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제목|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8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847

생산일자|1915.04.02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4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범위와내용|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등록번호|50000784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입은 사람과 흰색의 전통 한복 차람의 조선인의 대비가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843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1:200,000 공주지도(1918)

범위와내용|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등록번호|600000543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8

생산일자|1936.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7

생산일자|1936.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6

생산일자|1922.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5

생산일자|1918.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7)

범위와내용|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4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3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2

생산일자|1940.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1

생산일자|1917.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0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5년(1916)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미원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9

생산일자|1916.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설천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8

생산일자|1918.03.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5년(1930)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영동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7

생산일자|1930.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1:200,000 공주지도(1918)

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1:15,000 공주지도(1916)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5)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4)

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6)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7)

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5)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4)

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6)

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5)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4)

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5년(1916)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미원지역의 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5)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설천지도이다.

1:15,000 공주지도(1915)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5년(1930)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영동지도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84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847

생산일자|1915.04.02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84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를 비각 전경사진에 후편집을 가미하여 비석을 합성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4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앞 계곡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갑사 계곡의 운치있는 풍경이다. 계곡 옆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구한말 경술국치에 앞장선 친일파 윤덕영이 노년에 머물던 간성장(艮成莊)이라 불리는 별장으로 추정된다. 간성장은 공주의 갑부 홍원표가 갑사 앞 계곡 암반에 건축하여 윤덕영에게 바친 한옥 별장으로 현재는 갑사의 요사채로 활용되고 있다.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범위와내용|수려한 절경을 자랑하는 계룡산으로 향하는 현재의 동학사 매표소 부근 길목에서 바라본 계곡과 산능선의 모습이다. 계룡산 정상부에는 삼불봉과 관음봉 등 웅장한 봉우리가 있다.

등록번호|50000784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올라가는 길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입은 사람과 흰색의 전통 한복 차람의 조선인의 대비가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843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계룡산 남매탑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1:200,000 공주지도(1918)

범위와내용|대정 7년(1918)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조선반도 전역에 대한 지도를 대정 10년(1921) 발행한 것이다. 해당 지도는 공주부분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다.

등록번호|600000543

생산일자|1921.01.15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제작한 강경부근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8

생산일자|1936.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1년(1936) 편찬한 논산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7

생산일자|1936.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11년(1922) 편찬한 공주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6

생산일자|1922.09.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금산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5

생산일자|1918.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7)

범위와내용|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4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3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15년(1940)에 공주를 중심으로 제작한 청주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2

생산일자|1940.0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6)

범위와내용|대정 5년(1916)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6년(1917)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공주 주변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1

생산일자|1917.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주변지역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30

생산일자|1919.02.28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4)

범위와내용|대정 3년(1914)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5년(1916)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미원지역의 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9

생산일자|1916.11.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7년(1918)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설천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8

생산일자|1918.03.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1:15,000 공주지도(1915)

범위와내용|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소화 5년(1930)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영동지도이다.

등록번호|600000527

생산일자|1930.10.30

형태|박물류>도면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