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제목|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참석하였다. 이 메모는 윤여헌이 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행사에서 있었던 일련의 행사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메모에 따르면 당일…

등록번호|500011678

생산일자|2009.10.18.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제목|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6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 문서류>메모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제목|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 문서류
  •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문서류>서신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문서류
  •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 문서류>서신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제목|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16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 문서류>메모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등록번호|50000812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문서류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公山城小西의 碑'라고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 문서류>서신
<웅진문화>에 수록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2)

제목| <웅진문화>에 수록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2)

범위와내용|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월성산(月城山) 봉화대에 登山路를 6.'하고개'와 하마비(下馬碑) 그리고 사월명대(四月明臺) 7.公州의 鄕土誌 8. 어사…

등록번호|500011403

생산일자|20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월성산(月城山) 봉화대에 登山路를 6.'하고개'와 하마비(下馬碑) 그리고 사월명대(四月明臺) 7.公의 鄕土誌 8. 어사 박문수(御使 朴文秀)의 집터 9.番吉의 墓碑
  • 문서류>일반문서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039;但見溯水&#039;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039;書義 德無常師&#039;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lt;웅진문화&gt;에 수록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2)

<웅진문화>에 수록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2)

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제목|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참석하였다. 이 메모는 윤여헌이 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행사에서 있었던 일련의 행사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메모에 따르면 당일…

등록번호|500011678

생산일자|2009.10.18.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6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 문서류>메모

제목|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 문서류
  •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문서류>서신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문서류
  •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 문서류>서신

제목|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16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 문서류>메모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등록번호|50000812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문서류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문서류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公山城小西의 碑'라고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 문서류>서신

제목| <웅진문화>에 수록된 다시 보는 문화유적(2)

범위와내용|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월성산(月城山) 봉화대에 登山路를 6.'하고개'와 하마비(下馬碑) 그리고 사월명대(四月明臺) 7.公州의 鄕土誌 8. 어사…

등록번호|500011403

생산일자|20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웅진문화에 실릴 라는 제목으로 윤여헌 교수가 작성한 원고이다. 1.山城內 우물을 復元하자 2.청벽(靑壁) 아닌 「창벽」(蒼壁)으로 불러야 3.「곰나루」는 「고마나루」로 4. 중군지(中軍址)에 標石을, 월파당(月波堂)은 復元을 5. 월성산(月城山) 봉화대에 登山路를 6.'하고개'와 하마비(下馬碑) 그리고 사월명대(四月明臺) 7.公의 鄕土誌 8. 어사 박문수(御使 朴文秀)의 집터 9.番吉의 墓碑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문서류
  • 문서류>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