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현대 50622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397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멸실된 본관 건물을 대체하여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396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학교 앞 오거리길에 위치한 봉황교 위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재학생 뒷편으로 멀리 공주영명학교 건물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395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국립박물관 공주분관(구 국립공주박물관) 입구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입구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 자리에 위치했던 공주분관은 옛 충남도청 선화당 건물을 활용하여 1938년 개관했다. 이후 전시공간의 노후화 등으로 신축되어 국립공주박물관으로 명명되었다. 등록번호200057394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공주우체국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신식건물로 개축된 공주우체국의 모습과 달리 본 자료 속 우체국은 1913년 중동 큰 사거리 차부 부근에서 반죽동 오늘날의 위치로 이전 개원했을 때와 동일한 모습이다. 입구 앞 우체통 위에 앉아서 자세를 취한 재학생의 모습이 익살스럽다. 등록번호200057393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2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92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재학생의 농구장면이다. 당시 공주고등학교에는 농구코트와 함께 농구부가 존재했을 정도로 농구경기를 즐기는 학생들이 있었다. 등록번호200057391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90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 분수대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9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現 충남역사박물관) 선화당과 정원의 모습이다. 본래 선화당은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충청감영의 관찰사 집무실이었다. 경술국치 이후 충남도청의 도지사 집무실로 활용되던 중 도청의 이전과 박물관 건립을 이유로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광복 이후 시설의 노후화와 신축박물관 건설의 영향으로 멸실되었으나, 웅진동… 등록번호200057388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제목 공주박물관 정원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現 충남역사박물관) 앞 정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7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56년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팔각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팔각정은 소실되었고, 해당 위치에 1980년대 공산성 임류각지 부근에서 옮겨온 4.19학생혁명기념탑과 2019년에 설치한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등록번호200057386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
|
제목 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바라본 공주시가지 전경 범위와내용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 본 공주시가지 전경이다. 공주사범대학과 운동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의 공주중동초등학교 교정과 운동장, 멀리 국고개 정상부근에 위치한 공주중동성당까지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385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봉황산
|
|
|
제목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4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195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금강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금강교는 1956.09.29에 복구공사 준공식을 거행하는 점과 교각 아래 비계들이 늘어선 것으로 보아 막바지 복구공사가 이루어지던 그해 여름철로 추정된다. 학생 뒷편으로 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금강을 오가는 나룻배도 엿 보인다. 등록번호200057383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관내 대회에서 우승한 배구부 선수들과 지도교사가 공주중학교 운동장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학생들은 오늘날에도 공주중학교 심볼로 사용되는 '공중'마크가 들어간 체육복을 입고 있다. 등록번호200057882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중학교
|
|
|
제목 1966년 제민천을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과 제민천 하류에서 촬영하였다. 천변으로 늘어선 버드나무와 뒷편으로 교동교 일부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81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비선거리의 비석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1960년대 비선거리는 앵산공원에 있어, 학생들 뒷편으로 영명학당으로 오르는 길거리가 보인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80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중학교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9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78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멸실된 본관 건물을 대체하여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학교 앞 오거리길에 위치한 봉황교 위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재학생 뒷편으로 멀리 공주영명학교 건물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
국립박물관 공주분관(구 국립공주박물관) 입구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입구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 자리에 위치했던 공주분관은 옛 충남도청 선화당 건물을 활용하여 1938년 개관했다. 이후 전시공간의 노후화 등으로…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공주우체국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신식건물로 개축된 공주우체국의 모습과 달리 본 자료 속 우체국은 1913년 중동 큰 사거리 차부 부근에서 반죽동 오늘날의 위치로 이전…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재학생의 농구장면이다. 당시 공주고등학교에는 농구코트와 함께 농구부가 존재했을 정도로 농구경기를 즐기는 학생들이 있었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 분수대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
|
|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現 충남역사박물관) 선화당과 정원의 모습이다. 본래 선화당은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충청감영의 관찰사 집무실이었다. 경술국치 이후 충남도청의 도지사 집무실로 활용되던 중 도청의 이전과 박물관 건립을 이유로…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現 충남역사박물관) 앞 정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
|
|
1956년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팔각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팔각정은 소실되었고, 해당 위치에 1980년대 공산성 임류각지 부근에서 옮겨온 4.19학생혁명기념탑과 2019년에 설치한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
|
|
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 본 공주시가지 전경이다. 공주사범대학과 운동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의 공주중동초등학교 교정과 운동장, 멀리 국고개 정상부근에 위치한 공주중동성당까지 확인할 수 있다. |
|
|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
|
|
195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금강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금강교는 1956.09.29에 복구공사 준공식을 거행하는 점과 교각 아래 비계들이 늘어선 것으로 보아 막바지 복구공사가 이루어지던 그해…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관내 대회에서 우승한 배구부 선수들과 지도교사가 공주중학교 운동장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학생들은 오늘날에도 공주중학교 심볼로 사용되는 '공중'마크가 들어간 체육복을 입고…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과 제민천 하류에서 촬영하였다. 천변으로 늘어선 버드나무와 뒷편으로 교동교 일부가 보인다.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비선거리의 비석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1960년대 비선거리는 앵산공원에 있어, 학생들 뒷편으로 영명학당으로 오르는 길거리가…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
|
200057397; 200057397; 200057397 공주고등학교 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 2 |
|
|
200057396; 200057396; 200057396 공주고등학교 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 1 |
|
|
200057395; 200057395; 200057395 봉황교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
|
|
200057394; 200057394; 200057394 국립박물관 공주분관(구 국립공주박물관) 입구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
|
|
200057393; 200057393; 200057393 공주우체국 앞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
|
|
200057392; 200057392; 200057392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2 |
|
|
200057391; 200057391; 200057391 1956년 공주고등학교 재학생의 농구장면 2 |
|
|
200057390; 200057390; 200057390 공주고등학교 교내에서 촬영한 졸업사진 |
|
|
200057389; 200057389; 200057389 공주고등학교 교내 분수대에서 촬영한 졸업사진 1 |
|
|
200057388; 200057388; 200057388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
|
|
200057387; 200057387; 200057387 공주박물관 정원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
|
|
200057386; 200057386; 200057386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
|
|
200057385; 200057385; 200057385 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바라본 공주시가지 전경 |
|
|
200057384; 200057384; 200057384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
|
|
200057383; 200057383; 200057383 195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
|
|
200057882; 200057882; 200057882 1966년 공주중학교 배구반 선수들과 지도교사 |
|
|
200057881; 200057881; 200057881 1966년 제민천을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
|
|
200057880; 200057880; 200057880 1966년 비선거리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
|
|
200057879; 200057879; 200057879 1966년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신관리 일대 |
|
|
200057878; 200057878; 200057878 1966년 팔각정에 걸터앉은 공주중학교 학생들 |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397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사와 정원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 뒷 편으로 보이는 교사는 한국전쟁 후 멸실된 본관 건물을 대체하여 임시로 본관으로 사용하던 옛 학교공소 건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396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학교 앞 오거리길에 위치한 봉황교 위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재학생 뒷편으로 멀리 공주영명학교 건물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395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국립박물관 공주분관(구 국립공주박물관) 입구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입구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 자리에 위치했던 공주분관은 옛 충남도청 선화당 건물을 활용하여 1938년 개관했다. 이후 전시공간의 노후화 등으로 신축되어 국립공주박물관으로 명명되었다.
등록번호200057394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공주우체국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오늘날 신식건물로 개축된 공주우체국의 모습과 달리 본 자료 속 우체국은 1913년 중동 큰 사거리 차부 부근에서 반죽동 오늘날의 위치로 이전 개원했을 때와 동일한 모습이다. 입구 앞 우체통 위에 앉아서 자세를 취한 재학생의 모습이 익살스럽다.
등록번호200057393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2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92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재학생의 농구장면이다. 당시 공주고등학교에는 농구코트와 함께 농구부가 존재했을 정도로 농구경기를 즐기는 학생들이 있었다.
등록번호200057391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90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교내 분수대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9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現 충남역사박물관) 선화당과 정원의 모습이다. 본래 선화당은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충청감영의 관찰사 집무실이었다. 경술국치 이후 충남도청의 도지사 집무실로 활용되던 중 도청의 이전과 박물관 건립을 이유로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광복 이후 시설의 노후화와 신축박물관 건설의 영향으로 멸실되었으나, 웅진동…
등록번호200057388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제목 공주박물관 정원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現 충남역사박물관) 앞 정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7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56년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팔각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팔각정은 소실되었고, 해당 위치에 1980년대 공산성 임류각지 부근에서 옮겨온 4.19학생혁명기념탑과 2019년에 설치한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등록번호200057386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제목 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바라본 공주시가지 전경
범위와내용1956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 본 공주시가지 전경이다. 공주사범대학과 운동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의 공주중동초등학교 교정과 운동장, 멀리 국고개 정상부근에 위치한 공주중동성당까지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385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산>봉황산
제목 앵산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팔각정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384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195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공주고등학교 졸업사진 1
범위와내용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반 학생 중 일부가 금강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금강교는 1956.09.29에 복구공사 준공식을 거행하는 점과 교각 아래 비계들이 늘어선 것으로 보아 막바지 복구공사가 이루어지던 그해 여름철로 추정된다. 학생 뒷편으로 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금강을 오가는 나룻배도 엿 보인다.
등록번호200057383
생산일자1957.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관내 대회에서 우승한 배구부 선수들과 지도교사가 공주중학교 운동장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학생들은 오늘날에도 공주중학교 심볼로 사용되는 '공중'마크가 들어간 체육복을 입고 있다.
등록번호200057882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중학교
제목 1966년 제민천을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과 제민천 하류에서 촬영하였다. 천변으로 늘어선 버드나무와 뒷편으로 교동교 일부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81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비선거리의 비석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1960년대 비선거리는 앵산공원에 있어, 학생들 뒷편으로 영명학당으로 오르는 길거리가 보인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80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중학교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9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78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