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1253건
  • 시대분류  현대
이라울(日羅洞) 마을의 역사

제목| 이라울(日羅洞) 마을의 역사

범위와내용|차례 1. 이라울 마을역사를 발간하며 = 3 2. 이라울 마을의 어제와 오늘 = 12 3. 주민들이 이용한 시설 소개 = 22 4. 주민들의 삶의 발자취 = 34 5. 아름다운 이라울 자연환경 = 90 6. 가가호호 우리집 자랑 = 140 [부록] 1. 반장 업무 일지 = 166 2. 1945년 이후 역대 노인회장 및 이장 명단 = 171

등록번호|100020563

생산일자|2022.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의당

  • 현대
제2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제목| 제2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범위와내용|2006년 8월 19일부터 25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20562

생산일자|2006.08.1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현대예술>총론(혼합)

  • 현대
제1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제목| 제1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범위와내용|2005년 5월 21일부터 27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20561

생산일자|2005.05.2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현대예술>총론(혼합)

  • 현대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자료 = 103

등록번호|100020560

생산일자|2022.12.2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현대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자료 = 103

등록번호|100020559

생산일자|2022.12.2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현대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제목|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범위와내용|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유래 · 신성대 = 24 심우성 선생님을 추도하며 · 심규호 = 30 심우성 1인 극장 쌍두아 = 35 문(門) =…

등록번호|100020558

생산일자|2019.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전통예술>공예

  • 현대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제목|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범위와내용|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유래 · 신성대 = 24 심우성 선생님을 추도하며 · 심규호 = 30 심우성 1인 극장 쌍두아 = 35 문(門) =…

등록번호|100020557

생산일자|2019.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전통예술>공예

  • 현대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제목|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도산십곡, 우암 선생은 화양구곡이 유명하다. 그 가운데 공주의 구곡은 금란구곡(문천리, 대산리 일부, 마곡사)과 용산구곡(반포면…

등록번호|50001154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인조파천 관련 메모

제목| 인조파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적어놓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석송동천(암각서) 2. 우정(소물) 3. 인절미 4. 도루메기 5. 조왕동(지명)

등록번호|5000115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제목|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중 충신조에 보면 이렇게 소개되어 있다. "속성은 박씨요 계룡면 월암리 출생이며 갑사에 재적승으로서 고승 서산의 법사(법통을…

등록번호|5000115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1253건
  • 시대분류  현대
이라울(日羅洞) 마을의 역사

이라울(日羅洞) 마을의 역사

차례 1. 이라울 마을역사를 발간하며 = 3 2. 이라울 마을의 어제와 오늘 = 12 3. 주민들이 이용한 시설 소개 = 22 4. 주민들의 삶의 발자취 = 34 5. 아름다운 이라울 자연환경 = 90 6. 가가호호 우리집 자랑 =…
제2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제2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2006년 8월 19일부터 25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제1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제1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2005년 5월 21일부터 27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인조파천 관련 메모

인조파천 관련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1253건
  • 시대분류  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1253건
  • 시대분류  현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1253건
  • 시대분류  현대

제목| 이라울(日羅洞) 마을의 역사

범위와내용|차례 1. 이라울 마을역사를 발간하며 = 3 2. 이라울 마을의 어제와 오늘 = 12 3. 주민들이 이용한 시설 소개 = 22 4. 주민들의 삶의 발자취 = 34 5. 아름다운 이라울 자연환경 = 90 6. 가가호호 우리집 자랑 = 140 [부록] 1. 반장 업무 일지 = 166 2. 1945년 이후 역대 노인회장 및 이장 명단 = 171

등록번호|100020563

생산일자|2022.0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의당

  • 현대

제목| 제2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범위와내용|2006년 8월 19일부터 25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20562

생산일자|2006.08.19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현대예술>총론(혼합)

  • 현대

제목| 제1회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범위와내용|2005년 5월 21일부터 27일까지 공주문예회관에서 진행한 '백제신문과 함께하는 자유의지 전' 전시안내 책자이다. 울타리없는 모임 작가들의 작품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20561

생산일자|2005.05.2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현대예술>총론(혼합)

  • 현대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자료 = 103

등록번호|100020560

생산일자|2022.12.2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현대

제목| 우리조상뿌리찾기 총서19 : 공주 청송심씨의 공주입향과 인물 유적

범위와내용|목차 청송심씨 청헌공파의 공주 입향과 정착 - 이준원 = 13 공주 청송심씨 청헌공ㅎ파 인물 배출 - 이해준 = 39 공주에 남은 청송심씨가의 문화유산 - 홍제연 = 69 청송심씨 집성촌을 찾아 - 신용희 = 85 [부록] 자료 = 103

등록번호|100020559

생산일자|2022.12.2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현대

제목|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범위와내용|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유래 · 신성대 = 24 심우성 선생님을 추도하며 · 심규호 = 30 심우성 1인 극장 쌍두아 = 35 문(門) =…

등록번호|100020558

생산일자|2019.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전통예술>공예

  • 현대

제목| 1인극 배우 심우성 아리랑

범위와내용|글 싣는 순서 을 펴내며 인생의 스승이었던 아버지·심하용 = 04 심우성 선생을 추모하며 현장체험과 지식을 겸비한 공연예술가 심우성 · 서연호 = 12 내 친구 심우성, 그의 진정한 삶에 대하여 · 김승환 = 18 청색 한반도기의 유래 · 신성대 = 24 심우성 선생님을 추도하며 · 심규호 = 30 심우성 1인 극장 쌍두아 = 35 문(門) =…

등록번호|100020557

생산일자|2019.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문학,예술,언론>전통예술>공예

  • 현대

제목| 제민천교영세비 비문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정방철, 이하득, 윤계원이 자금을 제공한 인물이다. 3쪽에서는 본문과 그에 대한 각주와 간략한…

등록번호|5000115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지역의 향토사: 웅진백제 및 인조파천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역의 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백제 문주왕 시기부터 성왕대 부여천도 이전의 웅진백제시기의 왕대에 대한 메모, 백제-고구려 동맹 등에 대한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 뒷장에는 공주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으로 무령왕릉을 비롯해 산성공원의 동남쪽에 위치한 토성지, 대통사지, 수원사지, 양화산성, 효포리 향덕비 등에 대한 사항을…

등록번호|50001155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 부근 백제의 유적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공주 부근의 백제 유적을 기록한 메모이다. 스테이플러로 고정된 원본 두 장과 다시 첫번째 내용을 재메모한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메모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총 11가지의 유적을 표기하고 간략한 역사를 개관해 두었는데, 구성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 역사의 약력 2. 현 산성공원의 유래와 역사 3. 소정평 4. 웅강 > 금강…

등록번호|50001154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제민천제방 불상에 매일신보 기사와 메모

범위와내용|이 기록은 윤여헌 교수가 1930년 7월 28일 매일신보에 실린 백제시대 석불 소상 발견 기사를 첨부하여 신문기사의 내용을 자필로 모사한 것이다. 메모의 본문은 다음과 같은데, '충남 공주 제민천 제방(공주고등여자학교 부근)에 고립하여 있는 불상을 지난 25일(1930.07.25.) 공주군청 구내로 옮겨 보존케 하고 공주 서혈사에 있는 석불도 동처로…

등록번호|50001154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백제문화와 일본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백제문화와 일본 관련 기록이다. 백제 성왕의 왕자인 임성태자를 시조로 하는 오우치씨(大內氏)와 조선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왕조실록을 참조로 그 실증을 밝혔다.

등록번호|50001154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쌍수정사적비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쌍수정사적비 관련 메모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비는 공산성 쌍수정 누각 동쪽에 있는 비석인데, 인조께서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5박 6일간 주필한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비문의 말미 부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후략)"

등록번호|50001154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기념비 건립 추진에 관한 메모이다. 메모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무령왕 기념비 건립의 의의 2. 추진유적에 있어서 보완점 3. 한일교류발전과 관련하여 제안 각 사항에 담긴 세부내용과 한일교류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일본 가카라시마 무령왕탄생지에 건립된 무령왕 기념비 건립과 관련된 사항임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1154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도산십곡, 우암 선생은 화양구곡이 유명하다. 그 가운데 공주의 구곡은 금란구곡(문천리, 대산리 일부, 마곡사)과 용산구곡(반포면…

등록번호|50001154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2) : 이렇게 고치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 하였다. 총 19가지를 제언사항으로 다루었으며, 추후에 몇 가지는 빨간색 또는 검정색으로 중선을 그어 삭제하는 의미를 담았다. 주로 언급된 제언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감사의 행차 복원(공주이영기년행사) 2. 백제사신도(직공도) 엽서…

등록번호|50001154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역사문화에 대한 제언 (1) : 이렇게 바로 잡자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소신을 담아 바로잡아야 공주역사문화를 간단하게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전면에는 메모의 제목과 함께 그 아래에 총 9개 건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두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백제사신도 및 적당한 상징물 - 그림 엽서 제작 2. 영규대사를 기허대사로 3. 월파당, 호해루 복원 4. 산성내…

등록번호|5000115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주시 고지명에 대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5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인조파천 관련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두 장의 인조파천 관련 기록이다. 장유가 공주산성에 대해 일평한 문장으로부터 시작하여 1924년 2월 9일 이괄의 난이 발발하던 당시의 기록과 경위를 기재해두었다. 다음 장 말미에서는 인조파천이 남긴 것을 적어놓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석송동천(암각서) 2. 우정(소물) 3. 인절미 4. 도루메기 5. 조왕동(지명)

등록번호|5000115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영규대사를 기허당대사로 추진하고자 작성한 메모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영규대사 관련한 기록이다. 일반에서 영규대사로 불려지는 것을 기허당대사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로 추정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영규대사 → 기허(기허당)대사로 공산지 인물편 중 충신조에 보면 이렇게 소개되어 있다. "속성은 박씨요 계룡면 월암리 출생이며 갑사에 재적승으로서 고승 서산의 법사(법통을…

등록번호|5000115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현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