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55건
  • 시대분류  조선시대
이철원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 임명교지

제목| 이철원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종2품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41

생산일자|1887.08.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유인오씨 숙부인 임명교지

제목| 유인오씨 숙부인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이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이철원의 처 유인 오씨를 숙부인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40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이철원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임명교지

제목| 이철원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으로 임명하는 교지. 이철원(1823-1903)은 전주이씨 덕천군의 17세손으 문행이 높았던 이면배(李勉培)와 만경노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87년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을 지냈으며, 같은해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에 올랐으며, 통정대부 돈령부 도정과 돈령직을 지냈다.

등록번호|500007239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이철원 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 임명교지

제목| 이철원 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정3품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38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이철원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정9품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37

생산일자|1887.06.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충절사중건록

등록번호|10001599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서원,사우

  • 조선시대
적덕공(덕천군 이후생)신도비명록

제목| 적덕공(덕천군 이후생)신도비명록

범위와내용|덕천군 이후생의 신도비명이다. 덕천군은 조선 2대 왕 정종의 10번째 아들로 시호가 적덕공(積德公)이다. 신도비명은 10세손 이광사(李匡師)사 지었으며, 신도비는 1808년(순조 8)에 덕천군사우가 있는 공주 의당면 태산리에 있다.

등록번호|100015963

생산일자|1864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팔도군현지도

범위와내용|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등록번호|600000246

생산일자|177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조선지도

범위와내용|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등록번호|600000245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호서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74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도 중 공주부분이다. 모눈 종이처럼 보이는 종이 위에 산세와 강줄기를 표현하고 주요 도로망을 붉은 선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관아가 위치한 공주는 붉은 글상자로 표기하여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했다.

등록번호|600000244

생산일자|174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지승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세기 후반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승의 공주부분 지도이다.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된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600000243

생산일자|170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여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730년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 중 공주목을 나타낸 지도이다. 지도가 정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지도 내 표현에는 채색이 가미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242

생산일자|173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공주목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72년에 만들어진 지도로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지도를 통해 당시 공주의 형세를 유추할 수 있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공주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600000241

생산일자|1872.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해동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세기 중반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용한 관찬 군현지도이다. 지도의 상단과 우측면에 위치한 문헌자료는 당시 공주에 속한 지역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등록번호|600000240

생산일자|175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광여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9세기에 규장각에서 생산한 고지도로 채색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고지도인 관계로 실제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다.

등록번호|600000239

생산일자|180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55건
  • 시대분류  조선시대
이철원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 임명교지

이철원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 임명교지

이철원을 종2품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으로 임명하는 교지
유인오씨 숙부인 임명교지

유인오씨 숙부인 임명교지

이철원이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이철원의 처 유인 오씨를 숙부인으로 임명하는 교지
이철원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임명교지

이철원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임명교지

이철원을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으로 임명하는 교지. 이철원(1823-1903)은 전주이씨 덕천군의 17세손으 문행이 높았던 이면배(李勉培)와 만경노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87년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을 지냈으며, 같은해 절충장군…
이철원 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 임명교지

이철원 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 임명교지

이철원을 정3품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으로 임명하는 교지

이철원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 임명교지

이철원을 정9품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으로 임명하는 교지

충절사중건록

적덕공(덕천군 이후생)신도비명록

적덕공(덕천군 이후생)신도비명록

덕천군 이후생의 신도비명이다. 덕천군은 조선 2대 왕 정종의 10번째 아들로 시호가 적덕공(積德公)이다. 신도비명은 10세손 이광사(李匡師)사 지었으며, 신도비는 1808년(순조 8)에 덕천군사우가 있는 공주 의당면 태산리에 있다.

팔도군현지도

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조선지도

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호서지도

본 지도는 174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도 중 공주부분이다. 모눈 종이처럼 보이는 종이 위에 산세와 강줄기를 표현하고 주요 도로망을 붉은 선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관아가 위치한 공주는 붉은 글상자로 표기하여 한…

지승

본 지도는 18세기 후반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승의 공주부분 지도이다.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된 것이 특징이다.

여지도

본 지도는 1730년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 중 공주목을 나타낸 지도이다. 지도가 정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지도 내 표현에는 채색이 가미되어 있다.

공주목지도

본 지도는 1872년에 만들어진 지도로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지도를 통해 당시 공주의 형세를 유추할 수 있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공주의 상황을 알 수 있다.

해동지도

본 지도는 18세기 중반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용한 관찬 군현지도이다. 지도의 상단과 우측면에 위치한 문헌자료는 당시 공주에 속한 지역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광여도

본 지도는 19세기에 규장각에서 생산한 고지도로 채색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고지도인 관계로 실제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55건
  • 시대분류  조선시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55건
  • 시대분류  조선시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55건
  • 시대분류  조선시대

제목| 이철원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종2품 가선대부 돈령부 돈녕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41

생산일자|1887.08.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유인오씨 숙부인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이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이철원의 처 유인 오씨를 숙부인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40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이철원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으로 임명하는 교지. 이철원(1823-1903)은 전주이씨 덕천군의 17세손으 문행이 높았던 이면배(李勉培)와 만경노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87년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을 지냈으며, 같은해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에 올랐으며, 통정대부 돈령부 도정과 돈령직을 지냈다.

등록번호|500007239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이철원 절충장군 행 용양위 부호군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정3품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38

생산일자|1887.07.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이철원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 임명교지

범위와내용|이철원을 정9품 효력부위 용양위 부사용으로 임명하는 교지

등록번호|500007237

생산일자|1887.06.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충절사중건록

등록번호|10001599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서원,사우

  • 조선시대

제목| 적덕공(덕천군 이후생)신도비명록

범위와내용|덕천군 이후생의 신도비명이다. 덕천군은 조선 2대 왕 정종의 10번째 아들로 시호가 적덕공(積德公)이다. 신도비명은 10세손 이광사(李匡師)사 지었으며, 신도비는 1808년(순조 8)에 덕천군사우가 있는 공주 의당면 태산리에 있다.

등록번호|100015963

생산일자|1864

형태|도서/간행물류>고서 및 사료집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조선시대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팔도군현지도

범위와내용|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등록번호|600000246

생산일자|177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조선지도

범위와내용|모눈종이처럼 보이는 종이위에 그려진 본 지도는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되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당시 공주의 산세와 수로, 도로망을 한 눈에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등록번호|600000245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호서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74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도 중 공주부분이다. 모눈 종이처럼 보이는 종이 위에 산세와 강줄기를 표현하고 주요 도로망을 붉은 선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관아가 위치한 공주는 붉은 글상자로 표기하여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했다.

등록번호|600000244

생산일자|174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지승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세기 후반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승의 공주부분 지도이다. 도로망이 붉은 선으로 표시된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600000243

생산일자|170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여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730년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 중 공주목을 나타낸 지도이다. 지도가 정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지도 내 표현에는 채색이 가미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242

생산일자|173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공주목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72년에 만들어진 지도로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제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지도를 통해 당시 공주의 형세를 유추할 수 있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공주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600000241

생산일자|1872.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해동지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8세기 중반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활용한 관찬 군현지도이다. 지도의 상단과 우측면에 위치한 문헌자료는 당시 공주에 속한 지역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등록번호|600000240

생산일자|175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

제목| 광여도

범위와내용|본 지도는 19세기에 규장각에서 생산한 고지도로 채색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고지도인 관계로 실제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다.

등록번호|600000239

생산일자|1800.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총류>총론(혼합)

  •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