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분류
-
-
- 문서류 4935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8 등록번호500008067 생산일자1982.02.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7 등록번호500008066 생산일자1982.02.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6 등록번호500008065 생산일자1982.02.19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4 등록번호500008064 생산일자1982.02.18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2 등록번호500008063 생산일자1982.02.17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1 등록번호500008062 생산일자1982.02.16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9 등록번호500008061 생산일자1982.02.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7 등록번호500008060 생산일자1982.02.14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5 등록번호500008059 생산일자1982.02.1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3 등록번호500008058 생산일자1982.02.12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2 등록번호500008057 생산일자1982.02.1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270 등록번호500008056 생산일자1982.02.1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
제목 공주읍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60년대 후반 채색이 가미된 공주읍 전경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60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공산성의 남문 진남루 범위와내용1968년 서울에 거주하는 김해성씨가 일본 도쿄로 발송한 사진엽서로 공산성 진남문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등록번호500008259 생산일자1968.05.3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2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앞 계곡의 절경이다. 등록번호500008258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제목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1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앞 계곡의 절경이다. 등록번호500008257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다보탑과 대광보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256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등록번호5000078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785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853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500008067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9) |
|
500008066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8) |
|
500008065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7) |
|
500008064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6) |
|
500008063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5) |
|
500008062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4) |
|
500008061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3) |
|
500008060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2) |
|
500008059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1) |
|
500008058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50) |
|
500008057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49) |
|
500008056 공주교도소에서 문익환목사가 받은 서신(48) |
|
500008260 공주읍 전경 엽서 |
|
500008259 공산성의 남문 진남루 |
|
500008258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2 |
|
500008257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1 |
|
500008256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다보탑 |
|
500007855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와 나룻배 엽서 |
|
500007854 일제강점기 공주 시가지 전경 엽서 4 |
|
500007853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8
등록번호500008067
생산일자1982.02.2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7
등록번호500008066
생산일자1982.02.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86
등록번호500008065
생산일자1982.02.19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4
등록번호500008064
생산일자1982.02.18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2
등록번호500008063
생산일자1982.02.17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727881
등록번호500008062
생산일자1982.02.16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9
등록번호500008061
생산일자1982.02.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7
등록번호500008060
생산일자1982.02.14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5
등록번호500008059
생산일자1982.02.1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3
등록번호500008058
생산일자1982.02.12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872
등록번호500008057
생산일자1982.02.1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827270
등록번호500008056
생산일자1982.02.1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제목 공주읍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1960년대 후반 채색이 가미된 공주읍 전경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260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공산성의 남문 진남루
범위와내용1968년 서울에 거주하는 김해성씨가 일본 도쿄로 발송한 사진엽서로 공산성 진남문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등록번호500008259
생산일자1968.05.3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2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앞 계곡의 절경이다.
등록번호500008258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제목 마곡사 탑승기념 엽서 시리즈 - 마곡사 앞 계곡 1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앞 계곡의 절경이다.
등록번호500008257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다보탑과 대광보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256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등록번호50000785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등록번호50000785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853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