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929
-
제목 공주고보교운동장(公州高普校運動場) 암거구축(暗渠構築)을 자작(自作)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639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67 생산일자1934.09.26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충남공주(忠南公州)에 노동협성준비회(勞働協成凖備會) 경제, 농촌, 노동의 제문제를 해결 코저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610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3 생산일자1926.03.1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고여문제는 원안대로 승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公州高女問題는 原案대로 承認 所謂委員의 審議結果)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54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14 생산일자1927.01.3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고여안은 위원이 심의 결과는 27일 보고 충남도평의회속보 (公州高女案은 委員이 審議 結果는 廿七日報吿 忠南道評議會續報)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3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13 생산일자1927.01.2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4대 교장 증부신오(增富新吾)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제4대 교장 증부신오(岡田嘉高)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5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14.04.02.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132회 졸업생인 성낙흥(成樂興)의 생활기록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생년월일, 호주본적, 주소, 가족관계, 입학년월, 진급, 보호자, 학교성적, 출석상황 등의 정보를 다루고 있다. 사진의 뒷면에는 '고객만족보증, Kodak, 두산현상소'라고 각인이 새겨져 있는 두산현상소의 도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200059734 생산일자1914.04.0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제목 공산지 필사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등록번호100020648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78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2000597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보교운동장(公州高普校運動場) 암거구축(暗渠構築)을 자작(自作)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639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충남공주(忠南公州)에 노동협성준비회(勞働協成凖備會) 경제, 농촌, 노동의 제문제를 해결 코저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610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고여문제는 원안대로 승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公州高女問題는 原案대로 承認 所謂委員의 審議結果)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54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고여안은 위원이 심의 결과는 27일 보고 충남도평의회속보 (公州高女案은 委員이 審議 結果는 廿七日報吿 忠南道評議會續報)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3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4대 교장 증부신오(增富新吾)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제4대 교장 증부신오(岡田嘉高)를 촬영하였다. |
![]() |
1914.04.02.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132회 졸업생인 성낙흥(成樂興)의 생활기록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생년월일, 호주본적, 주소, 가족관계, 입학년월, 진급, 보호자, 학교성적, 출석상황 등의 정보를 다루고 있다. 사진의… |
![]()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
![]() |
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
![]() |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
![]() |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
![]() |
‘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
![]() |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
![]() |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
![]() |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
![]() |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
![]() |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
![]()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
![]()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
![]()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
![]()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
100015867 공주고보교운동장(公州高普校運動場) 암거구축(暗渠構築)을 자작(自作) |
|
100015693 충남공주(忠南公州)에 노동협성준비회(勞働協成凖備會) 경제, 농촌, 노동의 제문제를 해결 코저 |
|
100015714 공주고여문제는 원안대로 승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公州高女問題는 原案대로 承認 所謂委員의 審議結果) |
|
100015713 공주고여안은 위원이 심의 결과는 27일 보고 충남도평의회속보 (公州高女案은 委員이 審議 結果는 廿七日報吿 忠南道評議會續報) |
|
200059734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성낙흥 생활기록부 |
|
500007845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
|
100020648 공산지 필사본 |
|
500011940 정희찬 만사(輓詞) ③ |
|
500011939 정희찬 만사(輓詞) ② |
|
500011938 정희찬 만사(輓詞) ① |
|
500011935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
|
500011934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
|
200059785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
|
제목 공주고보교운동장(公州高普校運動場) 암거구축(暗渠構築)을 자작(自作)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639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67
생산일자1934.09.26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충남공주(忠南公州)에 노동협성준비회(勞働協成凖備會) 경제, 농촌, 노동의 제문제를 해결 코저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610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3
생산일자1926.03.1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고여문제는 원안대로 승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公州高女問題는 原案대로 承認 所謂委員의 審議結果)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54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14
생산일자1927.01.3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고여안은 위원이 심의 결과는 27일 보고 충남도평의회속보 (公州高女案은 委員이 審議 結果는 廿七日報吿 忠南道評議會續報)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063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13
생산일자1927.01.2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4대 교장 증부신오(增富新吾)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제4대 교장 증부신오(岡田嘉高)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5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1914.04.02.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132회 졸업생인 성낙흥(成樂興)의 생활기록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생년월일, 호주본적, 주소, 가족관계, 입학년월, 진급, 보호자, 학교성적, 출석상황 등의 정보를 다루고 있다. 사진의 뒷면에는 '고객만족보증, Kodak, 두산현상소'라고 각인이 새겨져 있는 두산현상소의 도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200059734
생산일자1914.04.02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78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2000597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