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조선시대 57
-
![]() |
제목 공산지 상 범위와내용공산지 원본의… 등록번호100020615 생산일자1859 형태도서/간행물류>사료
|
![]() |
제목 정홍식 무과급제 교지 범위와내용‘광서14년’, 즉 1888년 9월에 정사홍이 무과 병과 제26인으로 급제하고 난 후 받은 무과급제교지이다. 붉은 색 바탕의 종이에 글씨를 쓴 홍패(紅牌)의 모습을 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0 생산일자1888년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
제목 금영일기(錦營日記) 범위와내용원본은 정조 4년인 1780년에 기록되었으며, 충청감영에 관한 사료이다. 경자년(1780년) 3월 27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499 생산일자178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범위와내용과 연결되는 내용(세트로 추정) 등록번호100012566 생산일자000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향교
|
|
제목 백장절목(白場節目) 범위와내용백일장을 열어 우수한 10명을 선출, 향교의 동재와 서재에 5명씩 학생을 들여 숙식을 제공하는 장학제도, 관찰사의 격려문과 서문 등이 실림, 자세한 내용을 에 게재함 등록번호100012564 생산일자1851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향교
|
|
제목 견역절목(蠲役節目) 등록번호100012563 생산일자1782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
범위와내용공주시 우성면 부전동 마을의 대동계 자료 모음. , , , 2권 등이 엮어져 있음 등록번호100012562 생산일자000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
범위와내용현재 해당 지역의 천제문은 1965년 댐이 생긴 후 사라짐 등록번호100012561 생산일자199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 |
제목 담양전씨 가장(家狀) 범위와내용담양전씨의 시조와 그 후손들, 그리고 각 계파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는 담양전씨 가장(家狀)이다. 등록번호500011051 생산일자1508 추정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산지합편 범위와내용공산지 원본의… 등록번호100019743 생산일자1859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공산지 하 범위와내용공산지 원본의… 등록번호100019742 생산일자1859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공주감영읍지 범위와내용공주감영읍지의 제본집 등록번호100019740 생산일자1790~1805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총류>시,군지
|
![]() |
제목 남정록(南征錄) 범위와내용휴암 백 인걸의 11대손인 백 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회고록이다. 일각에서는 천도교서로 분류한다. 우금치 전투를 비롯하여 충청감사 박 제순과의 대립으로 공주에서 벌어진 전투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696 생산일자1896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남정록(南征錄) 범위와내용휴암 백 인걸의 11대손인 백 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회고록이다. 일각에서는 천도교서로 분류한다. 우금치 전투를 비롯하여 충청감사 박 제순과의 대립으로 공주에서 벌어진 전투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695 생산일자1896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옹정 12년(1734, 영조10) 9월, 새로 급제한 이언세를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임명하는 이조 차정첩 등록번호500008725 생산일자1734년(영조10)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10월, 이성을 振武將軍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24 생산일자1726년(영조2) 10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9월, 통덕랑 이성을 果毅校尉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3 생산일자1726년(영조2)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강희 25년(1689, 숙종12) 7월, 直郞 이성을 통덕랑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2 생산일자1689년(숙종12) 7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동치 13년(1874, 고종11) 3월, 淑人朴氏를 淑夫人에 임명하는 교지.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 이주일 처를 법전 종부직에 따라 숙부인으로 증직함 등록번호500008740 생산일자1874년(고종11)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동치 12년(1873, 고종10) 12월, 이주일을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겸오위장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39 생산일자1873년(고종10) 12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100020615 공산지 상 |
|
500011930 정홍식 무과급제 교지 |
|
100019499 금영일기(錦營日記) |
|
100012566 거접절목서문(居接節目序文) |
|
100012564 백장절목(白場節目) |
|
100012563 견역절목(蠲役節目) |
|
100012562 부전대동계입의(浮田大洞稧入議) 제3권 |
|
100012561 산제문 천제문 국역(山祭文 川祭文 國譯) |
|
500011051 담양전씨 가장(家狀) |
|
100019743 공산지합편 |
|
100019742 공산지 하 |
|
100019740 공주감영읍지 |
|
100019696 남정록(南征錄) |
|
100019695 남정록(南征錄) |
|
500008725 雍正12年 이언세(李彦世) 차정첩(差定貼) |
|
500008724 雍正4년 이성(火+省) 교지(敎旨) |
|
500008723 雍正4年 이성(火+省) 교첩(敎牒) |
|
500008722 康熙25年 이성(火+省) 교첩(敎牒) |
|
500008740 同治13年 숙인박씨(淑人朴氏) 교지(敎旨) |
|
500008739 同治12年 이주일(李柱一) 교지(敎旨) |
제목 정홍식 무과급제 교지
범위와내용‘광서14년’, 즉 1888년 9월에 정사홍이 무과 병과 제26인으로 급제하고 난 후 받은 무과급제교지이다. 붉은 색 바탕의 종이에 글씨를 쓴 홍패(紅牌)의 모습을 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0
생산일자1888년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금영일기(錦營日記)
범위와내용원본은 정조 4년인 1780년에 기록되었으며, 충청감영에 관한 사료이다. 경자년(1780년) 3월 27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499
생산일자178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과 연결되는 내용(세트로 추정)
등록번호100012566
생산일자000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향교
제목 백장절목(白場節目)
범위와내용백일장을 열어 우수한 10명을 선출, 향교의 동재와 서재에 5명씩 학생을 들여 숙식을 제공하는 장학제도, 관찰사의 격려문과 서문 등이 실림, 자세한 내용을 에 게재함
등록번호100012564
생산일자1851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향교
범위와내용공주시 우성면 부전동 마을의 대동계 자료 모음. , , , 2권 등이 엮어져 있음
등록번호100012562
생산일자000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범위와내용현재 해당 지역의 천제문은 1965년 댐이 생긴 후 사라짐
등록번호100012561
생산일자1990.00.00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제목 담양전씨 가장(家狀)
범위와내용담양전씨의 시조와 그 후손들, 그리고 각 계파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는 담양전씨 가장(家狀)이다.
등록번호500011051
생산일자1508 추정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남정록(南征錄)
범위와내용휴암 백 인걸의 11대손인 백 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회고록이다. 일각에서는 천도교서로 분류한다. 우금치 전투를 비롯하여 충청감사 박 제순과의 대립으로 공주에서 벌어진 전투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696
생산일자1896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남정록(南征錄)
범위와내용휴암 백 인걸의 11대손인 백 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회고록이다. 일각에서는 천도교서로 분류한다. 우금치 전투를 비롯하여 충청감사 박 제순과의 대립으로 공주에서 벌어진 전투들이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9695
생산일자1896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옹정 12년(1734, 영조10) 9월, 새로 급제한 이언세를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임명하는 이조 차정첩
등록번호500008725
생산일자1734년(영조10)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10월, 이성을 振武將軍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24
생산일자1726년(영조2) 10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옹정 4년(1726, 영조2) 9월, 통덕랑 이성을 果毅校尉 四山監役官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3
생산일자1726년(영조2) 9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강희 25년(1689, 숙종12) 7월, 直郞 이성을 통덕랑에 임명하는 이조교첩
등록번호500008722
생산일자1689년(숙종12) 7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동치 13년(1874, 고종11) 3월, 淑人朴氏를 淑夫人에 임명하는 교지. 절충장군첨지중추부사겸오위장 이주일 처를 법전 종부직에 따라 숙부인으로 증직함
등록번호500008740
생산일자1874년(고종11)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동치 12년(1873, 고종10) 12월, 이주일을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겸오위장에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8739
생산일자1873년(고종10) 12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