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英国代孕成功率最高-(微信38332747)-武汉三甲医院式管代孕-上海代孕产子一般多少钱-北京正规代孕机构-(微信38332747)-北京代孕产子如何找Yg 검색결과 : 2929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이인국민학교 23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국민학교 23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 제23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사진에 날짜를 "2602.3"으로 표기하였는데, 황기 2603년으로 해석하여 서기 1942년임을 알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등록번호|200053107

생산일자|1942.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이인국민학교 22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국민학교 22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의 제22회 졸업생들의 모습이다. "제22회 졸업생 기념 식수원 (第二十二回 卒業生 記念 植樹園)", "66명 대지를 품에 안다(六十六名 大志ヲ抱ク我ガ)" 라는 글귀가 사진 하단과 좌측면에 각각 쓰여 있다. 졸업을 기념하여 교정에 식수를 하고 이를 기념하여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여학생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남학생은…

등록번호|200053106

생산일자|194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1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1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1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여학생들은 한복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남학생들은 모자와 두루마기 또는 양자형탱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등록번호|200053105

생산일자|194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0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0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대부분의 졸업사진은 학교본관 앞에서 촬영하였는데, 본 자료는 교내에서 촬영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교사 중 제복과 칼을 착용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일제강점기 교육환경을 알 수 있다. 남학생들은 두루마기 또는 양장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여학생들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한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등록번호|200053104

생산일자|193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 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대부분의 졸업사진은 학교본관 앞에서 촬영하였는데, 본 자료는 교내에서 촬영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교사 중 제복과 칼을 착용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일제강점기 교육환경을 알 수 있다. 남학생들은 두루마기 또는 양장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여학생들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한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 다른 학교의 교복들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이인공립보통학교 17회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7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7회 졸업생들이 교문앞에서 졸업장을 들고 있고, 그 뒤로 선생님들이 서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45년 이전 여학생들은 본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검정저고리와 검정주름치마로 된 한복 형태의 교복을 착용하였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등록번호|200053102

생산일자|1936.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이인공립보통학교 졸업기념 사진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졸업기념 단체사진이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학생들의 교복으로 보아 1945년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이인국민학교, …

등록번호|20005310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2

제목|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2

범위와내용|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는 신도의 신관과 관계자가 도교식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6

생산일자|1933.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1

제목|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1

범위와내용|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행사장 위치는 현재의 금강교 북단 강안으로 행사장 내 인사와 구경꾼을 구분하는 줄을 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5

생산일자|1933.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여행안내: 계룡산 갑사의 풍경

제목| 조선철도여행안내: 계룡산 갑사의 풍경

범위와내용|1924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경성관리국에서 발행한 에 기록된 계룡산 갑사의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2553

생산일자|192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선로안내: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

범위와내용|1915년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철도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자료에는 갑사와 금강을 충청도 부근의 명소로 소개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552

생산일자|1915.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부강에서 공주를 오가는 연락선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52551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선로안내: 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2550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조선풍속풍경사진첩: 공주 쌍수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옛 중군영지

제목| 조선풍속풍경사진첩: 공주 쌍수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옛 중군영지

범위와내용|1910년 경성일한서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쌍수정 인근에서 바라본 성안마을이다. 사진 속에 보이는 곳은 조선시대 공산성에 설치되었던 옛 중군영지로, 1895년 갑오을미개혁에 의한 칙령 제140호와 141호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이 폐지되면서 공산성이 산성으로서 역할도 사라지고 중군영도 해체되면서 군영내에 있던 군영건물들이 민가에…

등록번호|200052549

생산일자|191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제목|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범위와내용|1912년 Fleming H.Revell이 저술한 에 수록된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영명학교가 위치한 곳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교사 가옥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8

생산일자|191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3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3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9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2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2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8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1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1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7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범위와내용|1934년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군산곡물협회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주곡물검사소의 모습과 조합장, 미곡선별장면이다.

등록번호|200052656

생산일자|193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등록번호|20005265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英国代孕成功率最高-(微信38332747)-武汉三甲医院式管代孕-上海代孕产子一般多少钱-北京正规代孕机构-(微信38332747)-北京代孕产子如何找Yg 검색결과 : 2929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이인국민학교 23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국민학교 23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국민학교 제23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사진에 날짜를 "2602.3"으로 표기하였는데, 황기 2603년으로 해석하여 서기 1942년임을 알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이인국민학교 22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국민학교 22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국민학교의 제22회 졸업생들의 모습이다. "제22회 졸업생 기념 식수원 (第二十二回 卒業生 記念 植樹園)", "66명 대지를 품에 안다(六十六名 大志ヲ抱ク我ガ)" 라는 글귀가 사진 하단과 좌측면에 각각 쓰여 있다. 졸업을 기념하여…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1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1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1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여학생들은 한복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남학생들은 모자와 두루마기 또는 양자형탱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0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0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대부분의 졸업사진은 학교본관 앞에서 촬영하였는데, 본 자료는 교내에서 촬영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교사 중 제복과 칼을 착용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일제강점기 교육환경을 알 수…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이인공립보통학교 17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17회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7회 졸업생들이 교문앞에서 졸업장을 들고 있고, 그 뒤로 선생님들이 서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45년 이전 여학생들은 본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검정저고리와 검정주름치마로 된 한복 형태의 교복을…
이인공립보통학교 졸업기념 사진

이인공립보통학교 졸업기념 사진

이인국민학교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졸업기념 단체사진이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학생들의 교복으로 보아 1945년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2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2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는 신도의 신관과 관계자가 도교식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1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1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행사장 위치는 현재의 금강교 북단 강안으로 행사장 내 인사와 구경꾼을 구분하는 줄을 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조선철도여행안내: 계룡산 갑사의 풍경

조선철도여행안내: 계룡산 갑사의 풍경

1924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경성관리국에서 발행한 에 기록된 계룡산 갑사의 사진이다.
조선철도선로안내: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

조선철도선로안내: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

1915년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철도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자료에는 갑사와 금강을 충청도 부근의 명소로 소개하고 있다.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부강에서 공주를 오가는 연락선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조선철도선로안내: 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조선철도선로안내: 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조선풍속풍경사진첩: 공주 쌍수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옛 중군영지

조선풍속풍경사진첩: 공주 쌍수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옛 중군영지

1910년 경성일한서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쌍수정 인근에서 바라본 성안마을이다. 사진 속에 보이는 곳은 조선시대 공산성에 설치되었던 옛 중군영지로, 1895년 갑오을미개혁에 의한 칙령 제140호와 141호에 따라…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1912년 Fleming H.Revell이 저술한 에 수록된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영명학교가 위치한 곳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교사 가옥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3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3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2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2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1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1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1934년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군산곡물협회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주곡물검사소의 모습과 조합장, 미곡선별장면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英国代孕成功率最高-(微信38332747)-武汉三甲医院式管代孕-上海代孕产子一般多少钱-北京正规代孕机构-(微信38332747)-北京代孕产子如何找Yg 검색결과 : 2929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英国代孕成功率最高-(微信38332747)-武汉三甲医院式管代孕-上海代孕产子一般多少钱-北京正规代孕机构-(微信38332747)-北京代孕产子如何找Yg 검색결과 : 2929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英国代孕成功率最高-(微信38332747)-武汉三甲医院式管代孕-上海代孕产子一般多少钱-北京正规代孕机构-(微信38332747)-北京代孕产子如何找Yg 검색결과 : 2929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국민학교 23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 제23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사진에 날짜를 "2602.3"으로 표기하였는데, 황기 2603년으로 해석하여 서기 1942년임을 알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등록번호|200053107

생산일자|1942.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국민학교 22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의 제22회 졸업생들의 모습이다. "제22회 졸업생 기념 식수원 (第二十二回 卒業生 記念 植樹園)", "66명 대지를 품에 안다(六十六名 大志ヲ抱ク我ガ)" 라는 글귀가 사진 하단과 좌측면에 각각 쓰여 있다. 졸업을 기념하여 교정에 식수를 하고 이를 기념하여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여학생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남학생은…

등록번호|200053106

생산일자|194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1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1회 졸업기념사진이다. 여학생들은 한복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남학생들은 모자와 두루마기 또는 양자형탱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등록번호|200053105

생산일자|194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공립심상소학교 20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대부분의 졸업사진은 학교본관 앞에서 촬영하였는데, 본 자료는 교내에서 촬영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교사 중 제복과 칼을 착용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일제강점기 교육환경을 알 수 있다. 남학생들은 두루마기 또는 양장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여학생들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한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등록번호|200053104

생산일자|193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 이인공립심상소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대부분의 졸업사진은 학교본관 앞에서 촬영하였는데, 본 자료는 교내에서 촬영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교사 중 제복과 칼을 착용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일제강점기 교육환경을 알 수 있다. 남학생들은 두루마기 또는 양장형태의 교복을 착용하고 있고, 여학생들은 저고리와 치마로 된 한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 다른 학교의 교복들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17회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7회 졸업생들이 교문앞에서 졸업장을 들고 있고, 그 뒤로 선생님들이 서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45년 이전 여학생들은 본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검정저고리와 검정주름치마로 된 한복 형태의 교복을 착용하였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등록번호|200053102

생산일자|1936.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이인공립보통학교 졸업기념 사진

범위와내용|이인국민학교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졸업기념 단체사진이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학생들의 교복으로 보아 1945년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 1일에 이인국민학교, …

등록번호|20005310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2

범위와내용|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는 신도의 신관과 관계자가 도교식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6

생산일자|1933.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제목| 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 1

범위와내용|1933년 11월 금강교 준공식의 모습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행사장 위치는 현재의 금강교 북단 강안으로 행사장 내 인사와 구경꾼을 구분하는 줄을 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진은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5

생산일자|1933.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제목| 조선철도여행안내: 계룡산 갑사의 풍경

범위와내용|1924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경성관리국에서 발행한 에 기록된 계룡산 갑사의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2553

생산일자|192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일제강점기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

범위와내용|1915년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철도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자료에는 갑사와 금강을 충청도 부근의 명소로 소개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52552

생산일자|1915.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부강에서 공주를 오가는 연락선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등록번호|200052551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제목| 조선철도선로안내: 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2550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제목| 조선풍속풍경사진첩: 공주 쌍수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옛 중군영지

범위와내용|1910년 경성일한서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쌍수정 인근에서 바라본 성안마을이다. 사진 속에 보이는 곳은 조선시대 공산성에 설치되었던 옛 중군영지로, 1895년 갑오을미개혁에 의한 칙령 제140호와 141호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이 폐지되면서 공산성이 산성으로서 역할도 사라지고 중군영도 해체되면서 군영내에 있던 군영건물들이 민가에…

등록번호|200052549

생산일자|191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범위와내용|1912년 Fleming H.Revell이 저술한 에 수록된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영명학교가 위치한 곳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교사 가옥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2548

생산일자|1912.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3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9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2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8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전투기 헌납식 비행장면 1

범위와내용|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당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시동원령을 선포한 상태였다. 따라서 각종 군수품 생산에 동원은 물론이고 각지에서 전쟁과 관련된 물자를 징발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충청남도에서는 1938년 충남호로 불리는 복엽식 전투기를 헌납했다. 본 자료는 충남호 헌납식에서 비행을 선보이는 복엽전투기의 모습을 촬영한…

등록번호|200052657

생산일자|1938.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범위와내용|1934년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군산곡물협회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공주곡물검사소의 모습과 조합장, 미곡선별장면이다.

등록번호|200052656

생산일자|193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곡물검사소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

등록번호|20005265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전경이다. 사진 뒷면 메모에 의하면 1933년 11월경에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웅심각 계단 위에 신원미상의 남성이 서 있다. 웅심각은 광복 이후 김구에 의해 광복루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