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정홍식 무과급제 교지
범위와내용‘광서14년’, 즉 1888년 9월에 정사홍이 무과 병과 제26인으로 급제하고 난 후 받은 무과급제교지이다. 붉은 색 바탕의 종이에 글씨를 쓴 홍패(紅牌)의 모습을 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0
생산일자1888년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제목
雍正12年 이언세(李彦世) 차정첩(差定貼)
범위와내용옹정 12년(1734, 영조10) 9월, 새로 급제한 이언세를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임명하는 이조 차정첩
등록번호500008725
생산일자1734년(영조10)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雍正4년 이성(火+省) 교지(敎旨)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10월, 이성을 振武將軍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24
생산일자1726년(영조2) 10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雍正4年 이성(火+省) 교첩(敎牒)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9월, 통덕랑 이성을 果毅校尉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3
생산일자1726년(영조2)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康熙25年 이성(火+省) 교첩(敎牒)
범위와내용강희 25년(1689, 숙종12) 7월, 直郞 이성을 통덕랑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2
생산일자1689년(숙종12) 7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同治13年 숙인박씨(淑人朴氏) 교지(敎旨)
범위와내용동치 13년(1874, 고종11) 3월, 淑人朴氏를 淑夫人에 임명하는 교지.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 이주일 처를 법전 종부직에 따라 숙부인으로 증직함
등록번호500008740
생산일자1874년(고종11)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乾隆40年 이진상(李鎭常) 교지(敎旨)
범위와내용건륭 40년(1775, 영조51) 11월 30일, 이진상을 통훈대부 행예조좌랑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35
생산일자1775년(영조51) 11월 30일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乾隆39年 이진상(李鎭常) 교지(敎旨)
범위와내용건륭 39년(1774, 영조50) 12월 1일, 이진상을 通訓大夫 行宗親府典簿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34
생산일자1774년(영조50) 12월 1일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乾隆37年 이진상(李鎭常) 교지(敎旨)
범위와내용건륭 37년(1772, 영조48) 11월, 진사 통덕랑 이진상을 통덕랑 行崇陵參奉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31
생산일자1772년(영조48) 11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乾隆33年 이진상(李鎭常) 백패(白牌)
범위와내용건륭 33년(1768, 영조44) 2월 22일, 유학 이진상이 진사 3둥 제41인으로 입격한 백패
등록번호500008730
생산일자1768년(영조44) 2월 22일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雍正11年 이언세(李彦世) 문과홍패(文科紅牌)
범위와내용옹정 11년(1733, 영조9) 11월 18일, 유학 이언세가 문과 을과 제6인으로 급제한 문과홍패
등록번호500008729
생산일자1733년(영조9) 11월 18일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乾隆9年 이언세(李彦世) 백패(白牌)
범위와내용건륭 9년(1744, 영조20) 8월 30일, 이언세를 중직대부 행사간원정언에 임명하는 교지 / 배면: '吏吏 安達顯
등록번호500008728
생산일자1744년(영조20) 8월 30일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태봉동 동계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시 태봉동 동계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8
생산일자1896.1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숙종대왕 태실문서
범위와내용숙종대왕 태실이 위치한 공주 목동면 태봉리에 대한 한성부 발행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7
생산일자189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태봉동의(胎封洞議)
범위와내용조선말기 태봉동 주민들의 회의내용이 담긴 고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486
생산일자1896.00.00~196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전주이씨 덕천군파 소장 승경도
범위와내용공주에 사는 전주이씨 덕천군파 후 참판공파 후손들이 사용하였던 승경도이다.
등록번호500007265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제목
숙부인 오씨 정부인 증직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이 가선대부 돈녕부 돈녕직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부인 숙부인 오씨를 정부인으로 증직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50
생산일자1887.08.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제목
유인 노씨 정부인 증직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이 가선대부 돈녕부 돈녕직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모친 유인 노씨를 정부인으로 증직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49
생산일자1887.08.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문서류
- 조선시대
- 문서류>문서 기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