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영은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811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영은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문서류>서신
|
|
제목
계룡산 동학사 엽서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등록번호50000812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당시에는 계룡산 동학사를 대전 유성온천의 명소로 소개한 점이 특이하다.
- 문서류>서신
|
|
제목
공주기류조합의 전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등록번호50000811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금강가에서 세척했다.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4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4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여관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정(現 봉황동 일원) 부근에 위치한 상반여관이다. 당시 공주의 대표적인 여관으로 시찰단 등 주요인사가 머물기도 했다. 엽서 중간에 상반여관 입구의 모습과 측면을 후편집하여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811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여관 엽서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정(現 봉황동 일원) 부근에 위치한 상반여관이다. 당시 공주의 대표적인 여관으로 시찰단 등 주요인사가 머물기도 했다. 엽서 중간에 상반여관 입구의 모습과 측면을 후편집하여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 문서류>서신
|
|
제목
계룡산 동학사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등록번호50000812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기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당시에는 계룡산 동학사를 대전 유성온천의 명소로 소개한 점이 특이하다.
- 문서류>서신
|
|
제목
계룡산 갑사 철당간 및 지주 엽서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7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