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동물사냥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에 구석기인들의 동굴 생활 모습이 연출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18473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동굴생활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에 구석기인들의 동굴 생활 모습이 연출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18472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돌칼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구석기 시대 돌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18471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도구만드는 방법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에서 인류가 돌을 이용하여 각종 도구를 만드는 모습을 실물로 제작하여 연출해 놓은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18470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도구를 만드는 선사인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 정문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도구를 만드는 선사인의 모습을 제작한 동상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18469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구석기 생활 디오라마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의 구석기인의 생활상을 디오라마로 연출한 모습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18468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고환경장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의 고인류 환경을 연출하여 전시해 놓은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18467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고인류장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박물관의 인류의 진화과정을 연출하여 전시해 놓은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18466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석장리구석기박물관 - 1호집터 복원
범위와내용석장리 구석기 유적 1호 집터를 복원한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18465
생산일자2006.03.1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제목
공산성의 코스모스
범위와내용성곽길 아래로 핀 코스모스
등록번호200040108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공산성 앞 금강의 황포돛배 (2)
범위와내용2012년 열린 58회 백제문화제에서 처음 선보인 황포돛배 승선체험 모습
등록번호200040107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공산성 앞 금강의 황포돛배 (1)
범위와내용2012년 열린 58회 백제문화제에서 처음 선보인 황포돛배 승선체험 모습, 중앙에 만하루와 영은사가 보임
등록번호200040106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공산성 느티나무 (3)
범위와내용성곽길을 따라 이어진 느티나무
등록번호200040105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공산성 느티나무 (2)
범위와내용성곽길을 따라 이어진 느티나무, 왼쪽 상단에 공산정이 보임
등록번호200040104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공산성 느티나무 (1)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느티나무, 왼쪽 하단에 백제문화제 애드벌룬이 보임
등록번호200040103
생산일자2012.10.03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제목
1956년 금강교 준공식 (2)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폭파되었던 금강교의 1956년 9월 29일 준공식 사진이다. 금강교는 그 당시 충남지방은 물론 호남일대를 통하는 여러 지방도로와 국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였다. 다리길리 총 513m로 완공되기까지 총공사비 2억 2000여만원과 4만 2100명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당시 이익홍 내무부장관을 비롯한 귀빈들이 참석하였으며,…
등록번호200040102
생산일자1956.09.3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제목
1956년 금강교 준공식 (1)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폭파되었던 금강교의 1956년 9월 29일 준공식 사진이다. 금강교는 그 당시 충남지방은 물론 호남일대를 통하는 여러 지방도로와 국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였다. 다리길리 총 513m로 완공되기까지 총공사비 2억 2000여만원과 4만 2100명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당시 이익홍 내무부장관을 비롯한 귀빈들이 참석하였으며,…
등록번호200040101
생산일자1956.09.3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제목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의 교류선물 수령 (4)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이 공주로부터 받은 한일교류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장면이다. 우편으로 받은 한일교류선물은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성과정의 김조연 대학원생이 중심이 되어 주변의 지인들이 동참하였으며, 공주관련 기념품과 금강뉴스에서 발행한 무령왕탄신제15주년기념책자, 한국의 과자 등이 선물로 보내졌다. 해당 사진은 가카라소중학교…
등록번호200040082
생산일자2017.06.19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사진류
- 현대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 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제목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의 교류선물 수령 (3)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이 공주로부터 받은 한일교류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장면이다. 우편으로 받은 한일교류선물은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성과정의 김조연 대학원생이 중심이 되어 주변의 지인들이 동참하였으며, 공주관련 기념품과 금강뉴스에서 발행한 무령왕탄신제15주년기념책자, 한국의 과자 등이 선물로 보내졌다. 해당 사진은 가카라소중학교…
등록번호200040081
생산일자2017.06.19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사진류
- 현대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 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제목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의 교류선물 수령 (2)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이 공주로부터 받은 한일교류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장면이다. 우편으로 받은 한일교류선물은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성과정의 김조연 대학원생이 중심이 되어 주변의 지인들이 동참하였으며, 공주관련 기념품과 금강뉴스에서 발행한 무령왕탄신제15주년기념책자, 한국의 과자 등이 선물로 보내졌다. 해당 사진은 가카라소중학교…
등록번호200040080
생산일자2017.06.19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사진류
- 현대
- 사진류>사진 전자파일
- 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