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2811
-
제목 공주서주최(公州署主催) 무도대회(武道大會) 희견(稀見)의 대성황(大盛况)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2339&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87 생산일자1926.02.0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장기면(公州長岐面) 흥풍회총회(興風會總會) 축입품평도(畜叺品評)도 개최(開催)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2142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67 생산일자1924.07.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읍본정(公州邑本町)에 큰 화재 자동차4대(自動車四臺)을 소실(燒失)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60459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14 생산일자1935.08.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3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등록번호50000810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제목 천정보한도(千町步限度)로 면화식재(棉花植栽)를 독려(督勵) 공주군면직원총출지도(公州郡面職員總出指導)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85223&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40 생산일자1933.04.2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군농회(公州郡農會)에서 식상증식(植桑增殖)을 계획(計劃) 잠업담당자(蠶業擔任者)가 협의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41246&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1 생산일자1930.09.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폐쇄(閉鎖)의 비운(悲運)에 빠진 영명학교(永明學校)를 구하자 공주 편(公州 篇)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58877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11 생산일자1935.01.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公州)와 부여(扶餘)에서 백제사적강습회(百濟史蹟講習會)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800385&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07 생산일자1934.07.2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58 생산일자1934.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 |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제목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16 생산일자1931.11.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공주서주최(公州署主催) 무도대회(武道大會) 희견(稀見)의 대성황(大盛况)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2339&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장기면(公州長岐面) 흥풍회총회(興風會總會) 축입품평도(畜叺品評)도 개최(開催)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2142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읍본정(公州邑本町)에 큰 화재 자동차4대(自動車四臺)을 소실(燒失)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60459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
![]()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
![]()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
![]() |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
![]() |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천정보한도(千町步限度)로 면화식재(棉花植栽)를 독려(督勵) 공주군면직원총출지도(公州郡面職員總出指導)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85223&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군농회(公州郡農會)에서 식상증식(植桑增殖)을 계획(計劃) 잠업담당자(蠶業擔任者)가 협의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41246&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폐쇄(閉鎖)의 비운(悲運)에 빠진 영명학교(永明學校)를 구하자 공주 편(公州 篇)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58877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公州)와 부여(扶餘)에서 백제사적강습회(百濟史蹟講習會)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800385&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
![]() |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
![]() |
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
![]()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
![]() |
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
![]() |
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100015687 공주서주최(公州署主催) 무도대회(武道大會) 희견(稀見)의 대성황(大盛况) |
|
100015914 공주읍본정(公州邑本町)에 큰 화재 자동차4대(自動車四臺)을 소실(燒失) |
|
500010504; 500010504; 500010504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
500010503; 500010503; 500010503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8135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8102 공주경찰서 엽서 |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
100015840 천정보한도(千町步限度)로 면화식재(棉花植栽)를 독려(督勵) 공주군면직원총출지도(公州郡面職員總出指導) |
|
100015771 공주군농회(公州郡農會)에서 식상증식(植桑增殖)을 계획(計劃) 잠업담당자(蠶業擔任者)가 협의 |
|
100015907 공주(公州)와 부여(扶餘)에서 백제사적강습회(百濟史蹟講習會) |
|
100015858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
|
500008123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4 |
|
500010501; 500010501; 500010501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
500008177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5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
|
5000081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
|
500007866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
100015816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
제목 공주서주최(公州署主催) 무도대회(武道大會) 희견(稀見)의 대성황(大盛况)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72339&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87
생산일자1926.02.0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장기면(公州長岐面) 흥풍회총회(興風會總會) 축입품평도(畜叺品評)도 개최(開催)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2142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67
생산일자1924.07.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읍본정(公州邑本町)에 큰 화재 자동차4대(自動車四臺)을 소실(燒失)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60459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14
생산일자1935.08.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3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등록번호50000810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천정보한도(千町步限度)로 면화식재(棉花植栽)를 독려(督勵) 공주군면직원총출지도(公州郡面職員總出指導)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85223&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40
생산일자1933.04.2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군농회(公州郡農會)에서 식상증식(植桑增殖)을 계획(計劃) 잠업담당자(蠶業擔任者)가 협의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41246&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1
생산일자1930.09.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폐쇄(閉鎖)의 비운(悲運)에 빠진 영명학교(永明學校)를 구하자 공주 편(公州 篇)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58877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11
생산일자1935.01.07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公州)와 부여(扶餘)에서 백제사적강습회(百濟史蹟講習會)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800385&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907
생산일자1934.07.2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58
생산일자1934.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제목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16
생산일자1931.11.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