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학창시절의 시간표를 기재하여 놓았다.
  • 문서류>서신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 문서류>서신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제목|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범위와내용|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형상을 보인다. 이 엽서 속 공주모습은 1912년 미북감리회 Fleming H.Reve가 지은…

등록번호|500007859

생산일자|1913.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문서류
  •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 문서류>서신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4925건
  • 형태분류  문서류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학창시절의 시간표를 기재하여 놓았다.
  • 문서류>서신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 문서류>서신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문서류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범위와내용|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형상을 보인다. 이 엽서 속 공주모습은 1912년 미북감리회 Fleming H.Reve가 지은…

등록번호|500007859

생산일자|1913.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
  • 문서류>서신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문서류
  •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 문서류>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