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78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등록번호|20005265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4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4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철교 아래 나루터 부근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1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이다. 다리 우측으로 '소화8년 10월 준공' 즉, 1933년 10월이라는 준공연도를 정확히 기입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265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일본군 의병 토벌대

제목| 일본군 의병 토벌대

범위와내용|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일본군 의병 토벌대의 모습이다. 1909년 당시 일제의 경찰권 강탈에 항거한 전국각지의 의병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것을 토벌하기 위한 일본군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는 의병을 탄압하는 일본군을 폭도 토벌대로 지칭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650

생산일자|1909.05.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대한제국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공주 쌍수정과 금서루 부근 성벽

제목| 공주 쌍수정과 금서루 부근 성벽

범위와내용|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산성의 모습으로 지금의 금서루 부근 성벽과 멀리 쌍수정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2649

생산일자|1909.05.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4년 전후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

제목| 1954년 전후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

범위와내용|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4년 전후의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이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미군의 폭격으로 다리가 끊어진 후 오랜기간 복구공사를 거쳐, 1956년 9월 29일 재준공식을 맞아 다시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금강철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648

생산일자|195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이삼평연구회 창립 기념사진

제목| 이삼평연구회 창립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9

생산일자|2013.03.2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공원 청소

제목| 이삼평연구회 공원 청소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8

생산일자|2017.08.07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3)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3)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7

생산일자|2013.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2)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2)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6

생산일자|2015.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1)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1)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5

생산일자|2013.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5)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5)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4

생산일자|2014.06.1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4)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4)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3

생산일자|2014.06.1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3)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3)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2

생산일자|2018.05.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2)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2)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1

생산일자|2014.06.2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1)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1)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0

생산일자|2015.05.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세미나(5):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제목| 이삼평연구회 세미나(5):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69

생산일자|2014.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이삼평연구회 세미나(4):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제목| 이삼평연구회 세미나(4):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68

생산일자|2014.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78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4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4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찍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3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3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철교 아래 나루터 부근에서 찍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2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2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찍은 것이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1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1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이다. 다리 우측으로 '소화8년 10월 준공' 즉, 1933년 10월이라는 준공연도를 정확히 기입되어 있다.
일본군 의병 토벌대

일본군 의병 토벌대

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일본군 의병 토벌대의 모습이다. 1909년 당시 일제의 경찰권 강탈에 항거한 전국각지의 의병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것을 토벌하기 위한 일본군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는 의병을…
공주 쌍수정과 금서루 부근 성벽

공주 쌍수정과 금서루 부근 성벽

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산성의 모습으로 지금의 금서루 부근 성벽과 멀리 쌍수정이 보인다.
1954년 전후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

1954년 전후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

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4년 전후의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이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미군의 폭격으로 다리가 끊어진 후 오랜기간 복구공사를 거쳐, 1956년 9월 29일 재준공식을…
이삼평연구회 창립 기념사진

이삼평연구회 창립 기념사진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공원 청소

이삼평연구회 공원 청소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3)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3)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2)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2)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1)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1)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5)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5)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4)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4)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3)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3)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2)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2)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1)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1)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세미나(5):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이삼평연구회 세미나(5):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이삼평연구회 세미나(4):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이삼평연구회 세미나(4):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78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78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78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등록번호|20005265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4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철교 아래 나루터 부근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265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의 모습이다. 다리 우측으로 '소화8년 10월 준공' 즉, 1933년 10월이라는 준공연도를 정확히 기입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265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본군 의병 토벌대

범위와내용|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일본군 의병 토벌대의 모습이다. 1909년 당시 일제의 경찰권 강탈에 항거한 전국각지의 의병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것을 토벌하기 위한 일본군의 모습이다. 본 자료에는 의병을 탄압하는 일본군을 폭도 토벌대로 지칭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650

생산일자|1909.05.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대한제국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공주 쌍수정과 금서루 부근 성벽

범위와내용|1909년 군산 천엽사진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산성의 모습으로 지금의 금서루 부근 성벽과 멀리 쌍수정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2649

생산일자|1909.05.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4년 전후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

범위와내용|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4년 전후의 끊어진 금강교의 모습이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미군의 폭격으로 다리가 끊어진 후 오랜기간 복구공사를 거쳐, 1956년 9월 29일 재준공식을 맞아 다시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금강철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648

생산일자|195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이삼평연구회 창립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9

생산일자|2013.03.2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공원 청소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8

생산일자|2017.08.07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3)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7

생산일자|2013.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2)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6

생산일자|2015.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 기일추모제(1)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5

생산일자|2013.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5)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4

생산일자|2014.06.1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4)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3

생산일자|2014.06.16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3)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2

생산일자|2018.05.08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2)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1

생산일자|2014.06.2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이삼평도조제(1)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70

생산일자|2015.05.02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세미나(5):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69

생산일자|2014.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제목| 이삼평연구회 세미나(4): 이삼평공과 분청사기에 관하여

범위와내용|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자기를 만들었고 이는 일본 도자기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때부터 아리타 지역이 일본…

등록번호|200052968

생산일자|2014.08.11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