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10084
-
- 형태분류
-
-
- 사진류 10084
-
![]() |
제목 유물(2) 범위와내용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물(1) 범위와내용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8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마곡사 식당에서 범위와내용1999.4.25. 윤여헌 교수가 친구분들이 마곡사의 어느 한 식당에서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81 생산일자1999.4.2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김기창 서화 범위와내용병신년 1956년에 그려진 김기창 화백의 작품 사본이다. 뒷면에 실물 가로세로 크기(33x45)가 적혀있으며 '실물, 金基昌, 丙申年 一九五六年' 등의 정보가 적혀있다. 2001.10.18.라는 메모가 하단에 적혀있는데 아마 사본을 출력한 날로 추정된다. 그림은 바위에 꽃과 나비가 그려져있다. 등록번호200059380 생산일자2001.10.1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정일사 범위와내용1990년 만들어진 '정일사'에 관련된 현판이다. 동토(童土) 윤순거씨가 정일사라는 제목의 시를 쓴 현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등록번호200059379 생산일자199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노릉 지덕암 중건기 범위와내용1988년 만들어진 '노릉 지덕암 중건기'에 관련된 현판이다. 단종(노산군)을 모시는 노릉의 지덕암 증건내역을 쓴 현판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등록번호200059378 생산일자198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9.10.18. 개최한 제23회 공주회 단체사진이다. 봉투겉면에 2009.10.18. 가라쓰(唐津) 윤여헌(尹汝憲)이라고 일자와 수발신이 적혀있고 봉투안쪽은 공주회장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이메일이 메모로 간략하게 적혀있으며 안에는 공주회 회원들의 단체사진이 들어있다. 윤여헌 교수는 앞줄 왼쪽에서 네번째에 앉아계신다. 등록번호200059377 생산일자2009.10.1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를 배경으로 찍은 단체사진이다. 윤여헌 교수가 중앙에 있다. 등록번호200059376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현수막을 배경으로 윤여헌 교수가 건배하는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5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가 보이는 배경으로 윤여헌 교수가 발언을 하고 계시며 탁자 위에도 한일양국국기가 올려져 있다. 등록번호200059374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김재배 산수화 범위와내용월당 김재배의 산수화 사진이다. 사진 뒷면에 김재배의 생몰년도(1919-1994), 연혁이 친필메모로 적혀있다. 등록번호20005937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80년 교토대학 헌법전공 아베테루야 교수와 윤여헌 교수가 함께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69 생산일자198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이인면사무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이인리 159-2에 있다. 현재는 이인면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9586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충효 김종서·김승규 정려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김종서의 충절과 아들 김승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것으로 김종서 장군 묘역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585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3)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4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홍수통제소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강홍수통제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115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 |
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
![]() |
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
![]() |
1999.4.25. 윤여헌 교수가 친구분들이 마곡사의 어느 한 식당에서 찍은 사진이다. |
![]() |
병신년 1956년에 그려진 김기창 화백의 작품 사본이다. 뒷면에 실물 가로세로 크기(33x45)가 적혀있으며 '실물, 金基昌, 丙申年 一九五六年' 등의 정보가 적혀있다. 2001.10.18.라는 메모가 하단에 적혀있는데 아마 사본을… |
![]() |
1990년 만들어진 '정일사'에 관련된 현판이다. 동토(童土) 윤순거씨가 정일사라는 제목의 시를 쓴 현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
![]() |
1988년 만들어진 '노릉 지덕암 중건기'에 관련된 현판이다. 단종(노산군)을 모시는 노릉의 지덕암 증건내역을 쓴 현판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
![]() |
2009.10.18. 개최한 제23회 공주회 단체사진이다. 봉투겉면에 2009.10.18. 가라쓰(唐津) 윤여헌(尹汝憲)이라고 일자와 수발신이 적혀있고 봉투안쪽은 공주회장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이메일이 메모로 간략하게 적혀있으며… |
![]() |
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를… |
![]() |
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현수막을 배경으로 윤여헌… |
![]() |
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가 보이는…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
![]() |
월당 김재배의 산수화 사진이다. 사진 뒷면에 김재배의 생몰년도(1919-1994), 연혁이 친필메모로 적혀있다. |
![]() |
1980년 교토대학 헌법전공 아베테루야 교수와 윤여헌 교수가 함께 찍은 사진이다. |
![]() |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이인면사무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이인리 159-2에 있다. 현재는 이인면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어 있다. |
![]()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충효 김종서·김승규 정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김종서의 충절과 아들 김승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것으로 김종서 장군 묘역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
![]() |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
![]() |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
![]() |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강홍수통제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115에 있다. |
200059383 유물(2) |
|
200059382 유물(1) |
|
200059381 마곡사 식당에서 |
|
200059380 김기창 서화 |
|
200059379 정일사 |
|
200059378 노릉 지덕암 중건기 |
|
200059377 제23회 공주회전국집회 「가라쓰대회」 |
|
200059376 2008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1) |
|
200059375 2007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1) |
|
200059374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1) |
|
200059373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3) |
|
200059372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2) |
|
200059371 조선식산은행 직원들과 마쯔바야시 다쓰오(1) |
|
200059370 김재배 산수화 |
|
200059369 교토대학 아베테루야 교수와 함께 |
|
200059586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이인면사무소 |
|
200059585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충효 김종서·김승규 정려 |
|
20005958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3) |
|
200059583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2) |
|
20005958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홍수통제소 (2) |
제목 유물(2)
범위와내용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물(1)
범위와내용연도미상, 출처미상의 유물이다. 윤여헌 교수가 관심있으시던 유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8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마곡사 식당에서
범위와내용1999.4.25. 윤여헌 교수가 친구분들이 마곡사의 어느 한 식당에서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81
생산일자1999.4.2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김기창 서화
범위와내용병신년 1956년에 그려진 김기창 화백의 작품 사본이다. 뒷면에 실물 가로세로 크기(33x45)가 적혀있으며 '실물, 金基昌, 丙申年 一九五六年' 등의 정보가 적혀있다. 2001.10.18.라는 메모가 하단에 적혀있는데 아마 사본을 출력한 날로 추정된다. 그림은 바위에 꽃과 나비가 그려져있다.
등록번호200059380
생산일자2001.10.1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정일사
범위와내용1990년 만들어진 '정일사'에 관련된 현판이다. 동토(童土) 윤순거씨가 정일사라는 제목의 시를 쓴 현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등록번호200059379
생산일자199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노릉 지덕암 중건기
범위와내용1988년 만들어진 '노릉 지덕암 중건기'에 관련된 현판이다. 단종(노산군)을 모시는 노릉의 지덕암 증건내역을 쓴 현판이다. 현판은 윤홍식이 제작하였다.
등록번호200059378
생산일자198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9.10.18. 개최한 제23회 공주회 단체사진이다. 봉투겉면에 2009.10.18. 가라쓰(唐津) 윤여헌(尹汝憲)이라고 일자와 수발신이 적혀있고 봉투안쪽은 공주회장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이메일이 메모로 간략하게 적혀있으며 안에는 공주회 회원들의 단체사진이 들어있다. 윤여헌 교수는 앞줄 왼쪽에서 네번째에 앉아계신다.
등록번호200059377
생산일자2009.10.18.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를 배경으로 찍은 단체사진이다. 윤여헌 교수가 중앙에 있다.
등록번호200059376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현수막을 배경으로 윤여헌 교수가 건배하는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5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6년 무령왕교류당진시실행위원회와 공주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가카라시마왕회가 모여 만든 -현해탄을 잇는 새로운 가교- ~2006 백제무령왕과 가카라시마~ 회의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일 두 나라의 국기가 보이는 배경으로 윤여헌 교수가 발언을 하고 계시며 탁자 위에도 한일양국국기가 올려져 있다.
등록번호200059374
생산일자2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08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1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마쯔바야시 다쓰오의 사진을 윤여헌 교수가 재인쇄한 것이어서 오른쪽 하단에 재인쇄날짜인 2012.6.4. 07:10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하던 마쯔바야시다쓰오가 은행 앞에서 직원들과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7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김재배 산수화
범위와내용월당 김재배의 산수화 사진이다. 사진 뒷면에 김재배의 생몰년도(1919-1994), 연혁이 친필메모로 적혀있다.
등록번호20005937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80년 교토대학 헌법전공 아베테루야 교수와 윤여헌 교수가 함께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9369
생산일자198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이인면사무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이인리 159-2에 있다. 현재는 이인면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9586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충효 김종서·김승규 정려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김종서의 충절과 아들 김승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것으로 김종서 장군 묘역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585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3)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4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소방서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소방서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256-11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홍수통제소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강홍수통제소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115에 있다.
등록번호20005958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