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분류
-
-
- 문서류 1892
-
-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1892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15631 등록번호500007958 생산일자2001.03.1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60984 등록번호500007957 생산일자199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14568 등록번호500007956 생산일자1996.12.06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마곡사 설명문 범위와내용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마곡사 안내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공주시 승격 축하 광고 범위와내용1986년 공주시로 승격을 기념한 축하 광고문이다. 등록번호500007502 생산일자1986.01.01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제목 태봉동 동계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시 태봉동 동계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8 생산일자1896.1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숙종대왕 태실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 목동면 태봉리에 대한 한성부 발행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7 생산일자189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태봉동의(胎封洞議) 범위와내용조선말기 태봉동 주민들의 회의내용이 담긴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6 생산일자1896.00.00~196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등록번호5000074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등록번호5000074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500007958 2001년 공주농민회 영농발대식 |
|
500007957 공주교육대학교 1990학년도 대학생활안내 자료집 |
|
500007956 1996년 공주농민회 투쟁일지 |
|
500007519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
|
500007518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
|
500007517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
|
500007516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
|
500007515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
|
500007514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
500007513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
|
500007512 마곡사 설명문 |
|
500007502 공주시 승격 축하 광고 |
|
500007488 태봉동 동계문서 |
|
500007487 숙종대왕 태실문서 |
|
500007486 태봉동의(胎封洞議) |
|
500007485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
500007484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
500007483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
500007482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
500007480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15631
등록번호500007958
생산일자2001.03.1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60984
등록번호500007957
생산일자199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14568
등록번호500007956
생산일자1996.12.06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마곡사 설명문
범위와내용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마곡사 안내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공주시 승격 축하 광고
범위와내용1986년 공주시로 승격을 기념한 축하 광고문이다.
등록번호500007502
생산일자1986.01.01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제목 태봉동 동계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시 태봉동 동계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8
생산일자1896.1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숙종대왕 태실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 목동면 태봉리에 대한 한성부 발행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7
생산일자189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태봉동의(胎封洞議)
범위와내용조선말기 태봉동 주민들의 회의내용이 담긴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6
생산일자1896.00.00~196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등록번호5000074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등록번호5000074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