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3155
-
![]() |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쓰치야(土屋)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등록번호20004716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언제, 어디에서 찍은 사진인지 그 정보를 전혀 알수 없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등록번호20004716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학교 앞에 서 있는 공주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다. 옛 충남도청자리에 있던 공주여자고등학교는 공주사범대학에 학교를 내어 주고 1950년경 현 공주사대부고 앞에 있는 담배인삼공사 건물자리에 있던 금강료 기숙사를 교실로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사진 속 기와 대문이 학교 정문이다. 그리고1951년에 교육부 학제 개편에 따라 3년제 공주여자고등학교와 3년제… 등록번호20004716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봉황산에서 찍은 공주 시가지의 풍경이다. 중동성당과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기숙사 시가지의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앵산공원에 백제박물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40년 이후의 시가지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진속 중앙 부분에 제공자 집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663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 |
제목 1927년 공주부근지도 범위와내용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일원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5 생산일자192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1930년 공주시가지를 파노라마 형식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해당 사진을 통해 당시의 공주시가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4724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8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4723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9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472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반죽동 대통사 유물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반죽동 대통사지의 유물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4723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
![]() |
제목 계룡산 기암의 모습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의 기암절벽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4723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제목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3): 식사시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과 교사가 일본식 다다미 방에서 함께 모여 식사를 하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등록번호200047210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소풍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이전하여 1949년까지 그 곳에서 학교를… 등록번호200047209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제목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1): 점심시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각자의 자리에서 준비해 온 도시락을 먹는 모습이다. 교사도 교탁에서 본인의 도시락을 먹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등록번호200047208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 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쓰치야(土屋)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
![]() |
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언제, 어디에서 찍은 사진인지 그 정보를 전혀 알수 없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
![]() |
학교 앞에 서 있는 공주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다. 옛 충남도청자리에 있던 공주여자고등학교는 공주사범대학에 학교를 내어 주고 1950년경 현 공주사대부고 앞에 있는 담배인삼공사 건물자리에 있던 금강료 기숙사를 교실로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
![]() |
일제강점기 봉황산에서 찍은 공주 시가지의 풍경이다. 중동성당과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기숙사 시가지의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앵산공원에 백제박물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40년 이후의 시가지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진속 중앙 부분에… |
![]() |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
![]() |
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
![]() |
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
![]() |
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
![]() |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
![]() |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일원의 지도이다. |
![]() |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
![]() |
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
![]() |
1930년 공주시가지를 파노라마 형식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해당 사진을 통해 당시의 공주시가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
![]() |
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8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9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반죽동 대통사지의 유물 사진이다. |
![]() |
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의 기암절벽 사진이다. |
![]()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과 교사가 일본식 다다미 방에서 함께 모여 식사를 하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
![]()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소풍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
![]()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각자의 자리에서 준비해 온 도시락을 먹는 모습이다. 교사도 교탁에서 본인의 도시락을 먹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
200047162 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 |
|
200047161 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 |
|
200047160 공주여자고등학교 앞에 서 있는 학생들 |
|
200046630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
|
500007519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
|
500007518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
|
500007517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
|
500007516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
|
500007515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
|
600000525 1927년 공주부근지도 |
|
500007514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
500007513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
|
200047240 1930년대 공주시가지 모습 |
|
200047239 1930년대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사진 2 |
|
200047238 1930년대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사진 1 |
|
200047237 반죽동 대통사 유물 |
|
200047236 계룡산 기암의 모습 |
|
200047210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3): 식사시간 |
|
200047209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2): 소풍 |
|
200047208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1): 점심시간 |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3학년 학생들의 쓰치야(土屋) 교장선생님 송별기념사진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등록번호20004716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언제, 어디에서 찍은 사진인지 그 정보를 전혀 알수 없다. 공주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 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등록번호20004716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범위와내용학교 앞에 서 있는 공주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다. 옛 충남도청자리에 있던 공주여자고등학교는 공주사범대학에 학교를 내어 주고 1950년경 현 공주사대부고 앞에 있는 담배인삼공사 건물자리에 있던 금강료 기숙사를 교실로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사진 속 기와 대문이 학교 정문이다. 그리고1951년에 교육부 학제 개편에 따라 3년제 공주여자고등학교와 3년제…
등록번호20004716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봉황산에서 찍은 공주 시가지의 풍경이다. 중동성당과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기숙사 시가지의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앵산공원에 백제박물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40년 이후의 시가지 모습으로 추정된다. 사진속 중앙 부분에 제공자 집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663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519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8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7517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516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범위와내용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등록번호500007515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제목 1927년 공주부근지도
범위와내용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일원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5
생산일자1927.00.0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514
생산일자1943.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등록번호500007513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1930년 공주시가지를 파노라마 형식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해당 사진을 통해 당시의 공주시가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4724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8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4723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공주시가지 전경의 모습이다. 200047239 자료와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의 촬영지는 현재의 충혼비 즉 당시 배수지가 위치한 언덕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472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반죽동 대통사 유물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반죽동 대통사지의 유물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4723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제목 계룡산 기암의 모습
범위와내용1930년 발행된 조선지리대계에 수록된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의 기암절벽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4723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3): 식사시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과 교사가 일본식 다다미 방에서 함께 모여 식사를 하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등록번호200047210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소풍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4년에 충남도청 청사로 이전하여 1949년까지 그 곳에서 학교를…
등록번호200047209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제목 제1회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졸업앨범(31): 점심시간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각자의 자리에서 준비해 온 도시락을 먹는 모습이다. 교사도 교탁에서 본인의 도시락을 먹고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등록번호200047208
생산일자193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