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분류
-
-
- 문서류 1892
-
-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1892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를 졸업한 것을 기념한 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76 생산일자1969.12.09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학생증이다 등록번호500007475 생산일자1970.02.0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학생증이다 등록번호500007474 생산일자1969.03.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1969년 공주군수가 발행한 김갑순 임야대장등본이다. 당시 김갑순은 690만원 상당의 임야를 소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457 생산일자1969.03.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8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6 생산일자1981.01.01-1984.05.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7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5 생산일자1986.01.01-1990.06.3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6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4 생산일자1984.05.21-198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5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3 생산일자1977.11.01-198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4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2 생산일자1974.10.28-1977.10.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3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1 생산일자1973.10.27-1974.10.27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2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0 생산일자1972.04.28-1973.10.26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500007397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7476 대전신학교 제13회 졸업기념 |
|
500007475 윤영태 대전신학교 학생증(1970) |
|
500007474 윤영태 대전신학교 학생증(1969) |
|
500007466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
|
500007464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
500007463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
5000074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
500007461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
500007460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
500007459 선산계약 송사자료 |
|
500007458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
500007457 1969년 공주군수 발행, 김갑순 임야대장등본 |
|
500007456 유구 이택두 일기8 |
|
500007455 유구 이택두 일기7 |
|
500007454 유구 이택두 일기6 |
|
500007453 유구 이택두 일기5 |
|
500007452 유구 이택두 일기4 |
|
500007451 유구 이택두 일기3 |
|
500007450 유구 이택두 일기2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를 졸업한 것을 기념한 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76
생산일자1969.12.09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학생증이다
등록번호500007475
생산일자1970.02.0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범위와내용윤영태 선생님이 신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 학생증이다
등록번호500007474
생산일자1969.03.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1969년 공주군수가 발행한 김갑순 임야대장등본이다. 당시 김갑순은 690만원 상당의 임야를 소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457
생산일자1969.03.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8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6
생산일자1981.01.01-1984.05.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7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5
생산일자1986.01.01-1990.06.3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6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4
생산일자1984.05.21-1985.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5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3
생산일자1977.11.01-1980.12.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4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2
생산일자1974.10.28-1977.10.3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3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1
생산일자1973.10.27-1974.10.27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유구 이택두 일기2
범위와내용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서술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0
생산일자1972.04.28-1973.10.26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