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463
-
- 형태분류
-
-
- 문서류 463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5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5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등록번호5000074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등록번호5000074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범위와내용1944년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설 초등학교에서 제6회 졸업을 기념하여 발행한 졸업사전첩이다. 등록번호500007477 생산일자1944.03.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초등교육>국립>공주교대부설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500007857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
|
500007856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
500007519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
|
500007518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
|
500007517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
|
500007516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
|
500007515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
|
500007514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
500007513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
|
500007485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
500007484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
500007483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
500007482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
500007480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
|
500007397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7477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
|
500007466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
|
50000746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500007464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
500007463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5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5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등록번호50000748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등록번호5000074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2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등록번호5000074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범위와내용1944년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설 초등학교에서 제6회 졸업을 기념하여 발행한 졸업사전첩이다.
등록번호500007477
생산일자1944.03.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초등교육>국립>공주교대부설초등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