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8647
-
![]() |
범위와내용2012년 12월 12일 파워뉴스의 오희숙기자의 기사를 기증자가 인쇄한 것이다. 윤여헌이 지방기록물 연구 및 보존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내용이다. 등록번호500011064 생산일자2012.1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소식지 1989년 2월호에 실린 윤여헌의 용산구곡 교정본이다. 검정펜으로 교정이 되어있다. 등록번호500011063 생산일자1989.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윤여헌 약력 (3) 범위와내용앞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약력이 실려있다. 뒷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일생을 간략하게 적은 글이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062 생산일자2004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윤여헌 약력 (2) 범위와내용윤여헌의 약력이다. 날짜, 직명이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인쇄물, 하단은 수기이다. 등록번호5000110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윤여헌 약력 (1) 범위와내용윤여헌의 약력이다. 학력, 직명, 주요저서가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약력 수기, 하단은 약력 인쇄물이다. 등록번호5000110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선생님들의 약력에 대해서(武寧王生誕海峡地歴史、文化フォーラム講師先生方の略歴について) 범위와내용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약력을 적은 문서다. 강사직명, 성명, 강연테마, 강연줄거리, 논문이 적혀있다. 등록번호50001105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주향교부설 양사제 운영에 관하여(公州鄕校附設 養士제 運營에 관하여) 범위와내용기증자가 백일장거접절목(白日場居接節目) 원문을 번역하여 내용을 설명한 글이다. 마지막 장 내용은 기증자가 이면지에 수기했다. 등록번호50001105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산성에 솟은 쌍수정에 신산한 이괄의 옛 꿈 얽혀 범위와내용기증자가 1960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에서 공산성 쌍수정에 대한 글을 발췌한 것이다. 좌측 상단에는 해당 글에 대한 기증자의 메모가 적혀있다. 등록번호500011056 생산일자1960.01.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5-6세기 백제의 對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을 읽고 범위와내용5-6세기 백제의 대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이라는 발표 논문을 읽고 김기섭이 의문점을 제기하는 글이다. 등록번호50001105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주 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설문조사서(公州 發展을 爲한 市政平價團設問調査書) 범위와내용공주시에서 1997년 10월에 실시한 공주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 설문서다. 총 15문항으로 되어있으며 일부는 기증자가 답안을 작성하였다. 등록번호500011054 생산일자1997.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8년 6월 8일에 가카라시마에서 진행한 무령왕탄생제기념 행사 사진을 여러장 인쇄하여 코팅하였다. 행사사진, 무령왕생탄기념비, 가카라시마 사진이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053 생산일자2008.06.08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박용상이 작성한 '선거운동과 표현의 자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서론 2. 현행법상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 3. 선거와 언론매체의 표현행위 4. 선거와 일반 시민의 알 권리 및 표현의 자류 5. 선거에 관한 표현내용 규제 6. 정치적 언론으로서 정치자금에 대한 규제 7. 맺는말 등록번호5000110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등록번호100019552 생산일자1991.12.2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범위와내용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아좌태자 X. 달솔일라와 상인일라 XI. 일본에 비쳐진 백제불교 등록번호100019551 생산일자1985.07.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금석문으로 본 백제무령왕의 세계 -왕의 세상은 대왕의 세계-(金石文으로 본 百濟武寧王의 世界 -枉意 世上은 大王의 世界-) 범위와내용I. 「우전팔번신사소장인물화상경」의 명문을 보고 II. 『일본서기』의 「천황·붕」·「백제왕·훙」은 날조 III. 칠지도명문의 새로운 해역 IV. 왜왕 무의 상표문(478년)을 보고 결어 참고문헌 일본 번역판 등록번호100019550 생산일자1995.02.25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백제시대 |
![]() |
제목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源) 범위와내용머리말 I. 서론/한일고대사 연구에 관하여 II. 백제 초기기록의 이중성 III. 비류백제의 실재성 검증 IV. 사마대와 천황국가의 기원 V. 비류백제의 사백년사와 「임나일본부」의 실체 부록 등록번호100019549 생산일자1996.01.2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범위와내용1. 서문 2. 마한-목지국 연구의 제문제, 최몽룡 3.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과 성립배경, 노명호 4. 백제의 국가형성: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중심으로, 이종욱 5. 한성시대 백제의 도읍지와 영역, 최몽룡 6. 몽촌토성과 하남위례성, 최몽룡 7. 백제왕실 교대론에 대하여, 이기동 8.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분석, 유원재 9. 백제의 좌평:… 등록번호100019548 생산일자1998.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가휴 조익 선생의 "공산일기" 연구(可畦 趙翊 先生의 "公山日記" 연구) 범위와내용제1장 총론 및 해제 제2장 공주의 유적과 유물들 제3장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 제4장 대외 관계 기록과 특이한 사건들 제5장 인물들과의 교류와 그 유형 등록번호100019547 생산일자2000.07.2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머리말 서론 제1편 백제의 정치 제2편 백제의 사상·종교 제3편 백제인의 생활 제4편 백제의 문화 결론 참고문헌 등록번호100019546 생산일자1992.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범위와내용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일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II. 공주의 정신 ① 충효정신(민동근) ② 양반정신(민동근) ③… 등록번호100019538 생산일자200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
![]() |
2012년 12월 12일 파워뉴스의 오희숙기자의 기사를 기증자가 인쇄한 것이다. 윤여헌이 지방기록물 연구 및 보존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내용이다. |
![]() |
공주소식지 1989년 2월호에 실린 윤여헌의 용산구곡 교정본이다. 검정펜으로 교정이 되어있다. |
![]() |
앞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약력이 실려있다. 뒷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일생을 간략하게 적은 글이 실려있다. |
![]() |
윤여헌의 약력이다. 날짜, 직명이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인쇄물, 하단은 수기이다. |
![]() |
윤여헌의 약력이다. 학력, 직명, 주요저서가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약력 수기, 하단은 약력 인쇄물이다. |
![]() |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선생님들의 약력에 대해서(武寧王生誕海峡地歴史、文化フォーラム講師先生方の略歴について)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약력을 적은 문서다. 강사직명, 성명, 강연테마, 강연줄거리, 논문이 적혀있다. |
![]() |
공주향교부설 양사제 운영에 관하여(公州鄕校附設 養士제 運營에 관하여) 기증자가 백일장거접절목(白日場居接節目) 원문을 번역하여 내용을 설명한 글이다. 마지막 장 내용은 기증자가 이면지에 수기했다. |
![]() |
기증자가 1960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에서 공산성 쌍수정에 대한 글을 발췌한 것이다. 좌측 상단에는 해당 글에 대한 기증자의 메모가 적혀있다. |
![]() |
<5-6세기 백제의 對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을 읽고 5-6세기 백제의 대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이라는 발표 논문을 읽고 김기섭이 의문점을 제기하는 글이다. |
![]() |
공주 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설문조사서(公州 發展을 爲한 市政平價團設問調査書) 공주시에서 1997년 10월에 실시한 공주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 설문서다. 총 15문항으로 되어있으며 일부는 기증자가 답안을 작성하였다. |
![]() |
2008년 6월 8일에 가카라시마에서 진행한 무령왕탄생제기념 행사 사진을 여러장 인쇄하여 코팅하였다. 행사사진, 무령왕생탄기념비, 가카라시마 사진이 실려있다. |
![]() |
박용상이 작성한 '선거운동과 표현의 자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서론 2. 현행법상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 3. 선거와 언론매체의 표현행위 4. 선거와 일반 시민의 알 권리 및 표현의 자류 5. 선거에 관한 표현내용… |
![]() |
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
![]() |
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
![]() |
금석문으로 본 백제무령왕의 세계 -왕의 세상은 대왕의 세계-(金石文으로 본 百濟武寧王의 世界 -枉意 世上은 大王의 世界-) I. 「우전팔번신사소장인물화상경」의 명문을 보고 II. 『일본서기』의 「천황·붕」·「백제왕·훙」은 날조 III. 칠지도명문의 새로운 해역 IV. 왜왕 무의 상표문(478년)을 보고 결어 참고문헌 일본 번역판 |
![]() |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源) 머리말 I. 서론/한일고대사 연구에 관하여 II. 백제 초기기록의 이중성 III. 비류백제의 실재성 검증 IV. 사마대와 천황국가의 기원 V. 비류백제의 사백년사와 「임나일본부」의 실체 부록 |
![]() |
1. 서문 2. 마한-목지국 연구의 제문제, 최몽룡 3.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과 성립배경, 노명호 4. 백제의 국가형성: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중심으로, 이종욱 5. 한성시대 백제의 도읍지와 영역, 최몽룡 6. 몽촌토성과… |
![]() |
가휴 조익 선생의 "공산일기" 연구(可畦 趙翊 先生의 "公山日記" 연구) 제1장 총론 및 해제 제2장 공주의 유적과 유물들 제3장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 제4장 대외 관계 기록과 특이한 사건들 제5장 인물들과의 교류와 그 유형 |
![]() |
머리말 서론 제1편 백제의 정치 제2편 백제의 사상·종교 제3편 백제인의 생활 제4편 백제의 문화 결론 참고문헌 |
![]() |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
500011064 윤여헌 회장 '대통령' 표창 관련 인터넷 기사 |
|
500011063 공주소식시 문화논단: 용산구곡(龍山九曲) |
|
500011062 윤여헌 약력 (3) |
|
500011061 윤여헌 약력 (2) |
|
500011060 윤여헌 약력 (1) |
|
500011058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선생님들의 약력에 대해서(武寧王生誕海峡地歴史、文化フォーラム講師先生方の略歴について) |
|
500011057 공주향교부설 양사제 운영에 관하여(公州鄕校附設 養士제 運營에 관하여) |
|
500011056 공산성에 솟은 쌍수정에 신산한 이괄의 옛 꿈 얽혀 |
|
500011055 <5-6세기 백제의 對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을 읽고 |
|
500011053 무령왕탄생제기념(武寧王誕生祭記念) 사진첩 |
|
500011052 선거운동과 표현의 자유(選擧運動과 表現의 自由) |
|
100019552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
|
100019551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
|
100019550 금석문으로 본 백제무령왕의 세계 -왕의 세상은 대왕의 세계-(金石文으로 본 百濟武寧王의 世界 -枉意 世上은 大王의 世界-) |
|
100019549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源) |
|
100019548 백제사의 이해(百濟史의 理解) |
|
100019547 가휴 조익 선생의 "공산일기" 연구(可畦 趙翊 先生의 "公山日記" 연구) |
|
100019546 백제·백제인·백제문화(百濟·百濟人·百濟文化) |
|
100019538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
범위와내용2012년 12월 12일 파워뉴스의 오희숙기자의 기사를 기증자가 인쇄한 것이다. 윤여헌이 지방기록물 연구 및 보존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내용이다.
등록번호500011064
생산일자2012.1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공주소식지 1989년 2월호에 실린 윤여헌의 용산구곡 교정본이다. 검정펜으로 교정이 되어있다.
등록번호500011063
생산일자1989.0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윤여헌 약력 (3)
범위와내용앞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약력이 실려있다. 뒷장에는 윤여헌의 사진과 일생을 간략하게 적은 글이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062
생산일자2004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윤여헌 약력 (2)
범위와내용윤여헌의 약력이다. 날짜, 직명이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인쇄물, 하단은 수기이다.
등록번호50001106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윤여헌 약력 (1)
범위와내용윤여헌의 약력이다. 학력, 직명, 주요저서가 적혀있다. 문서 상단은 약력 수기, 하단은 약력 인쇄물이다.
등록번호50001106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선생님들의 약력에 대해서(武寧王生誕海峡地歴史、文化フォーラム講師先生方の略歴について)
범위와내용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포럼 강사 약력을 적은 문서다. 강사직명, 성명, 강연테마, 강연줄거리, 논문이 적혀있다.
등록번호50001105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향교부설 양사제 운영에 관하여(公州鄕校附設 養士제 運營에 관하여)
범위와내용기증자가 백일장거접절목(白日場居接節目) 원문을 번역하여 내용을 설명한 글이다. 마지막 장 내용은 기증자가 이면지에 수기했다.
등록번호50001105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산성에 솟은 쌍수정에 신산한 이괄의 옛 꿈 얽혀
범위와내용기증자가 1960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에서 공산성 쌍수정에 대한 글을 발췌한 것이다. 좌측 상단에는 해당 글에 대한 기증자의 메모가 적혀있다.
등록번호500011056
생산일자1960.01.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5-6세기 백제의 對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을 읽고
범위와내용5-6세기 백제의 대왜국 외교의 추이와 그 유형'이라는 발표 논문을 읽고 김기섭이 의문점을 제기하는 글이다.
등록번호50001105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설문조사서(公州 發展을 爲한 市政平價團設問調査書)
범위와내용공주시에서 1997년 10월에 실시한 공주발전을 위한 시정평가단 설문서다. 총 15문항으로 되어있으며 일부는 기증자가 답안을 작성하였다.
등록번호500011054
생산일자1997.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8년 6월 8일에 가카라시마에서 진행한 무령왕탄생제기념 행사 사진을 여러장 인쇄하여 코팅하였다. 행사사진, 무령왕생탄기념비, 가카라시마 사진이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053
생산일자2008.06.08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박용상이 작성한 '선거운동과 표현의 자유'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서론 2. 현행법상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 3. 선거와 언론매체의 표현행위 4. 선거와 일반 시민의 알 권리 및 표현의 자류 5. 선거에 관한 표현내용 규제 6. 정치적 언론으로서 정치자금에 대한 규제 7. 맺는말
등록번호5000110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등록번호100019552
생산일자1991.12.2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범위와내용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아좌태자 X. 달솔일라와 상인일라 XI. 일본에 비쳐진 백제불교
등록번호100019551
생산일자1985.07.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제목 금석문으로 본 백제무령왕의 세계 -왕의 세상은 대왕의 세계-(金石文으로 본 百濟武寧王의 世界 -枉意 世上은 大王의 世界-)
범위와내용I. 「우전팔번신사소장인물화상경」의 명문을 보고 II. 『일본서기』의 「천황·붕」·「백제왕·훙」은 날조 III. 칠지도명문의 새로운 해역 IV. 왜왕 무의 상표문(478년)을 보고 결어 참고문헌 일본 번역판
등록번호100019550
생산일자1995.02.25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백제시대
제목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源)
범위와내용머리말 I. 서론/한일고대사 연구에 관하여 II. 백제 초기기록의 이중성 III. 비류백제의 실재성 검증 IV. 사마대와 천황국가의 기원 V. 비류백제의 사백년사와 「임나일본부」의 실체 부록
등록번호100019549
생산일자1996.01.2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범위와내용1. 서문 2. 마한-목지국 연구의 제문제, 최몽룡 3.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과 성립배경, 노명호 4. 백제의 국가형성: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중심으로, 이종욱 5. 한성시대 백제의 도읍지와 영역, 최몽룡 6. 몽촌토성과 하남위례성, 최몽룡 7. 백제왕실 교대론에 대하여, 이기동 8.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분석, 유원재 9. 백제의 좌평:…
등록번호100019548
생산일자1998.11.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제목 가휴 조익 선생의 "공산일기" 연구(可畦 趙翊 先生의 "公山日記" 연구)
범위와내용제1장 총론 및 해제 제2장 공주의 유적과 유물들 제3장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 제4장 대외 관계 기록과 특이한 사건들 제5장 인물들과의 교류와 그 유형
등록번호100019547
생산일자2000.07.2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범위와내용머리말 서론 제1편 백제의 정치 제2편 백제의 사상·종교 제3편 백제인의 생활 제4편 백제의 문화 결론 참고문헌
등록번호100019546
생산일자1992.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제목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범위와내용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일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II. 공주의 정신 ① 충효정신(민동근) ② 양반정신(민동근) ③…
등록번호100019538
생산일자200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