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396
-
![]() |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8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공주간 연락선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철도선로안내라는 책자에 수록된 사진에 기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8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연락선의 모습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부강 부근의 고려산과 금강에 떠있는 선박의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1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을 배경으로 제작한 그림엽서이다. 해당 엽서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중 일부이다. 등록번호5000081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배다리와 공산성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7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에 걸려있는 일장기의 모습이 서슬퍼런 시대를 말해주며, 관아대로에 위치한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거리의 활기찬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라고 불렸던 욱정(旭町)거리(現 감영길)의 모습이다. 이곳은 공주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손님을 비롯해 상인과 지게꾼 등 수많은 사람이 오갔던 곳 중 하나였다. 또한 도청에서부터 대로를 따라 전봇대가 세워져 있으며, 각 상점마다 문 앞에 유등이 설치되어 야간 통행 뿐 아니라 밤 늦게까지 물건을 사고 팔 수 있었다. 한편… 등록번호50000817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7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7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 |
범위와내용1911년 일제는 신무일완 탄신기념으로 공주 곳곳에 대대적인 식목행사를 진행했다. 본 엽서는 현 금학동 경찰서 부근으로 추정된다. 엽서 상단에는 공주에 거주하는 내지인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자필이 남아있다. 자필에 의하면 엽서에 나온 마을에 본인이 거주하며, 근처에 조선인이 사는데 '온돌'을 사용하는 그들이 신기하다고 적었다. 또, 자료에서 보여지듯이… 등록번호500008168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본 자료는 500007855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6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성안마을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꽃의 공주 엽서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꽃의 공주 엽서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500008186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
|
500008182 일제강점기 부강-공주 간 연락선 엽서 |
|
500008181 일제강점기 부강연락선 엽서 |
|
500008180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
|
500008179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교 엽서 |
|
500008178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 엽서 |
|
500008174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 엽서 |
|
500008173 일제강점기 공주 도청 앞 욱정통 |
|
500008172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통 엽서 2 |
|
500008171 일제강점기 공주 선교사 주거지 엽서 |
|
500008170 앵산공원의 미선교사 가옥과 시가지 전경 엽서 |
|
500008168 제민천 일대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
|
500008167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와 나룻배 엽서 |
|
500008166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
500008165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
|
500008164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엽서 |
|
500008163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성안마을 엽서 |
|
500008161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2 |
|
500008160 꽃의 공주 엽서 3 |
|
500008159 꽃의 공주 엽서 2 |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8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공주간 연락선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철도선로안내라는 책자에 수록된 사진에 기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8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수계를 오르내리는 부강연락선의 모습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부강 부근의 고려산과 금강에 떠있는 선박의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1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을 배경으로 제작한 그림엽서이다. 해당 엽서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중 일부이다.
등록번호500008180
생산일자193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강 배다리와 공산성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7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리에 걸려있는 일장기의 모습이 서슬퍼런 시대를 말해주며, 관아대로에 위치한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대통교 위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거리의 활기찬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7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라고 불렸던 욱정(旭町)거리(現 감영길)의 모습이다. 이곳은 공주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손님을 비롯해 상인과 지게꾼 등 수많은 사람이 오갔던 곳 중 하나였다. 또한 도청에서부터 대로를 따라 전봇대가 세워져 있으며, 각 상점마다 문 앞에 유등이 설치되어 야간 통행 뿐 아니라 밤 늦게까지 물건을 사고 팔 수 있었다. 한편…
등록번호50000817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7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등록번호50000817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범위와내용1911년 일제는 신무일완 탄신기념으로 공주 곳곳에 대대적인 식목행사를 진행했다. 본 엽서는 현 금학동 경찰서 부근으로 추정된다. 엽서 상단에는 공주에 거주하는 내지인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자필이 남아있다. 자필에 의하면 엽서에 나온 마을에 본인이 거주하며, 근처에 조선인이 사는데 '온돌'을 사용하는 그들이 신기하다고 적었다. 또, 자료에서 보여지듯이…
등록번호500008168
생산일자1911.04.03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본 자료는 500007855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6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6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성안마을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등록번호5000081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꽃의 공주 엽서 3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꽃의 공주 엽서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5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