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929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31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주소지인 봉정동은 조선 말기 공주군 남부면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우금티 고개 너머에 위치한 장소이다. 등록번호500009307 생산일자1941.08.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 |
제목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등록번호20005474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제목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등록번호200054745 생산일자1926.03.24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4704 생산일자1941.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정안초등학교로 남아있다. 등록번호200054957 생산일자193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정안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5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4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553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2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1930년대 초엽에 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1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 |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졸업기념사진첩에 수록된 학교 교사 풍경이다. 등록번호200053378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에서 진행한 체육대회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태의 체육복을 갖춰입은 모습이 시대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등록번호200053377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
|
![]() |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재학생과 교직원이 운동장에서 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식의 제복을 갖춰입은 모습을 통해 태평양전쟁기 서슬퍼런 식민통치를 엿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376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
|
![]() |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
![]() |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
![]() |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
![]() |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
![]() |
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
![]() |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
![]() |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
![]() |
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
![]() |
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
![]() |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
![]() |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
![]() |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
![]() |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
![]() |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
![]() |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
![]() |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
![]() |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졸업기념사진첩에 수록된 학교 교사 풍경이다. |
![]() |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에서 진행한 체육대회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태의 체육복을 갖춰입은 모습이 시대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
![]() |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재학생과 교직원이 운동장에서 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식의 제복을 갖춰입은 모습을 통해 태평양전쟁기 서슬퍼런 식민통치를 엿 볼 수 있다. |
500009312; 500009312; 500009312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
500009311; 500009311; 500009311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
|
500009310; 500009310; 500009310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
|
500009308; 500009308; 500009308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
|
500009307; 500009307; 500009307 1941년 공주 봉정동 경지감정서 |
|
200054746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
|
200054745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
|
200054704 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기념 사진 |
|
200054957 1937년 정안심상소학교 졸업 기념 사진 |
|
200053558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
|
200053557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
|
200053556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
|
200053555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
|
200053554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
|
200053553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
|
200053552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
|
200053551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
|
200053378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교사 풍경 |
|
200053377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운동회 단체사진 |
|
200053376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재학생 단체사진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31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41년 공주 봉정동 일원의 전답을 감정한 경지감정서이다. 서기는 청본경범(靑本景範)이며, 논은 926평이고 밭은 659평인 총 1,585평에 대한 감정이 이뤄졌다. 감정 결과 시세보다 저렴한 값이 치뤄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속 주소지인 봉정동은 조선 말기 공주군 남부면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우금티 고개 너머에 위치한 장소이다.
등록번호500009307
생산일자1941.08.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제목 일제강점기 반포공립보통학교 교직원 및 유지들의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을 맞아 반포면 유지들과 학교 교직원 일동이 본교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등록번호20005474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제목 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 사진 1
범위와내용1926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기념으로 교직원과 학생들이 본교사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본교사를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공립보통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등록번호200054745
생산일자1926.03.24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41년 반포공립소학교 제18회 졸업생들과 교직원의 졸업 기념 사진이다. 학교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본교사 현관 정문에는 당시 일제의 교육 슬로건 중 하나인 '인고단련' 등의 표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4704
생산일자1941.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반포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37년 정안심상소학교의 졸업을 기념하여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정안심상소학교는 1922년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안심상소학교,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오늘날 정안초등학교로 남아있다.
등록번호200054957
생산일자193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정안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5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4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553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2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1930년대 초엽에 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1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졸업기념사진첩에 수록된 학교 교사 풍경이다.
등록번호200053378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에서 진행한 체육대회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태의 체육복을 갖춰입은 모습이 시대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등록번호200053377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
범위와내용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재학생과 교직원이 운동장에서 교사를 배경으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군복 형식의 제복을 갖춰입은 모습을 통해 태평양전쟁기 서슬퍼런 식민통치를 엿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376
생산일자194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의당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