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제17회 백제문화제 - 무령왕비 은제팔찌
범위와내용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의 은제팔찌(국보 제160호)이다. 팔찌에는 세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으며, 팔찌 안쪽으로는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州主耳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를 통해 다리라는 공인이 대부인(왕비)를 위해 520년(경자년)에 제작한 팔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7회 백제문화제가 열린 1971년은 무령왕릉이 발굴된 해이기 때문에 당시…
등록번호200031256
생산일자1971.10.1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기관
- 사진류
- 현대
-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의 은제팔찌(국보 제160호)이다. 팔찌에는 세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으며, 팔찌 안쪽으로는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州主耳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를 통해 다리라는 공인이 대부인(왕비)를 위해 520년(경자년)에 제작한 팔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7회 백제문화제가 열린 1971년은 무령왕릉이 발굴된 해이기 때문에 당시 백제문화제에서는 무령왕릉유물특별전시회가 진행되었다.
- 사진류>필름사진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30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6
생산일자1988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2)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5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등록번호200048334
생산일자198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9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등록번호200048332
생산일자198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2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의 성모마리아상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등록번호200048282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공주박물관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학생들 뒤로 중동성당도 보인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 중동성당(1)
범위와내용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등록번호200048278
생산일자1975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기관
- 사진류
- 현대
-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학생들이 중동성당 계단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본래 명칭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수녀원 등 현재의 모습을
- 사진류>사진 기타
|
|
제목
화마루공소 종탑 당김줄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입구로 들어가기전에 늘어뜨려져 있는 당김줄이다. 종탑의 종을 울릴때 당겨서 사용한다. 마을에 일이 있을때나 미사 시간을 알릴 때 종을 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9368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성수대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입구 왼쪽에 위치한 성수대의 모습이다. 성수대의 용도는 성당에 들어갈 때 거룩한 장소나 의식에 들어간다는 의미로 성수에 손가락을 찍어 십자성호를 그은 다음에 들어간다고 한다. 성당을 나올때는 성수 의식을 하지 않는다. 성수대의 물은 합법적으로 서품을 받은 사제에게 축성을 받은 물을 성수로 사용해야 한다.
등록번호200059367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내부 스테인드글라스 창과 액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366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내부 (4)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공소 제단 전경이다. 가운데 대형 십자가 조각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성모마리아상, 우측에는 예수상을 모셔놓았다. 강대상 앞쪽으로 생화로 꽃 장식을 해 놓았다.
등록번호200059365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내부 (3)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출입구 앞 작은 강대상의 모습이다. 가톨릭 신문과 매일미사, 엽서와, 저금통 등이 놓여있었다.
등록번호200059364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내부 (2)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출입구 앞 작은 강대상의 모습이다. 가톨릭 신문과 매일미사, 엽서와, 저금통 등이 놓여있었다.
등록번호200059363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내부 (1)
범위와내용화마루 공소 내부 전경이다. 앞쪽 제단 중앙에 대형 십자가가 위치해 있고 이를 중심으로 좌, 우로 각각 예수상과 성모상을 모셔놓았다. 제단 앞쪽에 생화로 꽃장식을 해 놓았으며, 4개의 아치형 창문도 단조로운 원형 문양의 하늘색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9362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입구
범위와내용화마루 공소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의 모습이다. 아치형의 문으로 상단에는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되어있다.
등록번호200059361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별채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예배당 왼쪽에 작은 규모의 별채가 지어져있다. 미사 후 교우들의 공동식사 혹은 소모임 장소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60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성모상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성모상의 모습이다. 돌을 아치형으로 촘촘하게 쌓아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성모상을 모셔놓았다.
등록번호200059359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전경(2)
범위와내용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화마루공소 전경 사진이다. 공소 건물 왼쪽으로 성모상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9358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화마루공소 전경(1)
범위와내용화마루공소 전경사진이다. 화마루공소는 1942년 가을에 공소로 창립되었으며 강당의 건립은 1955년부터 시작하여 1957년에 완공되었다고 한다. 1층 건물이며 지붕위에 종탑이 있다. 공소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 앞에 종을 칠 때 당기는 밧줄이 늘어뜨려져 있다.
등록번호200059357
생산일자2021.04.05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종교,언어>종교>가톨릭
|
|
제목
마티작목반 농산물직판장
범위와내용반포면 마암리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마티작목반농산물직판장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008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