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현대 50782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4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2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고건축분야(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 報告書: 古建築分野) 범위와내용고대 주거지 연구 I. 서론 II. 구석기 시대의 집자리 III. 신석기 시대의 집자리 IV. 청동기시대 V. 초기철기시대 VI. 백제시대 집자리 VII. 복원을 위한 제언 초기건축 연구 I. 머리말 II. 관아건축 III. 민가건축 IV. 방어시설 V. 복원을 위한 제언 고대궁궐 연구 I. 서론 II. 중국의 궁궐 III. 일본의 궁궐 IV. 한국의… 등록번호100019520 생산일자1996.07.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백제사의 재조명" 국제학술대회("百濟史의 再照明" 國際學術大會) 범위와내용백제 부흥운동과 내포 지역 - 이도학 일본고대사와 곤지 - 笠井敏光 한반도의 남방문화와 중국장강하류 백월문화적 관계 - 苑利 백제와 고대의 일본열도 - 高道忠平 장승과 일본황성의 진호신 - 임동권 홍주석성산 발굴조사 보고서 - 최규성, 신형식, 최근영 등록번호100019516 생산일자2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1)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학교 관계자가 발언하고 있다.『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1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80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2)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된 본관 건물 측면으로 공주고등하교 학생들이 정렬해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2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81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0)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 관계자에게 감사장을 전달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0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9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9)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 참석한 인사들이 준공된 본관의 복도를 걸으며 둘러보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9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8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8)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상장 수여식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8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7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5)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준공된 본관을 배경으로 여러 외부손님들이 자리하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5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등록번호200059274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 복구 준공식 행사 (4)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단상의 좌우로 많은 관계인사들이 자리하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4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등록번호200059273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등록번호200059270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7)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관계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 상단 부착물에서 준공 및 이양식의 행사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7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등록번호200059276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2)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뒤로 보이는 교사는 2번째로 세워진 가교사이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록번호200059271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제목 계룡산 굿당연구 범위와내용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1. '산악'으로서의 계룡산 = 13 2. '산'으로서의 계룡산 = 20 3. '산'과 '산악'의 통합으로서의… 등록번호10000044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6)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 준공식 당시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의 모습이다. 아치 오른쪽 기둥의 학생은 출입자 관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본관의 준공에는 공주고등학교사친회, 기성회, 동창회 등 많은 단체들이 힘을 모았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등록번호200059275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3)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 당일 군용 차량이 공주고등학교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를 통과하고 있다. 차량 오른편의 교사와 학생은 출입자 관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본관의 준공에는 공주고등학교사친회, 기성회, 동창회 등 많은 단체들이… 등록번호200059272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범위와내용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또, 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백제땅에서 탄생한 위인들을 게재하였다. 표지에는 낙화암과 백마강… 등록번호100020448 생산일자1953.10.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전설
|
![]() |
제목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범위와내용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또, 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백제땅에서 탄생한 위인들을 게재하였다. 표지에는 낙화암과 백마강… 등록번호100020319 생산일자1953.10.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전설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
![]() |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고건축분야(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 報告書: 古建築分野) 고대 주거지 연구 I. 서론 II. 구석기 시대의 집자리 III. 신석기 시대의 집자리 IV. 청동기시대 V. 초기철기시대 VI. 백제시대 집자리 VII. 복원을 위한 제언 초기건축 연구 I. 머리말 II. 관아건축 III.… |
![]() |
"백제사의 재조명" 국제학술대회("百濟史의 再照明" 國際學術大會) 백제 부흥운동과 내포 지역 - 이도학 일본고대사와 곤지 - 笠井敏光 한반도의 남방문화와 중국장강하류 백월문화적 관계 - 苑利 백제와 고대의 일본열도 - 高道忠平 장승과 일본황성의 진호신 - 임동권 홍주석성산 발굴조사 보고서 -…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1)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학교 관계자가 발언하고 있다.『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2)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된 본관 건물 측면으로 공주고등하교 학생들이 정렬해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0)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 관계자에게 감사장을 전달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9)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 참석한 인사들이 준공된 본관의 복도를 걸으며 둘러보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8)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상장 수여식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5)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준공된 본관을 배경으로 여러 외부손님들이 자리하고 있다.…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 복구 준공식 행사 (4)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단상의 좌우로 많은 관계인사들이 자리하고 있다.…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7)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관계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 상단 부착물에서 준공 및 이양식의 행사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2)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뒤로 보이는… |
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 |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6)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 준공식 당시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의 모습이다. 아치 오른쪽 기둥의 학생은 출입자 관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
![]() |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3)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 당일 군용 차량이 공주고등학교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를 통과하고 있다. 차량 오른편의 교사와… |
![]() |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
![]() |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4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범위와내용1966년 제12회 백제문화제 둘째날(10월 7일) 열린 고흥 박사(高興博士) 추모제의 모습 중 하나이다. 고흥은 근초고왕 때 백제 최초의 역사서라 할 수 있는 『서기(書記)』를 편찬한 인물이다. 추모제가 진행된 장소는 오늘날 국립공주대학교 부속 고등학교가 있는 자리이다. 1966년 당시에 이곳에는 공주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가 함께 있었다.
등록번호200031182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고건축분야(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 報告書: 古建築分野)
범위와내용고대 주거지 연구 I. 서론 II. 구석기 시대의 집자리 III. 신석기 시대의 집자리 IV. 청동기시대 V. 초기철기시대 VI. 백제시대 집자리 VII. 복원을 위한 제언 초기건축 연구 I. 머리말 II. 관아건축 III. 민가건축 IV. 방어시설 V. 복원을 위한 제언 고대궁궐 연구 I. 서론 II. 중국의 궁궐 III. 일본의 궁궐 IV. 한국의…
등록번호100019520
생산일자1996.07.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제목 "백제사의 재조명" 국제학술대회("百濟史의 再照明" 國際學術大會)
범위와내용백제 부흥운동과 내포 지역 - 이도학 일본고대사와 곤지 - 笠井敏光 한반도의 남방문화와 중국장강하류 백월문화적 관계 - 苑利 백제와 고대의 일본열도 - 高道忠平 장승과 일본황성의 진호신 - 임동권 홍주석성산 발굴조사 보고서 - 최규성, 신형식, 최근영
등록번호100019516
생산일자2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1)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학교 관계자가 발언하고 있다.『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1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80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2)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된 본관 건물 측면으로 공주고등하교 학생들이 정렬해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2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81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0)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 관계자에게 감사장을 전달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0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9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9)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에 참석한 인사들이 준공된 본관의 복도를 걸으며 둘러보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9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8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8)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상장 수여식 모습으로 추정된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8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평가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9277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5)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준공된 본관을 배경으로 여러 외부손님들이 자리하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5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등록번호200059274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 복구 준공식 행사 (4)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본관복구 기념식장의 모습으로 단상의 좌우로 많은 관계인사들이 자리하고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4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등록번호200059273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1)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1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중장이 노력이 컸다고…
등록번호200059270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7)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미군관계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 상단 부착물에서 준공 및 이양식의 행사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 7군 사령관 유재흥(劉載興)…
등록번호200059276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2)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은 신축된 본관과 기존에 쓰이던 가교사(假校舍)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뒤로 보이는 교사는 2번째로 세워진 가교사이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본관의 준공에는 미군의 원자재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등록번호200059271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계룡산 굿당연구
범위와내용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1. '산악'으로서의 계룡산 = 13 2. '산'으로서의 계룡산 = 20 3. '산'과 '산악'의 통합으로서의…
등록번호10000044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6)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 준공식 당시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의 모습이다. 아치 오른쪽 기둥의 학생은 출입자 관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본관의 준공에는 공주고등학교사친회, 기성회, 동창회 등 많은 단체들이 힘을 모았다. 『公州高六十年史』(1982)에 따르면…
등록번호200059275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1961년 공주고등학교 본관복구공사 준공식 행사 (3)
범위와내용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1년 4월 30일 공주고등학교의 본관 복원공사 준공식 모습이다. 준공식 당일 군용 차량이 공주고등학교 교사 앞에 마련된 아치를 통과하고 있다. 차량 오른편의 교사와 학생은 출입자 관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본관의 준공에는 공주고등학교사친회, 기성회, 동창회 등 많은 단체들이…
등록번호200059272
생산일자196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범위와내용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또, 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백제땅에서 탄생한 위인들을 게재하였다. 표지에는 낙화암과 백마강…
등록번호100020448
생산일자1953.10.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전설
제목 백제대관(百濟大觀) : 고도(古都)와 승지(勝地)의 사화집(史話集)
범위와내용사단법인 부여사적현창회에서 발행하고 李成國이 저술한 '고도와 승지의 사화집 - 백제대관' 1집이다. 충청남도와 공주/부여일대의 연혁 등을 도입부에 기재하고, 백제역대대왕세손도 및 백제의 명관과 백제사개요 및 백제의 명승과 고적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또, 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백제땅에서 탄생한 위인들을 게재하였다. 표지에는 낙화암과 백마강…
등록번호100020319
생산일자1953.10.3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