부는 헐렸는데 아직 이주하지 못한 주민과 아이들의 모습이 그림자로 길게 남았다. 등록번호200025741 생산일자2001.07.0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200026032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교 |
|
200025990 동학사 가족나들이 (7) |
|
200025989 동학사 가족나들이 (6) |
|
200025988 동학사 가족나들이 (5) |
|
200025987 동학사 가족나들이 (4) |
|
200025986 동학사 가족나들이 (3) |
|
200025985 동학사 가족나들이 (2) |
|
200025984 동학사 가족나들이 (1) |
|
200025752 원통전의 겨울 |
|
200025751 영은사와 주민 |
|
200025750 영은사 원통전 (4) |
|
200025749 영은사 원통전 (3) |
|
200025748 영은사 원통전 (2) |
|
200025747 영은사 원통전 (1) |
|
200025746 공산성 성황당 |
|
200025745 성황당과 무속인 |
|
200025744 산성마을 주민의 고구마캐기 |
|
200025743 산성마을 부부의 장작패기 |
|
200025742 산성마을 (2) |
|
200025741 산성마을 (1) |
범위와내용1960년에 촬영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공산성 방향에서 원거리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26032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동학사 나들이를 간 가족 모두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90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 내외, 조카가 함께 찍은 가족사진
등록번호200025989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의 식구들과 기증자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8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조카와 기증자
등록번호200025987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 다리에 걸터앉은 조카와 기증자
등록번호200025986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에서 언니 내외, 조카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5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동학사 다리 앞 계곡에서 결혼한 언니 내외와 함께 찍은 사진
등록번호200025984
생산일자1966.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제목 원통전의 겨울
범위와내용원통전의 설경. 보수 후의 모습이다. 지붕도 단장하고 ‘원통전’편판, 창문 등도 모두 새롭게 보수했다. 계단 옆 2개의 등이 사라진 것이 못내 아쉽다.
등록번호200025752
생산일자2006.12.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영은사와 주민
범위와내용초가을 아침, 공산성 운동하는 길에 영은사 앞을 지나면서 예를 올리는 모습에서 깊은 불심을 읽을 수 있다.
등록번호200025751
생산일자199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영은사 원통전 (4)
범위와내용영은사 대웅전 처마와 원통전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25750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영은사 원통전 (3)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영은사 원통전 (2)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8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영은사 원통전 (1)
범위와내용1992년의 영은사 원통전. 보수하기 전의 모습이다. 영은사는 현존하는 공산성 내의 사찰이다.
등록번호200025747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공산성 성황당
범위와내용진남루 앞 성황당. 정리된 모습이며, 돌로 쌓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인지 나무를 벤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성동에서 진남루로 오르는 길 옆에는 점을 보는 무속인의 집이 있었다. 지금은 성황당도 헐리고 무속집도 없어졌다.
등록번호200025746
생산일자199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성황당과 무속인
범위와내용공산성 진남루 앞에 언제부터인지 돌로 쌓은 성황당이 있었다. 한 무속인이 정성을 들이는 장면.
등록번호200025745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산성 마을 주변에서 고구마를 경작하고 이를 수확하는 주민. 고구마 경작이 불법이라며 얼굴을 찍지 말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등록번호200025744
생산일자2009.08.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산성마을의 한 부부가 장작을 패는 모습이다. 잘려진 나무를 도끼로 내려치는 남편에게 급하게 뭐라고 지시하는 아내의 표정과 달리 남편은 여유로운 표정이다.
등록번호200025743
생산일자200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산성마을 (2)
범위와내용마을 일부는 헐렸는데 아직 이주하지 못한 주민과 아이들의 모습이 그림자로 길게 남았다.
등록번호200025742
생산일자2001.07.0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산성마을 (1)
범위와내용마을 일부는 헐렸는데 아직 이주하지 못한 주민과 아이들의 모습이 그림자로 길게 남았다.
등록번호200025741
생산일자2001.07.0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