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811
-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
![]() |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 |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
![]() |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등록번호50000812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州)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등록번호2000550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 |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州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등록번호200059167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
![]() |
제목 공산지 필사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등록번호100020648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 |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
![]() |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
![]() |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 |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
![]() |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
![]() |
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
![]()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
![]() |
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
![]() |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
![]()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
![]() |
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
![]() |
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
![]() |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
![]() |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
![]() |
‘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
![]() |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
![]() |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
![]() |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
![]() |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
![]() |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
50000812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
|
500010541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
|
500012041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
|
500010598; 500010598; 500010598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
|
600000744; 600000744; 600000744 공주조선주주조조합 누룩틀 |
|
200055035; 200055035; 200055035 반죽동 당간지주 |
|
500008129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
|
200055038; 200055038; 200055038 조선무속연구 - 공주의 북 |
|
500007448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
200053103 이인공립보통학교 19회 졸업기념 사진 |
|
100020648 공산지 필사본 |
|
500011940 정희찬 만사(輓詞) ③ |
|
500011939 정희찬 만사(輓詞) ② |
|
500011938 정희찬 만사(輓詞) ① |
|
500011935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
|
500011934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등록번호50000812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찍은 '북' 흑백사진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 자료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 1886~?)가 촬영한 것이다. 맹격(盲覡)이 사용하는 북으로, 뒷면에 '공주(公州) ○ 174'라고 적혀 있다. 174번과 같은 사진이다. /…
등록번호20005503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여자부 학생들의 하교 모습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앨범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있다. 하교시간 여자부 학생들이 각자 손에 책보를 들고 줄지어 교문을 나서는 모습이다. 교문의 기둥에는 '영명실수학교 여자부(永明實修學校女子部)'와 공주의 여자 기독교인들이 모여 성경공부를 하는 '공주지방부인사경회관(公州地方婦人查經會館)'이라는 명패가 각각…
등록번호200059167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이인공립보통학교 제19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1938년 1월 1일자로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인공립보통학교 명칭을 기재하였다. 신사를 배경으로 촬영하였는데, 1938년 당시 욱정, 봉황산 아래에 있던 공주신사(公州神社)와는 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 통계연보(1912,1971,1929년)와 1941년 이와시타…
등록번호200053103
생산일자1938.03.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이인초등학교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