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48
-
![]() |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3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2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1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0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제목 신원사의 봄 범위와내용2000년대 전반, 봄철 신원사의 만개한 벚꽃과 경내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9302 생산일자2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공주지법의 봉황산 자락에서 법원 남쪽의 정원과 시가지, 앵산공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오늘날 중동초등학교 부근에 아직 객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1910년대 초중반 경으로 시기를 구분지을 수 잇다. 등록번호5000105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4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3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2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봄철 중앙공원에서 바라본 중동성당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2556 생산일자195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1938년 이전에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52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3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범위와내용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09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739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꽃의 공주 엽서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2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꽃의 공주 엽서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꽃의 공주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
![]() |
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
![]() |
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
![]() |
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
![]() |
2000년대 전반, 봄철 신원사의 만개한 벚꽃과 경내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공주지법의 봉황산 자락에서 법원 남쪽의 정원과 시가지, 앵산공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오늘날 중동초등학교 부근에 아직 객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
![]() |
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
![]() |
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
![]() |
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
![]() |
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봄철 중앙공원에서 바라본 중동성당의 모습이다. |
![]() |
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
![]() |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
![]()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200045113 2018년 봄 중동성당 4 |
|
200045112 2018년 봄 중동성당 3 |
|
200045111 2018년 봄 중동성당 2 |
|
200045110 2018년 봄 중동성당 1 |
|
500009302; 500009302; 500009302 신원사의 봄 |
|
500010509; 500010509; 500010509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
|
200053934 2019년 벚꽃이 만개한 쌍수정과 왕궁지 3 |
|
200053933 2019년 벚꽃이 만개한 쌍수정과 왕궁지 2 |
|
200053932 2019년 벚꽃이 만개한 쌍수정과 왕궁지 1 |
|
200052556 1954년 봄 중앙공원에서 바라본 중동성당 |
|
200055263; 200055263; 200055263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
|
500007485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
500008139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
|
500008094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
|
500007395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
|
500008159 꽃의 공주 엽서 2 |
|
500008249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2 |
|
500008161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2 |
|
500008160 꽃의 공주 엽서 3 |
|
500008158 꽃의 공주 엽서 1 |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3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2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1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 중동성당 일원을 공주학연구원에서 현재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45110
생산일자2018.04.0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제목 신원사의 봄
범위와내용2000년대 전반, 봄철 신원사의 만개한 벚꽃과 경내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9302
생산일자2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공주지법의 봉황산 자락에서 법원 남쪽의 정원과 시가지, 앵산공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오늘날 중동초등학교 부근에 아직 객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1910년대 초중반 경으로 시기를 구분지을 수 잇다.
등록번호5000105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4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3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2019년 4월 벚꽃이 만개한 공산성 왕궁지에서 쌍수정 방향을 촬영한 현재기록화이다.
등록번호200053932
생산일자2019.04.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봄철 중앙공원에서 바라본 중동성당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2556
생산일자195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1938년 이전에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52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공주지법의 봉황산 쪽에서 앵산공원을 바라본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3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범위와내용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094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중학교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등록번호50000739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꽃의 공주 엽서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2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꽃의 공주 엽서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꽃의 공주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