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463
-
- 형태분류
-
-
- 문서류 463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에서 발행한 민사소송 개정에 대한 유의사항 안내문이다. 등록번호500007382 생산일자1929.12.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제목 소화 3년 차용금증서 범위와내용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3 생산일자1928.11.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제목 김휘집 효자 포장문 범위와내용김휘집은 충효가문에서 태어나 스스로 정훈을 지을 정도로 충효를 중시하여 부모에게 정성으로 효를 다하였다. 특히 부친의 병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로 연명케 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지근에서 3년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또한 모친의 병환에 잉어를 잡아 봉양하여 효염을 보게 하였다. 이러한 행실이 충청남도삼강실기에 기재되어 있는데, 공주의 여러 향교유생들이… 등록번호500007299 생산일자1924.6.22.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棉作立毛품평회 상장 범위와내용1927년 개최된 사종품평회에서 공주군 주외면 봉정리에 사는 김휘집이 면입모(棉立毛) 품평부분 4등을 하여 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8 생산일자1928. 2.12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김휘집 금일봉 지급문서 범위와내용바른 행실을 특별히 참고하여 궁내대신이 금일봉을 내린다는 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297 생산일자1925.5.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김휘집 표창장 범위와내용김휘집이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어 부모의 깊은 병에도 정성으로 보살핀 효행사실이 있으며, 평소 품행이 근면성실하고, 또한 이장으로서 맡은바 책임을 다하는 등 그 공적이 크기에 일본홍도회(日本弘道會)가 준 표창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6 생산일자1929.1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김휘집 포장문 범위와내용921년 9월에 공주군 주외면에 사는 김휘집이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건축비 105원을 기부하자 이를 표창하기 위하여 1926년 6월 7일 조선총독부 해군대장이 내린 표창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5 생산일자1921.9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제목 稻作棉作立毛품평회 상장 범위와내용공주군 주외면 봉정리에 사는 김휘집이 농산물 품평회의 면작 부분 심사결과가 우수하여 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4 생산일자1927.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김휘집이 상훈국으로부터 받은 대례기념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3 생산일자1928.11.16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500007389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
|
500007388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
|
500007385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
|
500007382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
|
500007381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
|
500007380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
500007378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
|
500007377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
500007376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
|
500007375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
|
500007374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
500007373 소화 3년 차용금증서 |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
500007299 김휘집 효자 포장문 |
|
500007298 棉作立毛품평회 상장 |
|
500007297 김휘집 금일봉 지급문서 |
|
500007296 김휘집 표창장 |
|
500007295 김휘집 포장문 |
|
500007294 稻作棉作立毛품평회 상장 |
|
500007293 김휘집 大禮記念章 증명서 |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에서 발행한 민사소송 개정에 대한 유의사항 안내문이다.
등록번호500007382
생산일자1929.12.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제목 소화 3년 차용금증서
범위와내용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3
생산일자1928.11.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김휘집 효자 포장문
범위와내용김휘집은 충효가문에서 태어나 스스로 정훈을 지을 정도로 충효를 중시하여 부모에게 정성으로 효를 다하였다. 특히 부친의 병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로 연명케 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지근에서 3년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또한 모친의 병환에 잉어를 잡아 봉양하여 효염을 보게 하였다. 이러한 행실이 충청남도삼강실기에 기재되어 있는데, 공주의 여러 향교유생들이…
등록번호500007299
생산일자1924.6.22.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棉作立毛품평회 상장
범위와내용1927년 개최된 사종품평회에서 공주군 주외면 봉정리에 사는 김휘집이 면입모(棉立毛) 품평부분 4등을 하여 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8
생산일자1928. 2.12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김휘집 금일봉 지급문서
범위와내용바른 행실을 특별히 참고하여 궁내대신이 금일봉을 내린다는 문서이다.
등록번호500007297
생산일자1925.5.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김휘집 표창장
범위와내용김휘집이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어 부모의 깊은 병에도 정성으로 보살핀 효행사실이 있으며, 평소 품행이 근면성실하고, 또한 이장으로서 맡은바 책임을 다하는 등 그 공적이 크기에 일본홍도회(日本弘道會)가 준 표창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6
생산일자1929.1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김휘집 포장문
범위와내용921년 9월에 공주군 주외면에 사는 김휘집이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건축비 105원을 기부하자 이를 표창하기 위하여 1926년 6월 7일 조선총독부 해군대장이 내린 표창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5
생산일자1921.9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제목 稻作棉作立毛품평회 상장
범위와내용공주군 주외면 봉정리에 사는 김휘집이 농산물 품평회의 면작 부분 심사결과가 우수하여 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4
생산일자1927.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김휘집이 상훈국으로부터 받은 대례기념장이다.
등록번호500007293
생산일자1928.11.16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