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0027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개인
유형 장군 유물 (3)

제목| 유형 장군 유물 (3)

범위와내용|유형장군의 유물인 교지이다. 교지는 ‘전선전관 유형 무과을과 제16인 급제출신자(前宣傳官 柳珩 武科乙科 第十六人 及第出身者) 만력 22년(1594) 정월 25일(萬歷二十二年 正月二十五日)’의 내용으로, 임진왜란 중에 발급된 교지인 홍패이다.

등록번호|200058379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서원,사우

  • 개인
  • 사진류
  • 유형장군의 유물인 교지이다. 교지는 ‘전선전관 유형 무과을과 제16인 급제출신자(前宣傳官 柳珩 武科乙科 第十六人 及第出身者) 만력 22년(1594) 정월 25일(萬歷年 正月十五日)’의 내용으로, 임진왜란 중에 발급된 교지인 홍패이다.
  • 사진류>필름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보이며, 하단에는 옛 충남도청 맞은 편에 위치했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기숙사 '정신료(貞寮)'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제목|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범위와내용|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일본 수학여행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장소는 도쿄 황궁의 니주바시마에(二重橋前)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67295

생산일자|193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개인
  • 사진류
  •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일본 수학여행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장소는 도쿄 황궁의 니주바시마에(重橋前)로 보인다.
  • 사진류>필름사진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제목|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범위와내용|1991년 유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1991년도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모습이다. 유구면장이 32개 리(里)의 이장을 소집하여 인구조사의 정확성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8095

생산일자|1991.10.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1년 유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1991년도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모습이다. 유구면장이 32개 리()의 이장을 소집하여 인구조사의 정확성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9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8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7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안원모 면장도 행사에 참석하여 윷을 던지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031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안원모 면장도 행사에 참석하여 윷을 던지고 있는 모습이다.
  • 사진류>필름사진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제목|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범위와내용|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등록번호|200058088

생산일자|1990.03.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0년 각 리()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제목|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범위와내용|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등록번호|200058087

생산일자|1990.03.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0년 각 리()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윷놀이 및 널뛰기의 1등을 수상하고 있는 면장의 모습으로, 윷놀이는 명곡 1리에게 널뛰기는 명곡2리에게 각각 돌아갔다.

등록번호|200058030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윷놀이 및 널뛰기의 1등을 수상하고 있는 면장의 모습으로, 윷놀이는 명곡 1리에게 널뛰기는 명곡2리에게 각각 돌아갔다.
  • 사진류>필름사진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オンビール) , 사쿠라 맥주(サクラビール) 등 몇몇 상점 간판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제목|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 개인
  • 사진류
  •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제목|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등록번호|20005313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개인
  • 사진류
  • 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마차가 덜들 떨리거나 흔들렸다고 한다. 선두에서 호위병이 들고 있는 '姓之合 萬福之源
  • 사진류>필름사진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제목|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범위와내용|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4

생산일자|1979.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1948년에는
  • 사진류>필름사진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제목|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범위와내용|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3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1948년에는
  • 사진류>필름사진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제목|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범위와내용|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등록번호|200053192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 사진류>필름사진
1981년 중동성당 전경

제목| 1981년 중동성당 전경

범위와내용|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등록번호|200053195

생산일자|1981.12.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 사진류>필름사진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州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등록번호|200059167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걸려 있다. 사진 옆 여백에 '안녕 안녕 모교여 굿바이(さらばさらば 母校よグットバイ
  • 사진류>사진 기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1989년 공주문학회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결성한 문협공주지부가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찍은 것이다. 사진 속 인물은 뒷줄 왼쪽부터 신현보, 오필석, 구중회, 강복환, 오철석, 조동길, 유병학, 변재열, 나태주이고, 앞줄 왼쪽부터 이극래, 박정환, 한상각,…

등록번호|20005973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0027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개인
유형 장군 유물 (3)

유형 장군 유물 (3)

유형장군의 유물인 교지이다. 교지는 ‘전선전관 유형 무과을과 제16인 급제출신자(前宣傳官 柳珩 武科乙科 第十六人 及第出身者) 만력 22년(1594) 정월 25일(萬歷二十二年 正月二十五日)’의 내용으로, 임진왜란 중에 발급된 교지인…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일본 수학여행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장소는 도쿄 황궁의 니주바시마에(二重橋前)로 보인다.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1991년 유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1991년도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모습이다. 유구면장이 32개 리(里)의 이장을 소집하여 인구조사의 정확성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안원모 면장도 행사에 참석하여 윷을 던지고…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윷놀이 및 널뛰기의 1등을 수상하고 있는…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981년 중동성당 전경

1981년 중동성당 전경

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1989년 공주문학회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결성한 문협공주지부가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찍은 것이다. 사진 속 인물은 뒷줄 왼쪽부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0027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0027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개인

200058379; 200058379; 200058379    유형 장군 유물 (3)

200059064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200067295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200058095; 200058095; 200058095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200058029; 200058029; 200058029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200058028; 200058028; 200058028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200058027; 200058027; 200058027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200058031; 200058031; 200058031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200058088; 200058088; 200058088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200058087; 200058087; 200058087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200058030; 200058030; 200058030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200059109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200048686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200053133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200053194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200053193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200053192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200053195    1981년 중동성당 전경

200059167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20005973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0027건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개인

제목| 유형 장군 유물 (3)

범위와내용|유형장군의 유물인 교지이다. 교지는 ‘전선전관 유형 무과을과 제16인 급제출신자(前宣傳官 柳珩 武科乙科 第十六人 及第出身者) 만력 22년(1594) 정월 25일(萬歷二十二年 正月二十五日)’의 내용으로, 임진왜란 중에 발급된 교지인 홍패이다.

등록번호|200058379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서원,사우

  • 개인
  • 사진류
  • 유형장군의 유물인 교지이다. 교지는 ‘전선전관 유형 무과을과 제16인 급제출신자(前宣傳官 柳珩 武科乙科 第十六人 及第出身者) 만력 22년(1594) 정월 25일(萬歷年 正月十五日)’의 내용으로, 임진왜란 중에 발급된 교지인 홍패이다.
  • 사진류>필름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보이며, 하단에는 옛 충남도청 맞은 편에 위치했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기숙사 '정신료(貞寮)'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 사진 (54)

범위와내용|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일본 수학여행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장소는 도쿄 황궁의 니주바시마에(二重橋前)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67295

생산일자|193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개인
  • 사진류
  • 1935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일본 수학여행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장소는 도쿄 황궁의 니주바시마에(重橋前)로 보인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91년 유구면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범위와내용|1991년 유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1991년도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모습이다. 유구면장이 32개 리(里)의 이장을 소집하여 인구조사의 정확성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8095

생산일자|1991.10.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1년 유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1991년도 상주인구 조사원 교육 모습이다. 유구면장이 32개 리()의 이장을 소집하여 인구조사의 정확성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3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9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2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8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1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등록번호|200058027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5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안원모 면장도 행사에 참석하여 윷을 던지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031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안원모 면장도 행사에 참석하여 윷을 던지고 있는 모습이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2

범위와내용|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등록번호|200058088

생산일자|1990.03.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0년 각 리()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90년 유구면 이장단의 설악산 선진지 관광 1

범위와내용|1990년 각 리(里)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등록번호|200058087

생산일자|1990.03.2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90년 각 리()장단 부부와 설악산 선진지 관광을 떠난 유구면장의 모습이다. '사람은 같은 환경에서 같은 생활만 되풀이 하다보면 권태증 같은 것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것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장단 부부와 면장님 부부가 설악산 관광을 하는 광경'이라는 메모가 사진 뒷면에 적혀 있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9년 설날맞이 유구면민 화합 행사 4

범위와내용|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里)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윷놀이 및 널뛰기의 1등을 수상하고 있는 면장의 모습으로, 윷놀이는 명곡 1리에게 널뛰기는 명곡2리에게 각각 돌아갔다.

등록번호|200058030

생산일자|1989.02.1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유구읍

  • 개인
  • 사진류
  • 1989년 2월 새해를 맞아, 유구면민이 면사무소 광장 앞에 모였다. 유구면에서는 1세기만에 되찾은 설날 경축 행사로 각 리() 대항 윷놀이와 널뛰기 행사를 하며 면민들의 화합을 다졌다. 윷놀이 및 널뛰기의 1등을 수상하고 있는 면장의 모습으로, 윷놀이는 명곡 1리에게 널뛰기는 명곡2리에게 각각 돌아갔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オンビール) , 사쿠라 맥주(サクラビール) 등 몇몇 상점 간판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 개인
  • 사진류
  •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등록번호|20005313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개인
  • 사진류
  • 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마차가 덜들 떨리거나 흔들렸다고 한다. 선두에서 호위병이 들고 있는 '姓之合 萬福之源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범위와내용|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4

생산일자|1979.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1948년에는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범위와내용|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3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1948년에는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범위와내용|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등록번호|200053192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46년에 근화유치원이 설립되었고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81년 중동성당 전경

범위와내용|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등록번호|200053195

생산일자|1981.12.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개인
  • 사진류
  • 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州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등록번호|200059167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사진류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걸려 있다. 사진 옆 여백에 '안녕 안녕 모교여 굿바이(さらばさらば 母校よグットバイ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문협공주지부 결성 기념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1989년 공주문학회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결성한 문협공주지부가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찍은 것이다. 사진 속 인물은 뒷줄 왼쪽부터 신현보, 오필석, 구중회, 강복환, 오철석, 조동길, 유병학, 변재열, 나태주이고, 앞줄 왼쪽부터 이극래, 박정환, 한상각,…

등록번호|20005973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