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시대분류
-
- 형태분류
-
- 주제분류
-
![]()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4)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시민들이 새마을운동 모자를 쓰고 천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3)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시민들이 대거 참여하여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주변에는 카메라와 사진기를 든 기자들도 보인다. 등록번호2000589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2)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공주고 학생들이 하수구와 천변 물길을 가르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1)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의 일환으로 공공근로자들이 천변에 잔디를 심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범위와내용새마을 운동 금강 보호 운동 모습이다. 바르게살기운동 공주시협의회, 새마을운동 공주시지회, 웅진동 주민 등 많은 단체와 시민들이 참여하였다. 사람들은 새마을운동 모자를 쓰고, 휘장을 두른채 금강보호 관련 문구가 적힌 피켓 뒤로 참가자들이 줄지어 있다. 등록번호20005893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활동에 참여한 전병용 공주시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93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1990년 3월 30일에 진행된 공주군 맑은물 되찾기 범군민 전진대회에서 노완구 공주군수가 발언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8679 생산일자1990.03.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 |
범위와내용1989년 3월 27일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금강보호위원 위촉 및 발대식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663 생산일자1989.03.2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제민천 잔디보호 표지판 범위와내용제민천과 잔디보호 표지판이다. 제민천 주변에 잔디를 심는 주변정비와 정화작업을 거친 모습이다. 멀리 공주성결교회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889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제목 제민천과 제민천교 범위와내용제민천과 체민천교 모습이다. 다리를 건너면 공주양복점이 있다. 등록번호200058888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한국전쟁으로 단교된 금강교는 1952년 복구를 시작하여 1956년 9월에 재개통하는데, 다리가 복구되기 전까지는 본 자료의 모습과 같이 나룻배를 이용하여 도강했다. 나룻배 앞에 서있는 인물은 제2대 공주문화원 이관용 원장이다. 등록번호200055299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70년대 정지산 부근에서 북쪽의 금강을 촬영한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금성동 일원이 매립되어 개발된 모습과 달리 제민천을 경계로 둑이 올라가 있고, 매립 및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강교 북단의 전막 인근에 전답이 넓게 분포하여 개발 이전의 공주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5291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사대 졸업대상자 중 일부가 금강의 나룻배 위에서 뱃놀이를 즐기는 장면이다. 등록번호200053639 생산일자1956.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 공주시가지에 눈이 소복히 쌓인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31 생산일자1956.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금강과 나룻배의 모습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 금강에 떠있는 나룻배와 멀리 연미산 능선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30 생산일자1957.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강 모래사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29 생산일자1957.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1950년대 중엽 금강의 고마나루를 오가는 나룻배가 배에 차를 싣고 가고 있다. 사진 속의 마을은 고마나루 건너편 우성면 신웅리인데, 집 아래 왼쪽의 나무가 지금도 존재한다. 금강교가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면서 강을 건너기 위해선 사진 속 모습처럼 나룻배에 올라야했다. 등록번호200053614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남쪽 성벽에 올라 공주시가지를 내려본 사진으로 추정된다. 한국전쟁 이후 시가지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3612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60년 갑사로 올라가는 계룡산 길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3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1960년 충청남도 문화재도록에 기재된 동학사로 올라가는 계룡산 입구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35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200058973; 200058973; 200058973; 200058973 제민천 정화작업(4) |
|
200058972; 200058972; 200058972; 200058972 제민천 정화작업(3) |
|
200058971; 200058971; 200058971; 200058971 제민천 정화작업(2) |
|
200058970; 200058970; 200058970; 200058970 제민천 정화작업(1) |
|
200058935; 200058935; 200058935; 200058935 새마을 운동 금강 보호 운동 |
|
200058930; 200058930; 200058930; 200058930 제민천 정화작업 |
|
200058679; 200058679; 200058679; 200058679 1990년 공주군 맑은물 되찾기 범군민 전진대회 |
|
200058663; 200058663; 200058663; 200058663 1989년 금강보호위원 위촉 및 발대식 |
|
200058892; 200058892; 200058892; 200058892 제민천 잔디보호 표지판 |
|
200058888; 200058888; 200058888; 200058888 제민천과 제민천교 |
|
200055299; 200055299; 200055299 1950년대 금강교 복구 이전의 도강하는 모습 |
|
200055291; 200055291; 200055291 1970년대 정지산 부근에서 내려본 금강의 풍경 |
|
200053639 1956년 금강 뱃놀이에 나선 재학생 |
|
200053631 1950년대 겨울철 눈쌓인 공주시가지 |
|
200053630 금강과 나룻배의 모습 |
|
200053629 1950년대 중후반 금강의 모래사장 |
|
200053614 1950년대 금강을 오가는 고마나루의 나룻배 |
|
200053612 1950년대 공주시가지 전경 |
|
200053538 1960년 갑사 올라가는 입구의 모습 |
|
200053535 1960년 동학사로 올라가는 입구의 모습 |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4)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시민들이 새마을운동 모자를 쓰고 천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3)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시민들이 대거 참여하여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주변에는 카메라와 사진기를 든 기자들도 보인다.
등록번호2000589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2)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으로 공주고 학생들이 하수구와 천변 물길을 가르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1)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작업의 일환으로 공공근로자들이 천변에 잔디를 심고 있다.
등록번호20005897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범위와내용새마을 운동 금강 보호 운동 모습이다. 바르게살기운동 공주시협의회, 새마을운동 공주시지회, 웅진동 주민 등 많은 단체와 시민들이 참여하였다. 사람들은 새마을운동 모자를 쓰고, 휘장을 두른채 금강보호 관련 문구가 적힌 피켓 뒤로 참가자들이 줄지어 있다.
등록번호20005893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제목 제민천 정화작업
범위와내용제민천 정화활동에 참여한 전병용 공주시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93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1990년 3월 30일에 진행된 공주군 맑은물 되찾기 범군민 전진대회에서 노완구 공주군수가 발언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8679
생산일자1990.03.2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범위와내용1989년 3월 27일 공주시에서 주관하는 금강보호위원 위촉 및 발대식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663
생산일자1989.03.2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제민천 잔디보호 표지판
범위와내용제민천과 잔디보호 표지판이다. 제민천 주변에 잔디를 심는 주변정비와 정화작업을 거친 모습이다. 멀리 공주성결교회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889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제목 제민천과 제민천교
범위와내용제민천과 체민천교 모습이다. 다리를 건너면 공주양복점이 있다.
등록번호200058888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한국전쟁으로 단교된 금강교는 1952년 복구를 시작하여 1956년 9월에 재개통하는데, 다리가 복구되기 전까지는 본 자료의 모습과 같이 나룻배를 이용하여 도강했다. 나룻배 앞에 서있는 인물은 제2대 공주문화원 이관용 원장이다.
등록번호200055299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70년대 정지산 부근에서 북쪽의 금강을 촬영한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금성동 일원이 매립되어 개발된 모습과 달리 제민천을 경계로 둑이 올라가 있고, 매립 및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강교 북단의 전막 인근에 전답이 넓게 분포하여 개발 이전의 공주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5291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사대 졸업대상자 중 일부가 금강의 나룻배 위에서 뱃놀이를 즐기는 장면이다.
등록번호200053639
생산일자1956.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 공주시가지에 눈이 소복히 쌓인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31
생산일자1956.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금강과 나룻배의 모습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 금강에 떠있는 나룻배와 멀리 연미산 능선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30
생산일자1957.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경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강 모래사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29
생산일자1957.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1950년대 중엽 금강의 고마나루를 오가는 나룻배가 배에 차를 싣고 가고 있다. 사진 속의 마을은 고마나루 건너편 우성면 신웅리인데, 집 아래 왼쪽의 나무가 지금도 존재한다. 금강교가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면서 강을 건너기 위해선 사진 속 모습처럼 나룻배에 올라야했다.
등록번호200053614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남쪽 성벽에 올라 공주시가지를 내려본 사진으로 추정된다. 한국전쟁 이후 시가지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3612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60년 갑사로 올라가는 계룡산 길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3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1960년 충청남도 문화재도록에 기재된 동학사로 올라가는 계룡산 입구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35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